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감동적인 영화 추천해주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감동적인 고전명작보다 시간가는줄 모르는 재밌는 저만의 인생영화 추천드리겠습니다.1. 락앤롤보트2. 인타임3. 리미트리스4. 맘마미아
학문 /
음악
23.01.05
0
0
태양과 관련된 신이나 동물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 동아시아 신화에서 태양은 중요한 신이었다. 이 지역의 태양과 관련된 일부 신과 동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태양신: 태양은 고대 인도, 시리아, 이란, 일본, 중국, 유럽에서 신으로 숭배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인도 신화에서는 태양신을 수리야(Surya)라고 하고, 일본 신화에서는 태양신을 아마테라스(Amaterasu)라고 합니다. 태양 고양이: 일본 신화에서 태양 고양이는 태양과 관련된 천상의 고양이입니다. 태양열로 변신하는 능력이 있다고 하며, 종종 머리 주위에 태양 후광이 있는 황금색 또는 흰색 고양이로 묘사됩니다. 태양새: 중국 신화에서 태양새는 태양과 관련된 천상의 새입니다. 행운과 행복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으며 종종 금 날개와 불 깃털로 묘사됩니다. 태양 용: 동아시아 신화에서 태양 용은 태양과 관련된 천상의 용입니다. 태양의 움직임을 조종하는 능력을 가졌다고 하며 금빛 몸과 불의 날개를 가진 모습으로 자주 묘사된다.
학문 /
역사
23.01.05
0
0
소말리아는 왜 해적들이 많은거죠?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말리아는 원래 2개로 분리된 국가였습니다. 하나는 영국이 지배하는 북소말리아이구, 또하나는 이탈리아가 지배하는 남소말리아 입니다. 그러다가, 2차 세계대전이 끝난후, 같은 문화로 결속되어 있던 남,북 소말리아는 '위대한 소말리아'는 모토를 달고 1960년 통일 하였습니다. 그런데 통일 소말리아에는 하나 문제점이 있었는데요, 에티오피아와 오가덴지역에 대한 영토분쟁이었습니다. 소말리아는 '위대한 소말리아'의 첫걸을 시작하기 위해, 오가덴 지역을 침공했지만 결국 패배하였습니다.이때부터 소말리아에는 점점 어둠속으로 빨려들어 갔습니다. 다수를 차지하던 남부소말리아 부족들은 북소말리아에 전쟁패배의 책임을 전가 하였고, 오간데지역의 100만명에 달하는 피란민들을 북부로 죄다 움기고, 생존을 위한 약탈을 허용하였습니다. 이에 반발한 북부소말리아는 내전을 일으켰고, 이는 10년 동안 지속되 었습니다. 그결과, 소말리아의 독재 정권은 무너지고, 북부소말리아는 국제연합이 인정하지 않았지만 독립하여 소말리란드 공화국을 탄생시깁니다. 북부는 그이후 아프리가에서 민주주의 체제가 가장 발전된 나라로 성장하지만, 문제는 남부 소말리아입니다. 남소말리아는 독재정권이 무너진후, 군벌들이 우후준순 생겨났고, 독재정부가 무너진 20년 동안 무정부 상태에 빠젔습니다.(군벌수 대략 13개) 무정부 상태에 있던 소말리아 국민들은 가난과 폭력의 억압속에서 살아야 했고, 살기위해 마약밀수나, 강도, 살인들을 저질러야 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어민들은 해적질을 하였는데요. 이 해적질이 원래는 생계유지를 위해서 하는 짓이 었는데, 하다보닌 수입이 짭잘해져서, 너도나도 해적질을 하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전투자금을 벌기위해 군벌들도 해적질에 참가하고, 영국의 브로커들이 돈좀 벌겠다구 투자를 해대서, 점차 전문적이고, 첨단장비를 장비한 정규군 형태의 해적이 된것입니다. 이번 해적들은 좀 허접했지만, 어떤해적들은 아프리카 평화유지군도 어쩌지 못할 정도로 강력하다는 군요.
