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어린반달곰91
어린반달곰9122.10.26

하늘 색이 파란 이유는 무엇인가요?

요즘 가을 하늘를 보면 청명한 파란색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하늘 색깔이 파란색인 이유가 궁금했는데 과학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에 의한 것 입니다.

    태양의 빛이 대기를 통화하면서 짧은 파장의 빛이 더 많이 산란됨에 따라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으로부터 날아오는 빛이 지구에있는 대기의 공기분자와 부딪혀 산란되고, 남은 푸른빛이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낮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현상 때문입니다.


    우리 눈은 태양빛 중에서 가시광선 영역만을 볼 수 있습니다. 가시광선은 대기를 통과하면서 대기중의 질소, 산소분자 등에 의해 산란이 됩니다. "산란"이란 대기중의 작은 알갱이들이 빛을 흡수하여 사방으로 다시 방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대기의 산란정도는 빛의 파장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집니다. 여기서 파장이란 파동의 마루와 마루 사이의 거리를 말하는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붉은색 빛의 파장이 가장 길고, 주황색, 노랑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순으로 갈수록 짧아집니다.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이 강하게 일어나므로(레일리산란) 낮에 파장이 짧은 청색 빛이 산란이 일어나 대기는 청색 산란광이 지표에 가장 많이 도달하는 두께를 갖고 있는 셈인며, 대기의 광학적 두께가 깊어지는 아침과 저녁에는 파장이 짧은 영역의 청색 빛은 대부분 산란되어 버리고 장파장 영역이 빛이 지표에 많이 도달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아침노을 및 저녁노을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6

    빛이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파란색계열의 빛은 파장이 짧아 지표까지 내려오지 못하고 하늘에서 모두 산란 됩니다. 파장이 긴 빨간색 계열의 빛은 지표까지 산란되지 않고 내려 옵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의 빛이 하늘에서 모두 산란되어 눈에 보이기 때문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공기(기체)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 될 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빛의 굴절과 산란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입니다.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공기인 질소와 산소가 태양빛과 부딪칠 때,여러 빛으로 분산됩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이 분산된 빛 중,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진 과학전문가입니다.

    햇빛은 대기입자와 만나면 산란합니다.

    질소나 산소 같은 크기의 입자에서 산란될 때는 빛의 파장의 네제곱에 반비례해서 산란되는데(레일리산란) 빨간색쪽보다 파란색쪽이 산란이 많이 되므로 낯에 하늘이 파랗게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