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독에 걸리면 증상이 어떻게되죠?
매독에 걸리게되면 엄청아프고 가렵다고 하던데 증상이 어떻게 되나요? 매독은 전염이 된다고하던데 매독이 걸렸다는건 누구한테서 옮겼다는거죠? 매독에 걸렸을때 치료법과 예방법을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매독은 감염에 노출된 후 10일3개월, 평균적으로 3주 후 증상이 시작됩니다. 매독은 13기 매독과 잠복 매독, 선천성 매독으로 구분되며,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습니다.
1. 1기 매독
경성하감이 특징적 병변으로, 병원체가 침입한 부위가 빨갛게 변하거나 궤양이 발생하는데, 통증이 없으며, 2주 내지 6주 후에는 자연적으로 없어집니다.
2. 2기 매독
감염 6주~6개월 후에 발생하며, 열, 두통, 권태감, 피부 병변, 림프절 종대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피부 병변은 반점이 발생하거나 빨갛게 변하거나 고름이 차는 물집이 형성되기도 하며, 편평콘딜롬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3. 3기 매독
피부, 뼈, 간 등에 고무종이 발생하기도 하며, 심혈관이나 신경계에 침범할 수도 있습니다. 심혈관 매독의 경우 주로 상행 대동맥을 침범하게 되며, 신경 매독은 증상이 없다가 뇌막의 혈관에 침범하기도 하며, 척수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점차 발작이나 마비 등의 증상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4. 잠복 매독
임상 소견이 없는 매독을 의미합니다. 조기 잠복 매독이란 감염 후 1년 이내로 감염성이 높은 시기라고 할 수 있으며, 후기 잠복 매독은 감염 후 1년 이상 경과한 경우를 말합니다.
5. 선천성 매독
대개 임신 4개월 후에 감염이 발생합니다. 조기 선천성 매독은 생후 2년 이내에 발병하며, 성인의 2기 매독과 비슷한 양상을 보입니다. 후기 선천성 매독은 생후 2년 이후에 발병하며 허친슨 치아, 간질성 결막염, 정강이뼈의 변화 등을 보일 수 있습니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매독에 걸리게 되면 첫번째 단계에서는 성기 부위에 궤양성 병변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후에 두번째 단계로 넘어가면서 전신의 피부 발진이 생기게 되고 지연성 단계에서는 이러한 증상들이 오히려 줄어들고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1, 2 단계에서 의심하여 검사를 받아보아야 합니다. 매독이 걸렸다는건 타인에게 옮았다는 것입니다. 걸렸다면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매독은 성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성 질환을 의미합니다. 매독에 감염되었을 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몸속의 매독균이 모두 없어집니다. 하지만 치료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잠복 매독으로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잠복 매독이 신경 매독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기 위해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트레포네마 팔리듐균이 성기를 통해 전파되면 성기 주위에 통증이 없는 궤양이 생깁니다. 이것이 1차 매독입니다. 1차 매독은 치료하지 않아도 호전됩니다. 하지만 트레포네마 팔리듐균이 혈액을 타고 전신으로 퍼지면 발진 등의 2차 매독이 발생합니다. 2차 매독도 치료하지 않아도 호전됩니다. 2차 매독은 3차 매독으로 진행하거나, 잠복 매독 상태에서 수년, 수십 년간 증상이 없다가 3차 매독의 형태인 동맥염, 뇌 신경 매독으로 발현될 수 있습니다.
