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성큼성큼걷는펭귄83622.12.14

자연의 물은 왜 표면부터 얼기시작하나요?

계곡이나 강물처럼 흐르는 물이나 호수나 저수지를 보면 겨울철 표면부터 얼어가기 시작하는데 왜그런건가요? 대류현상으로 차가운물은 아래로 비교적 덜차가운물은 위를 향하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4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밀도는 4도씨에서 가장 높아져서 물의 무게가 가장 무겁습니다. 외부의 기온이 내려가서 4도씨 까지 밀도가 커진물을 아래로 내려가고 가벼운 아랫쪽 물이 올라오게 됩니다. 이런 과정은 강물이나 호수의 모든 물이 4도씨 까지 비슷하게 될 때까지 반복되다가 더이상 물의 대류가 일어나지 않게 됩니다. 물의 대류가 중단된 다음에는 물의 윗부분 부터 물의 어는점인 0도씨 까지 급격히 온도가 내려가고 위부터 얼게됩니다. 그리고 물이 얼게되면 부피가 증가하고 밀도는 감소하게 되기 때문에 물 속부터 얼 수 없습니다. 만약에 물이 아래부터 얼게되면 겨울철에 물고기는 살아남기 위해서 얼지 않는 물을 찾아서 이동하느라 엄청 바빠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류현상말씀하신 이야기는 맞으나 이 대류현상은 물의 밀도에 의해 일어납니다

    물은 특수한성질을 가지고 있어 4도씨까지는 물의 온도가 낮을수록 밀도가높아지지만

    4도씨 보다 낮아질경우 밀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얼음은 뜨고 물의 표면부터 얼게 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온도가 떨어지면 부피가 감소하고 밀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 때 낮은 온도의 물은 내려가고 높은 온도의 물은 위로 올라오게 됩니다. 대류 현상이 생기게 되는거죠. 이 때 주위 온도가 4도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물의 특성상 부피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런 현상으로 밀도는 감소하게 되는데 이 때 물은 더이상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그대로 위에 있게 됩니다. 즉 표면만 얼게 되는거죠.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표면부터 찬기운이 닿기 때문입니다. 보통 추위는 북쪽에서 찬공기가 밀려 오면서 시작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표면부터 어는 것은 온도와 밀도위 관계가 가장 중요합니다. 물이 얼면 부피가 증가하는 것은 물만의 특별한 결합인 수소결합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 결합때문에 물이 0도로 갈수록 부피가 증가합니다. 밀도는 질량/부피입니다. 즉 부피가 증가 할수록 밀도가 낮아집니다. 물의 밀도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물위에 뜨게 얼음이 하나씩 뜨게됩니다. 결국 표면부터 천천히 얼기시작하게 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액체에서는 고체가 생기면 그것이 액체 안에 가라앉습니다. 그러나 얼음은 물보다 밀도가 작아서 물 위에 뜨는데요. 호수나 저수지는 공기의 온도가 0℃ 이하로 내려가면 찬 공기에 노출되어 있는 물의 표면부터 얼기 시작하고 이 얼음이 가라앉지 않아서 표면부터 얼어붙는 거랍니다.


  • 물의 밀도가 4도에서 가장 크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밀도가 크면 부피대비 질량이 크다는 뜻인데, 물이 온도 4도에서 가라앉기 시작합니다.

    이때 아래쪽에 있던 덜 차가운 물이 위로 올라가며 순환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표면부터 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물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물은 수소결합으로 인해 얼음이 되면 육각형 구조를 이루어 부피가 커진답니다. 그래서 밀도가 낮아져서 물 위로 떠오르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