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하염없이 우는 매미
하염없이 우는 매미23.07.12

우박이 생성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여름이 되면 한 번씩 우박이 내리잖아요. 우박은 물이 얼어서 얼음이 떨어지는 것인데 이렇게 더운 여름에 우박이 생성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상으로 우박이 떨어질려면 몇단계의 과정을 거치는데요..

    대기중의 수증기와 함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존재하는데...이들이 공기 중에 분산되어 있다가 미세한 입자들과 충돌하면서

    합종연횡을 하게되고 그러는 과정중에 작은 크기가 변하게 되는 것입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얼음핵이 있어야 하는데..대기중 미세한 먼지나 황사, 꽃가루등이 영향을 끼치고..이들 핵 중심으로 물증기가

    응축되는 것이죠

    또한..이 응축된 알갱이들이 점점 더 결정이 커지게 되고 비 정형화 되면서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최종적으로 무게가 무거워지면

    중력에 의해 지상으로 우박형태로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ㅎ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뜨겁고 습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가 만나서 생성됩니다. 뜨거운 공기에는 수증기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수증기가 차가운 공기와 만나면 물이 되어 얼립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얼음은 뜨거운 공기 위로 올라가고 다시 차가운 공기와 만나서 얼립니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우박은 점점 커지고 지상으로 떨어지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비가되어내리기 전 강한 상승기류에의해 다시 구름내부로올라고, 구름상부의 차가운기온에의해 물방울모양 그대로 얼어붙는것입니다.

    주변수증기들이 더 달라붙기때문에 우박의 크기는 더 커지고, 크기가커져서 상승기류를 이겨낼정도로 무거워지면 지상으로 내려오게됩니다.


  • 우박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방울이 충돌하여 서로 결합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는 슈퍼쿨링이라고 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물방울이 음온대에서 음의 온도로 냉각될 수 있습니다.

    충돌과 결합한 물방울이 음온대에서 음의 온도로 냉각되면, 물방울 주위에 있는 물분자들이 음온대로 결정화됩니다. 이 과정에서 얼음 결정이 형성되고, 주위에 있는 수증기가 이 얼음 결정에 응축하여 층이 쌓입니다.

    형성된 얼음 결정에 대기 중의 물분자들이 응축하여 계속 성장하게 됩니다. 주위에 있는 수증기가 응축되면서 우박은 점점 커지고 강화됩니다.

    형성된 우박은 대기 중에서 상승하면서 상층으로 이동합니다. 이는 대기 중의 상승 기류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상층에서 우박이 충돌하거나 대기 중의 풍속이 감소하면, 우박은 하강하여 지면으로 향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