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8.26

연산군 광해군 이렇게 왕 뒷자리에 군자가 붙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옛날 왕들 중에 연산군 광해군 이렇게 왕 뒷자리에 군자가 붙은 왕들이 있었는데 군자를 붙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군자는 어떤 뜻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6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군은 반정으로 인해 폐위된 임금을 말하며 군은 단 2명으로 광해군과 연산군으로 그들은 왕으로 인정을 받지 못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금이었다가 신하들에게 폐위된 임금을 군으로 씁니다.

    조 종 군 이라 보통 하는데 군은 쫒겨난 임금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재위 중에 폐위되어 종묘에 들어가지 못한 왕을 묘호 없이 군 이라 불렀습니다.

    조선에서 왕위를 계승하는 것은 왕이 노쇠하여 병들거나 승하했을때, 또는 왕이 자의적으로 왕위를 물려줄때 입니다.

    대부분 죽으면서 세자에게 왕위를 물려주는데, 정상적인 방법으로 왕위를 물려주는 것이 아닌 타의로 왕의자리에서 내려오게 된 왕들은 군 의 묘호를 사용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연산군과 광해군은 왕위에 등극했지만, 묘호를 받지 못하고 폐위되었기 때문에 '군'자가 붙었습니다. 묘호란, 임금이 사망한 뒤 뒤 종묘라고 불리는 역대 임금들을 모신 사당에 들어갈 때 부여되는 '조,종' 같은 호입니다. 다음 왕이 정해주었죠. 하지만 연산군과 광해군은 각각 중종반정과 인종반정으로 왕위에서 쫓겨났습니다. 즉 폐위되었기 때문에 죽을 때도 왕으로서 죽은게 아니었기에 종묘에 들어가지 못했으며, 묘호도 받지 못해 '군'으로 남아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군은 그냥 임금의 아들이라는 의미 입니다. 즉 왕자라는 의미의 한자어 입니다. 연산군, 광해군은 왕의 자리에서 폐위 되어 그 아래 단계인 그냥 왕자의 자리로 강등 당하게 되는 경우인데 이렇게 왕이 그 자리에서 강제로 폐위되서 물러 나면 일반 왕자의 지위인 군으로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이 죽으면 시호를 붇이는데 조는 창업군주에게 붙이는 칭호입니다. 고려 태조왕건 조선 태조이성계처럼말입니다.(여기에 의문 그럼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등 6명은 왜? 라는 의문이 들텐데 조선에서는 선조와 인조처럼 전란으로부터 백성을 구한다든지 세조와 영조는 정변으로부터 왕권을 보호한다든지 고종의 대한제국에서 추존사여 붙여진 정조 순조처럼 예외적으로 조를 붙임) 반면에 연산군과 광해군은 폐위되어 시호를 받지 못해서 군인 것입니다. 그리고 종은 정통적으로 왕위를 계승한 경우 붙여진 시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XX군, XX대군 같은 이름은 봉작호입니다. 왕족 및 왕자에게 주는 칭호죠. 옛날에는 이름(본명)은 함부로 쓰지 않는 전통이 있었고, 그래서 이름 대신 부를 칭호를 썼죠. 왕족과 왕자도 이름을 함부로 부를 수 없으니 대신 칭호를 주는 것입니다.

    이때 군, 대군 앞에 붙여주는 XX는 지명입니다. 봉건제도의 전통이 이어진 것으로, 왕족에게 영지를 주고 영지 이름 + 왕 혹은 공 등으로 부르는 중국의 전통이 조선 방식으로 변형된 것입니다. 즉, 왕족에게 영지를 주고 그 영지 이름 + 군, 대군으로 부르는 것이죠. 단, 이때 영지(=땅)은 그냥 이름만 주는 것이고, 그래서 헷갈리지 않게 그 땅의 옛 이름이나 별칭을 썼죠.

    연산군은 논산 지역의 옛 이름인 연산에서 따온 것이고, 광해는 춘천 지역의 별칭입니다.

    두 왕은 폐위되었기 때문에 왕 취급을 안해주겠다는 의미로 그냥 왕족 수준인 군으로 강등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왕조에서 왕의 뒷자리에 "군"이라는 호칭이 붙는 이유는 주로 왕의 자손을 구별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이 호칭은 주로 왕의 아들이나 손자를 나타내며, 그들의 지위와 역할을 나타내는 것이었습니다.

    1. 연산군 (燕山君): 연산군은 조선 세조의 아들인 세종대왕의 맏아들이자 세속의 형이었던 이방원(이황)에게 준 호칭입니다. 세종대왕은 조선의 제4대 왕으로 한글을 창제한 등 문화와 과학 기술의 발전을 추진한 왕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아들인 연산군 역시 문화적 활동을 하였으며, 이방원은 조선 시조시경(한시)의 대표적인 시인으로도 유명하다.

    2. 광해군 (光宅君): 광해군은 조선의 12대 왕인 성종의 아들인 이호에게 준 호칭입니다. 성종은 조선 중기 왕조에서 비교적 선량하고 인정받는 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아들인 광해군은 아버지 성종의 사후 명예를 회복시키려고 노력하였으나 실패하여 조선 역사상 '광해의 폐'로 유명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군"이라는 호칭은 왕의 자손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들의 역사와 업적, 성향에 따라 호칭을 통해 구별하고 기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