학문 /
역사
23.01.05
0
0
왜 일본은 대통령이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은 의원내각제 국가이고요. 우리나라는 대통령 중심제입니다.총리와 대통령은 같은게 아니고요본래 통상적인 대통령제 국가에는 총리가 없지만 우리나라는 특수한 경우인 혼합형이라 대통령 아래에 국무총리가 있는거고요일본 같은 의원내각제 국가는 천황이 국가원수이지만 실권은 없고 총리(아베)가 실권을 가지고 있는거고같은 의원내각제 국가이지만 왕이 없는 독일 같은 경우는 대통령이 실권없는 국가원수이고 역시 총리(메르켈)가 실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5
0
0
우리나라도 이집트 처럼 미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10년 4월 경상북도 문경 홍덕동에서 발견된 무연고 분묘 ‘진성이낭 묘’를 기억하는가. 17세기 조선시대 진성 이씨 성을 가진 여인은 수백년 후 미라 상태로 다시 세상의 빛을 봤다.직물과 목재 유물 등 50여가지의 유물이 여성과 함께 출토됐다. 이씨 여인의 사인은 성인병으로 밝혀졌다. 현대인의 전유물인 줄로만 알았던 성인병이 조선시대 여인에게서 확인되자 세간의 관심이 집중됐다. 그러나 2019년 현재, 여인은 이 세상 어디에도 없다. 연구가 끝나면서 화장(火葬) 처리돼 한 줌의 재가 됐기 때문이다. 보존 처리를 거쳐 박물관에 보관된 유물만이 이 세상에 남은 그의 유일한 흔적이 됐다.연구자들은 미라가 가진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크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국내에는 미라 발굴·연구·사후 관리를 위한 정책이나 규정 등 어떠한 체계도 마련돼 있지 않아, 미라가 발견되고 필요에 따라 연구를 마치고 나면 화장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언론을 통해 알려진 몇몇 미라만이 연구자 개인의 뜻에 따라 어렵사리 보존되고 있다.<투데이신문>은 한국 미라가 갖는 역사·문화적 가치를 고찰하는 한편, 미라가 화장터로 내몰릴 수밖에 없는 한국의 미라 발굴·연구·관리 부실 문제를 꼬집어 보기 위해 ‘사라진 미라를 찾아서’를 기획했다.
학문 /
역사
23.01.05
0
0
일본은 왜 아파트가 많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진, 화재 등의 재난상황에서 가장 빠르게 도망가려면 낮은 집이 유리해서 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또 인식이라는게 있는데 일본에서는 아파트에 살면 가난하다고 생각한답니다
학문 /
역사
23.01.05
0
0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원인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차세계대전을 제국주의의 관점에서 보자면식민지 쟁탈에 늦게 출발한 독일의 불만세계패권국가 영국에 도전한 독일정도로 볼 수 있겠네요 세계1차대전을 제국주의가 전쟁을 일으킨 이유는 사실상 식민지때문이지 1차세계대전은 2차세계대전처럼 그리 큰 이유가 있던 전쟁은 아니었습니다그전까지 유럽에서의 전쟁은 매우 흔했거든요.
학문 /
역사
23.01.05
0
0
윈스턴 처칠의 생애와 업적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국의 정치가. 옥스퍼드셔 출생. 1895년 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4경기병 연대에 입대, 인도로 배속되었는데 특별허가를 얻어 쿠바반란 진압작전에 참가하였다. 1898년 수단원정, 1899년 보어전쟁에 참가하여 종군기사를 발표하였다. 보어전쟁에서 포로가 되었으나 탈출에 성공하여 국민영웅이 되었다. 1900년 보수당 후보로 하원의원에 당선되었으나 보호관세정책에 반대하여 1904년 자유당으로 옮겼다. 1906년 이후 자유당 내각의 통상장관·식민장관·해군장관을 역임하였는데, 제1차 세계대전 중 다르다넬스작전 실패의 책임을 지고 1915년 해군장관 자리를 물러났다. 1917년 군수장관으로 재입각, 1919년 육군장관 겸 공군장관, 1921년 식민장관이 되었다. 그러나 당시의 자유당은 분열하여 쇠퇴의 길을 걸었고, 소련에 대한 강한 반감과 열기를 더해가는 노동운동에 대한 위기심에서 보수당에 복귀하였다. 1924년 보수당 볼드윈 내각의 재무장관이 되어 자유무역주의를 주장하고 영국의 파운드화를 금본위제로 복귀시켰다. 1926년 총파업 때 강경한 탄압정책을 주장하여 노동운동가들로부터 적대시되었다. 