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따뜻한겨울
따뜻한겨울22.05.02

하늘은 왜 파랗게 보이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우주를 보면 암흑천지잖아요. 그런데 지구의 하늘을 보면 색상이 파랗게 보이잖아요. 왜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하늘색 말구 바다색도 푸른빛을 띄는데 하늘색이 파랗게 보이는거와 동일한 이유인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현정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광에서는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등이 있습니다

    그중 우리가 볼수있는건 가시광선입니다

    가시광선은 빨간색~보라색까지 흔히말하는 무지개색 범위인데

    이 빛이 들어오면서 지구 대기중의 질소와 산소 분자와 부딪히면서 산란하게 됩니다.

    이때 파장이 짧은 파란색과 보라색이 가장 멀리 분산해서 도달하기때문에

    우리눈에 잘보이게됩니다.

    그래서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물도 마찬가지 원리입니다.

    파장이짧다는 것은 에너지가 크다 생각하시면 멀리 도달한다라는 의미가 좀 이해하기 쉬울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파란 이유는 태양빛이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고 있는
    질소·산소 등과 같은 기체 분자와 부딪치면 여러 색깔로 분산되는데,
    이 때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에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 입니다.

    바다의 푸른빛은 물이 푸른색계열의 빛만 반사하고 모두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햋빛은 7가지의 색을 가진가시광선입니다

    7가지 색깔은 모두 파장의 길이가 다릅니다

    파란색이 가장 짧습니다

    그래서 공기중에서 산란되어 푸른색의 하늘이 보입니다

    물색이 푸른것도 파란색이 산란되어 그런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태양빛이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고 있는 질소·산소 등과 같은 기체 분자와 부딪치면 여러 색깔로 분산되는데, 이 때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에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

    우리나라는 가을철이 되면 양쯔강 기단의 영향을 받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권에 들게 돼 파란색을 더욱 산란하게 하는 원인이 되어 가을의 하늘은 더욱 높고 파랗게 보이기도 한다.


  • 빛의 굴절, 산란 때문 입니다.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는 산소와 질소가 태양빛과 부딪칠 때,여러 빛으로 분산됩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이 분산된 빛 중,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