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올라잇
올라잇24.11.19

트럼프는 북한이랑 친하게 지내려하는 대통령인가요?

제가 듣기로는 해리스가 당선되면 오히려 북한을 지금처럼 무시할거고

트럼프가 당선된다면 트럼프는 북한이랑 엄청 친하게 지내면서 관광도 개발하고 할거라고 하던데

맞는 이야기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는 비교적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한 대통령으로, 2018년과 2019년 두 차례 북한과 정상 회담을 진행하며 대화의 문을 열었던 바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과의 관계를 어떻게 발전시킬지는 향후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트럼프가 다시 당선되면 그 정책이 어떻게 변화할지는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트럼프 일기 시절을 생각해보면 꼭 그런 것도 아닙니다. 김정은과 몇 번 만나서 평화회담을 했지만 사실 아무 성과도 없었고 그것 말고는 별다른 북한과 협력 사업 같은 것도 없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는 과거 대통령 때에도 북한을 방문해서 판문점에도 갔었습니다 우리나라 대통령도 몇 명 갔습니다만 그 사람처럼 어깨를 툭툭 치르면서 친근함을 과시한 사람은 처음 봤습니다 김정은도 나쁘지 않은 표정이었고요 해리스 부통령도 북한 갔었다고 합니다 현재는 우리나라만 빼고 모두 북한에게 손을 내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 동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개인적 친분을 강조하며,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관계 개선을 시도했습니다. 그러나 2019년 하노이에서 열린 2차 정상회담이 결렬되면서 북미 관계는 다시 경색되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집권 시 북한과의 대화를 재개할 의사를 밝혔지만,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이 고도화된 현재 상황에서 과거와 같은 접근이 효과적일지는 미지수입니다.

    반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정책을 계승하여 동맹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는 억제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리스 부통령은 2022년 방한 시 비무장지대를 방문하여 한국에 대한 미국의 확고한 공약을 재확인한 바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하더라도 북한과의 경제 협력이나 관광 개발과 같은 구체적인 계획이 실현될지는 불확실합니다. 북한은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개인적 친분을 인정하면서도, 국가 간 관계는 개인적 감정과 분리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독특한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여러 차례 개최하며 비핵화를 논의했으나 실질적인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습니다. 그의 외교 스타일은 전통적인 방식보다 개인적 유대에 초점을 맞췄고, 북한과의 경제 협력을 통해 평화 구축을 도모하려는 발언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트럼프가 재선된다면 북한과의 관계가 이전처럼 긍정적으로 이어질지는 불확실합니다. 외교 정책은 국제정세와 국내 정치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반면, 해리스가 당선될 경우, 민주당 특유의 인권과 비핵화 중점 정책을 기반으로 북한에 대한 강경하거나 무관심한 태도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트럼프의 접근 방식이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성격을 보였지만, 단순히 '친하게 지낼 것'으로 단정 짓기는 어려우며, 이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는 북한과 친하게 지내고 싶다기 보다는, 자신이 국제사회에 기여하고자(성과를 남기고자) 하는 인물이라서 북한의 비핵화를 유도하거나 북한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취해 국제사회에 불확실성을 일부 해소했다는 업적을 만들고자 하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