잠복 매독은 증상이 없으므로, 혈액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콘돔 등을 사용하지 않는 보호받지 못한 성관계(unprotected sex) 등의 과거력이 있고, 매독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는 경우에 임상적으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매독의 치료는 매복이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1기, 2기, 초기 잠복은 페니실린 근육주사를 한 번 맞는 것만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후기 잠복 매독은 중추신경계로까지 침범되지 않았다면, 일주일에 한 번씩 페니실린을 주사하는 치료법을 3주 동안 시행하여 치료합니다. 신경 매독은 수용성 페니실린을 정맥으로 주사하는 치료법을 10~14일간 시행하여 치료합니다. 환자가 페니실린에 대한 과민 반응이 있는 경우, 적절한 대체 요법을 사용합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증상은 감염 부위의 무통 궤양에서 시작되며, 2단계에서는 발진, 열, 피로, 두통 및 식욕 부진을 일으킵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3단계 매독은 대동맥, 뇌, 척수 및 기타 기관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보통 매독을 확진하기 위해 혈액검사를 우선시행하며 예방법은 성관계시 피임을 잘하는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매독은 성접촉으로 인해 감염되는 성병입니다. 매독균이 몸속에 들어오면 피부발진, 성기궤양 등의 증상이 주된 증상으로 발생하고,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신경매독까지 진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항생제 주사를 맞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매독은 말씀 주신 것처럼 성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질환입니다.
페니실린을 통한 치료만으로도 크게 호전 될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자료 첨부하오니 참조 바랍니다.
매독은 성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성 질환을 의미합니다. 매독에 감염되었을 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몸속의 매독균이 모두 없어집니다. 하지만 치료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잠복 매독으로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잠복 매독이 신경 매독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기 위해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원인
매독의 원인균은 트레포네마 팔리듐균(Treponema pallidum)입니다. 이 균은 주로 성 접촉에 의해 전파됩니다.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태아에게 직접 전파될 수도 있습니다.
증상
트레포네마 팔리듐균이 성기를 통해 전파되면 성기 주위에 통증이 없는 궤양이 생깁니다. 이것이 1차 매독입니다. 1차 매독은 치료하지 않아도 호전됩니다. 하지만 트레포네마 팔리듐균이 혈액을 타고 전신으로 퍼지면 발진 등의 2차 매독이 발생합니다. 2차 매독도 치료하지 않아도 호전됩니다. 2차 매독은 3차 매독으로 진행하거나, 잠복 매독 상태에서 수년, 수십 년간 증상이 없다가 3차 매독의 형태인 동맥염, 뇌 신경 매독으로 발현될 수 있습니다.
잠복 매독은 증상이 없으므로, 혈액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콘돔 등을 사용하지 않는 보호받지 못한 성관계(unprotected sex) 등의 과거력이 있고, 매독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는 경우에 임상적으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진단
매독은 선별 검사인 혈액 검사(VDRL 검사, RPR)에서 양성 판정을 받으면, 매독균에 대한 특이 검사(FTA-ABS 검사나 TPHA)를 시행하여 확진합니다. 무증상 신경 매독을 확진하기 위해 뇌척수액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
매독의 치료는 매복이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1기, 2기, 초기 잠복은 페니실린 근육주사를 한 번 맞는 것만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후기 잠복 매독은 중추신경계로까지 침범되지 않았다면, 일주일에 한 번씩 페니실린을 주사하는 치료법을 3주 동안 시행하여 치료합니다. 신경 매독은 수용성 페니실린을 정맥으로 주사하는 치료법을 10~14일간 시행하여 치료합니다. 환자가 페니실린에 대한 과민 반응이 있는 경우, 적절한 대체 요법을 사용합니다.
경과
매독균에 감염된 후, 1090일 정도의 잠복기(평균 21일)가 지나면 1기 매독이 발생합니다. 1기 매독에 의한 증상은 저절로 호전되지만, 16개월 정도 지나면 2기 매독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후 매독의 증상이 겉으로 나타나지 않는 잠복 감염 상태가 진행됩니다. 초기 1~2년을 초기 잠복 감염, 그 이후를 후기 잠복 감염이라 합니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3기, 후발 매독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환자의 10% 정도에서 심혈관계 합병증이 발생하고, 7% 정도에서 신경 매독이 나타납니다.
출처: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34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