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귀중한관박쥐30
귀중한관박쥐3022.11.15

성인을 하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공자 노자 맹자...

전 임진왜란이나 일제강점기를 맞이 한 이유가 바로 유학에 얽매여 농업,상업 같은 실학을 잡술로 폄하하려 이렇게 되었다고 생각하는데.. 유학사상가들은 왜 아직도 이름을 떨치고 추앙을 받나요?

심지어 공자는 세계 4대 성인에 포함 되더군요.

유학사상을 그렇게 높이 평가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학사상은 진나라의 시황제가 법가 사상을 토대로 중국을 천하통일한 후 분서갱유를 단행하여 복서와 농서 등을 제외하고 모든 경전이 불살라졌으며 무려 460여명의 유학자가 산채로 생매장 당하는 등 탄압을 받았지만 한나라는 유학을 국교를 삼아 정치이념과 교육철학의 바탕으로 삼았으며 송나라 때는 성리학이 명나라 때는 양명학으로 청나라 때는 고증학으로 변화 발전되었습니다. 우리 나라는 삼국 시대에 유학(내세관이 없기에 종교라기 보다는 학문적 성격이 강함)을 받아들여 정치이념과 교육철학으로 삼았으며 조선 시대는 성리학이 500년 동안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로 자리잡았습니다.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라는 주장은 반상의 제도가 나라를 망쳤다고 보기때문이고 반대로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라는 입장은 하나에서 둘로 나뉘지만 또 다른 하나(태극음양론)이기에 나뉜 것이 아니어서 조화를 이루다고 하여 공자를 존경의 대상으로 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자는 어릴 때 가난하게 살았고, 그 때문에 다양한 일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것은 그가 다양한 인간을 경험하도록 만들었고, 인간에 대한 이해를 깊게 했습니다. 공자가 위대한 스승이 될 수 밖에 없던 이유는 바로 충실한 삶에 태도와 다른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이였습니다. 그러한 태도를 진실하게 먼저 행하는 그가 보여주는 삶이 바로 제자들에게 가장 깊은 깨달음을 주는 것이였고 그래서 그의 배움은 항상 실천의 문제이지 단순히 아는 것이 아니었습니다..따라서 공자는 솔선수범하는 스승이었습니다. 자신의 태도가 바르면 당연히 제자들이 따르게 되고, 그렇게 가르치고 배우는 사이에 서로의 배움이 커 나간다고 생각했고, 그렇게 행동했습니다.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어떻게 살아야 한다고 말씀하신것이 성경이라면 공자가 예기한것을 모아놓은것이 바로 논어 입니다. 즉, 공자는 살용주의과학 처럼 우리가 돈을 어떻게 벌지, 무엇을 먹고 살아야 할지는 알려주지 않았지만, 우리가 어떻게 사람을 대하고 어떻게 삶을 살아가야 하는가를 가르쳐준 스승이기에 위대하다고 하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첫째 유교의 인간학적 특징과 학문의 다면성 둘째 유교의 종교성 셋째 유교의 현실관 넷째 유교의 교화 방법 다섯째 유교의 윤리사상 여섯째 유교의 정치사상 때문에 공자의 유교가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