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가 날수 있는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헬리콥터 같은 경우는 프로펠러가 돌면서 공기의 저항을 이용해서 헬기를 띄우잖아요. 그런데 비행기는 그런 것도 없는데 어떻게해서 날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헬리콥터처럼 프로펠러를 돌리지 않고도 하늘을 날수 있는 원리는 주로 날개의 모양과 비행기의 전진 운동에 있습니다.
비행기 날개는 단면이 위쪽은 볼록하고 아래쪽은 비교적 평평한 에어포일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비행기가 앞으로 나아가면 공기가 날개 위아래로 흐르게 됩니다. 이때 날개 위쪽의 볼록한 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는 아래쪽보다 더 먼거리를 이동해야 하므로 속도가 빨라집니다.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르면 유체의 속도가 빠르면 압력이 낮아지고, 속도가 느리면 압력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날개 위쪽의 압력은 낮아지고 아래쪽의 압력은 높아져 압력이 높은 아래쪽에서 낮은 위쪽으로 밀어올리는 힘, 즉 양력이 발생합니다.
이 양력이 비행기의 무게(중력)보다 커지면 비행기는 하늘로 떠오를수있습니다. 엔진은 비행기를 앞으로 밀어내는 추력을 발생시켜 공기가 날개 위아래로 흐르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비행기는 양력에 의해서 날게 됩니다. 이 양력을 최대로 받기 위해서 비행기 날개모양은 설계되어있습니다.
비행기는 날개에 의한 양력으로 날 수 있는데요. 날개는 공기 흐름을 위아래로 나누어 윗면의 공기 흐름을 빠르게 하고 아랫면을 느리게 만들어 압력 차이를 만들어 주고 이때의 압력 차이가 양력을 발생시켜 비행기를 들어올리게 됩니다. 엔진은 비행기를 앞으로 밀어 속도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날개에 충분한 양력이 생겨 이륙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용들이 맞물리면서 비행기는 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나는것은 양력이 발생을 하기때문 인데요
이는 베르누이 법칙과 뉴턴의 반작용 법칙에 기인합니다
비행기 날개의 윗면은 곡선 모양이고 아랫면은 상대적으로 평평합니다. 공기가 날개 위를 지날 때 더 빠르게 흐르게 되어 압력이 낮아지고, 아랫면은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아집니다. 이 압력 차이로 인해 위로 향하는 힘인 양력이 발생합니다.
비행기 날개가 공기를 아래로 밀어내면, 그 반작용으로 날개는 위로 밀어 올려집니다. 이 또한 양력을 생성하는 데 기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