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환불안잡고 김치본드 허용한다는데 무슨의미인가요

한국정부는 외화유출과 원화 약세를막기위해 14년만에 국내 김치본드 발행허용과 외환시장 개방조치를 추진중이라는데 이게 무슨의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김치본드는 외국 기업이 한국 시장에서

    달러화·유로화 등 외화로 발행하는 채권을 의미하고

    말 그대로 외환시장을 개방함으로써 외화조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러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라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김치본드는 해외 기업이나 기관이 우리나라에서 원화로 발행하는 채권을 말합니다. 이번에 환불 조건을 안 두고 발행을 허용한다는 건 외국 자금이 들어올 때 환전 후 일정 기간 안에 다시 빼가지 못하게 하는 제한을 풀겠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하면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선 돈을 더 자유롭게 넣고 뺄 수 있어 우리나라 채권 투자 매력이 올라갑니다. 동시에 외환시장 개방 조치는 외국 자금의 원화 거래를 확대해 시장 유동성을 늘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결국 외화유입을 늘려 원화 약세를 완화하려는 의도가 담긴 조치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김치본드의 허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김치 본드를 허용한다는 것은

    원화 약세 완화 효과를 기대하면서 하는 것으로

    은행 등 투자자가 보유 중인 외화를 시장에 풀어서

    원화 약세를 완화시키는 것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김치본드는 결국 외국정부가 혹은 외국금융기관과 기업이 한국내에서 달러기반으로 한 채권을 발행하는것입니다 즉 자국내에서가 아니라 한국시장내에서 이들이 한국기업이나 한국정부 그리고 한국의 금융기관등을 대상으로 달러채권을 발행한다는것입니다 이말은 국내의 달러자본이 유입되는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에 국내의 달러자본이 유입되는 결과로 이어진다는것입니다

    실제로 최근들어서 외국 금융기관이 한국은 OECD국가대비 매우 낮은 재정적자비율인 60%라는점에서 국내의 채권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점에서 이런 김치본드 허용은 매우 시의적절한 정책으로 보입니다 거기다가 그동안 국내의 주요 대기업들이 지속적인 경상수지 수출로 이들이 보유한 달러자본이 많이 유입이 되었고 이에대한 달러자금의 유동성을 풀기위한 조치와 해외 자산에 투자를 늘리고 이렇게 해외자산에 대한 배당과 이자소득 유입으로 자본수지의 안정적인 수입기반으로 다변화하겠다는게 이번 정부의 조치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김치본드란 국내에서 발행되는 외화 표시 채권으로 이번 허용으로 은행•증권사 등 외국환업무취급기관이 자금 사용 목적과 관계없이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게 돼 외화 유동성이 개선되고 원화 환율 변동성이 줄어을 전망입니다. 또한 외환시장 개방은 해외 금융기관의 국내 참여를 확대하고 거래시간을 연장해 외국인 투자 접근성을 높여 환율 안정과 자본시장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런 조치들은 국내 자본시장 다변화와 외화 수급 불균형 해소에 실질적 도움이 되어 원화 약시의 구조적 부담을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김치 본드라고 하는 것은 외국의 기업이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한국내에서 원화를 기준으로 채권을 발행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외국의 기업이 외국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아닌 한국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발행하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라고 볼 수 잇습니다. 이러한 것은 한국이 IMF나 대외적인 혼란의 시기에는 이러한 것을 정부에서 막았지만, 지금의 경우에는 이러한 막지 않아서 가능한 경우로 진행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김치본드 허용은 외국 기업이 원화로 채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로 외환 유출을 막으며서도 외화 수급을 안정시키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환율 방어와 시장 유동성 확보를 동시에 노리며 외환 시장 개방성과 국제 투자자의 접근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즉, 원화 약세 부담 완화 + 자본시장 경쟁력 강화라는 두 가지 정책 목표가 담긴 조치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