1929년 내각총사퇴 후 10년간은 보수당 주류파와 견해를 달리 하였던 탓으로 1931년 거국내각에도 1935년 보수당 내각에도 입각하지 않고 각외에 머물러 있었다. 보수당 주류파와의 차이점은 당시의 국책이었던 인도자치론에 반대한 것과 대독일강경론을 주장하여 주류파의 유화정책에 반대한 것이었다. 보수당 주류파는 파시즘을 공산주의에 대한 방파제로 여겨 유화정책을 주장한 반면, 처칠은 나치독일의 군사력이 영국의 안전에 위협이 된다고 하여 군비낙후를 규탄하고 영국·프랑스·소련동맹을 제창하였다. 소련과도 동맹해야 한다는 생각은 그의 반소주의가 영국의 안전보장이라는 지상명령에 자리를 양보한 결과였다. 이 주장은 제2차 세계대전 직전에 인정되기 시작하여, 1940년 노르웨이작전 실패를 계기로 보수당은 총리 체임벌린 대신 그의 지도를 요망하여 총리에 취임하였고, 전시중에는 노동당과의 연립내각을 이끌고 루스벨트, 스탈린과 더불어 전쟁의 최고정책을 지도하였다. 1945년 총선패배 후에는 야당당수로서 집권노동당에 대한 공격을 늦추지 않았고, 냉전시대의 도래를 예견하고 반소진영의 선두에 섰으며, 1946년 미국 미주리주 풀턴 연설에서 '철의 장막'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 1951년 총리에 재취임하고 경(Sir) 칭호를 받았다. 1955년 당수직을 이든에게 물려주고 평의원으로 하원에 머물러 있었다. 역사·전기 등 산문에 뛰어나 《랜돌프 처칠경》(1906) 《말버러:생애와 시대》(4권, 1933∼1938) 《제2차 세계대전》(6권, 1948∼1954) 《영어사용국민의 역사》(4권, 1956~1958)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1953년 《제2차 세계대전》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였다. 화가로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학문 /
역사
23.01.05
0
0
미국의 독립전쟁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본래 영국 당국은 1763년경까지 캐나다와 미시시피 강 서쪽 땅에서 프랑스인들을 추방하고 대서양 연안 식민지에 대해 보다 확실한 장악과 함께 더 큰 부담을 요구하는 각종 세금을 부과했다.영국은 설탕조례, 군대숙영조례, 인지조례, 타운젠드 조례 등으로 식민지 부담을 가중시킴으로써 프랑스 · 인디언 전쟁과 7년전쟁에서 치른 막대한 전비를 보충하고자 했다.그 결과 빚어진 잦은 충돌사태는 1773년 보스턴 차 사건으로 확대되었고, 이 사건이 일어난 2년 뒤 매사추세츠 렉싱턴에서는 영국군과 식민지인들 사이에 첫 무력충돌이 일어남으로써 마침내 독립전쟁이 개막되었다
학문 /
역사
23.01.05
0
0
포드 자동차회사의 역사에대해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포드는 1903년 6월 16일 미국 미시간 주 디어본(Dearborn)에서 헨리 포드(Henry Ford)가 설립했고 디어본에는 현재에도 포드 본사가 있다. 2004년 포츈 잡지의 매출액 기준에 의하면, 양대 자동차 회사인 폭스바겐 AG와 토요타 자동차의 뒤를 이어 세계 3위의 자동차 회사이다. 그러나 수년 전만 해도 포드는 제너럴 모터스에 이어 둘째로 큰 자동차 회사였다.포드는 과거 거대 노동인력을 관리하는 방법과 자동차 제조공정의 방법을 개혁해 왔다. 제조공정의 연구 결과로 엘리 휘트니가 제안했던 교환가능한 부품을 사용한 최초의 일괄 작업 공정을 1913년 도입하기도 했다. 이 방식에 따라 자동차는 벨트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작업자는 단순한 반복 작업으로 부품을 장착하게 되어, 기업 입장에서는 저비용으로도 높은 품질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현대의 수많은 제조 기업들이 이 공정을 채택하여 대량생산의 시대가 열리게 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노사관계 역시 당시로서는 획기적이었다. 1914년 당시 일반적인 노동시간은 하루 9시간이었고 임금은 일당 2달러 34센트였다. 그러던 것을 8시간 노동시간에 5달러를 지급하면서 노동자의 복지향상에 기여하기도 했다.설립 초기 포드 자동차의 성공은 1908년 10월 포드 모델 T를 발표하면서부터였다. 이 자동차에는 825달러라는 저렴한 가격이 매겨졌다. 포드 모델 T는 1914년 50만대 이상 팔리면서 미국 전체 자동차의 반 이상을 포드 자동차일 정도로 포드 자동차의 성공에 혁혁한 공을 세운 모델이다.
학문 /
역사
23.01.05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