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다른나라의 중산층 기준?
대한민국의 중산층 기준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다른 선진국들의 중산층 기준은 대한민국과 어떻게 다른가요?
경제적인 부분에서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산층은 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중위소득의 75~200% 해당 가구를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2023년 중위소득은 1인 가구는 2,077,892원, 2인 가구는 3,456,155원, 3인 가구는 4,434,816원, 4인 가구는 5,400,964원입니다.
4인 가구 기준 중산층은 4,050,723원~10,801,928원 까지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산층의 기준에 대해서는 절대적인 기준이 없다보니 일반적으로는 OECD국가들을 기준으로 중산층을 분류할 때 해당 국가의 중위소득 50~150%수준에 해당하는 가구를 말한다고 해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산층 개념은 구중산층과 신중산층으로 구별하는 경향이 있는데, 구중산층은 일반적으로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가 말한 중소 상공업자·자영농민·장인 등의 프티 부르주아(소시민)를, 신중산층은 경영자·사무원·관료와 같은 화이트칼라를 의미한다.전자는 주로 생산관계에서 소유권과 경영권이 통합된 자영업자이고, 후자는 역할관계에서 비생산적인 임금노동자를 말한다. 그 밖에 중산층의 개념을 소유권의 개념이나 잉여 노동가치의 개념으로 파악하는 경우도 있다.중산층의 개념과 이론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가 있는데,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자본주의사회에서 사회구성원은 자본가계급과 노동자계급으로 양극화되기 때문에 중산층의 몰락을 예견하지만, 현대 사회계급 또는 계층이론가들은 중산층의 비대화현상을 지적하고 있다. 즉 중산층을 하나의 중간계급으로 인정하려고 한다.
이러한 주장은 선진산업사회에서 공업화·관료제 및 기술 발달로 신중산층이 대량으로 형성된 것에서 비롯되었고, 구중산층의 경우도 자본(주식 등)의 분산 등으로 감소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후진국가의 경우는 사회적·경제적 변화가 선진국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중산층 이론도 달라질 수 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OECD에서 중산층은 중위소득의 중위소득 75~200%의
소득의 수준에 해당하는 가구를 말합니다.
우리나라의 통계청에서는 기준중위소득 50~150% 사이의 가구를
중산층이라고 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제가 찾아본 자료상 나온 내용입니다. 한국의 중산층 기준은 가구소득으로 결정됩니다. 가구소득은 가구의 총소득에서 세금과 사회보장비용을 제외한 금액을 말합니다.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가구소득분위는 가구소득을 5분위로 나눈 것입니다. 1분위는 하위 20%, 2분위는 2040%, 3분위는 4060%, 4분위는 60~80%, 5분위는 상위 20%에 해당합니다.
2021년 기준으로 한국의 중산층은 4분위에 해당하는 가구입니다. 4분위 가구의 가구소득은 월 597만 원입니다. 한국의 중산층은 1990년대 초반까지는 3분위 가구였지만, 2000년대 이후 4분위 가구로 상승했습니다.
다른 선진국들의 중산층 기준은 한국과 다릅니다. 미국의 중산층은 월 6만 달러의 가구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일본의 중산층은 월 4만 달러의 가구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유럽의 중산층은 월 3만 달러의 가구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https://www.kdi.re.kr/research/focusView?pub_no=17839
자세히 소개되어 있는 사이트가 있어 링크 남깁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