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속담은 어떻게 유래가 되었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래는 '국어국문학사전-속담'에서 발췌한 속담의 형성과정의 내용입니다. 어떤 표현이 하나의 속담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우선 속담은 한 개인의 비유와 발언에서 비롯한다. 그것은 처음부터 마음속에 품고 있던 기발한 착상에서 나올 수도 있고, 그저 우연히 어떤 사건을 묘사 서술하는 과정에서 나올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비유의 어구가 새로운 사례에서 다시 적용될 때에 그것을 이해한 언어대중이 그 묘사의 절실함에 경이와 쾌감을 느껴 크게 공감을 얻지 못하는 한, 그 어구는 아직 좀 더 다듬어져야 할 여지가 있을 뿐 아니라, 계속해서 다시 인용이 될 만큼 사회적 보편성을 그 의미내용이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그것이 처음 처음 사용되었을 때보다는 더 다듬어지면서 공감을 느끼는 언어대중에 의해 거듭되어 인용도되었을 때, 그것은 속담의 자격을 갖추고 언어사회에 정착한다.
학문 /
역사
23.01.02
0
0
타이타닉에 나오는 주인공은 실존 인물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많은 분들이 헷갈리시는 이유 중 하나가 '타이타닉은 실제 있었던 일이다' 라는 영화사에 마케팅인데요. 물론 영화 개봉 전에도 많은 사람들은 타이타닉에 침몰에 대해서 알고 있었죠. 그런데, 타이타닉이 실화라고 하는건 '타이타닉이 침몰'한것이 실화란거지 '영화 속에 모든 등장인물'이 실화란 것은 아닙니다. 제임스 카메론감독이 타이타닉이라는 재앙을 단순한 블럭버스터화가 아닌 좀더 드라마틱한 연출을 돋보이기 위해 잭과 로즈라는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낸 거구요. 하지만 영화내에 나오는 몇몇 인물들은 사실이라고 해요. 타이타닉이 서서히 물에 잠길 때, 한 노부부가 침대에 누워서 손을 꼭 잡고 죽잖아요. 그 노부부도 실제로 구조선 자리가 모자란것을 알고 그랬다고 하네요.. 또한 침몰 할떄 사람들을 위해 끝까지 연주를 했던 악단들도 실제로 있었다고 합니다. 물론 그 사건에 생존자분들이 증언한 거구요. 다시말해 잭과 로즈의 이야기는 영화일 뿐 실존인물이 아니였습니다. 타이타닉이라는 실제사건의 큰 범주아래에 있는 케릭터일 뿐이죠.
학문 /
음악
23.01.02
0
0
크리스마스가 12월 25일이 전 세계적으로 지키는 것 같은데, 그런데 러시아는 1월 7일이라고 합니다 왜 이렇게 다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러시아 크리스마스가 느린 이유시베리아를 품고 있는 러시아이다. 국민 대부분이 러시아 정교회를 믿기 때문에 새해가 지난 1월 7일에 크리스마스를 기념한다. 정교회에서는 일반적인 그레고리력보다 율리우스력을 전통적으로 사용한다. 율리우스력은 그레고리력보다 매년 11분씩 늦다. 그런 이유에서 현재까지 율리우스력은 약 13일이라는 시간이 늦어졌고 개신교나 가톨릭의 성탄절인 12월 25일보다 13일이 늦은 1월 7일이 크리스마스다.
학문 /
역사
23.01.02
0
0
전쟁발발시 가장 먼저 피해를 보는부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얼마전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해 카카오공화국으로 불렸을만큼 전국민이 통신두절이였죠?현대전에서는 전쟁시 통신시설을 공격하는것만큼 혼란을 주는게 큰 피해일듯합니다
학문 /
역사
23.01.02
0
0
설날에 떡국 을 많이 먹는데?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부터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습은 오랫동안 이어져왔습니다. 상고시대 신년 제사 때 먹던 음식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음의 기운이 물러낙, 양의 기운이 다시 살아나는 설날을 맞이해 수명과 풍년을 관장하는 신에게 복을 빌었다고 하네요.이에 가래떡은 양의 기운을 상징하고, 길고 가늘게 만든 가래떡을 식구들의 무병장수와 풍요를 빌며 나누어 먹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02
0
0
중국은 일본을 왜 싫어하나여?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은 일본을 죽기보다 싫어 합니다.일본이 유엔 안전 보장 상임 이사회에 들고 싶다고 했을때 중국이 앞장서서 반대 했을 정도 입니다.왜 중국이 일본은 싫어하냐?작은 원인으로는 일본의 만주 침략이겠죠.일본이 우리나라를 전진기지로 삼아서 중국의 만주를 공격했는데이것으로 중국은 많은 피해를 봤죠.그리고 가장 큰 원인은 난징 대학살입니다.침략을 했다면 땅만 차지하면 그만이지 20만이라는 어마어마한 무고한중국민들을 죽였습니다. 20만이 말이 20만이지 정말 큰 숫자입니다.(중국측 주장은 43만 정도 월드컵 때 서울 시청 앞에 모인 사람들의 수 정도 되겠네요또 중국을 열 받게 하는 사람들은 난징대학살이20만이 아니라 몇 천명이 전쟁 중에 죽었다고 표시 책에 표시 했고일본의 만주 침략이 정복이라고 우기기 때문입니다.일본은 이 사건의 책임으로 당시 총 사령관이였던 마쓰이 이와네 장군을처형 시키는 것 이외는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았죠.그래서 중국은 자기나라에서 일본이 축구를 하는 것도 싫어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02
0
0
예수의 국적은 어느 나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적은 이스라엘.고향 출생지는 베들레헴.구약에 예언된 곳(미 5:2).자란 곳은 나사렛.이사야 11장 1절 “이새의 줄기에서 한 싹이 나며 그 뿌리에서 한 가지가 나서 결실할 것이요”마2:23.한 ,가지,는 히브리어 네체르.나사렛 예수라는 것은 다른 예수라는 이름과 구별하기 위함과 예언적 예수라는 것.예언적 이름은 임마누엘.21 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23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하셨으니 이를 번역한즉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 함이라 〔사 7:14〕마태복음 1:21,23예수는 구약의 여호수아와 같은 뜻의 구원이라는 뜻의 이름.그리스도는 히브리어 메시야의 헬라의역으로 직명.
학문 /
역사
23.01.02
0
0
설날 명절의 유래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설이라는 말의 유래는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다음 몇 가지 설이 있어요. 첫 번째 낯설다, 설다의 설에서 유래되었는데 처음 만난 사람을 낯선 사람, 처음 가보는 곳을 낯선 곳인 것처럼 처음 맞이하는 날을 낮 서는 날로 생각하여 설이 되었고요.두 번째로는 서럽다는 듯의 “섦다”라는 뜻으로 한 해가 지나감으로 점점 늙어가는 처지가 서럽고 서글프다는 뜻으로 설이라고하고요. 세 번째로는 “삼가다 ”라는 뜻을 지닌 사리다의 “살”에서 나온 말인데 새해 첫날 몸과 마음을 삼가고 조심하는 날로 한 해를 아무 일 없이 잘 지내게 해 달라는 바람에서 유래되었다고 해요.
학문 /
역사
23.01.02
0
0
광개토대왕의 업적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백제를 공격하여 한강까지 진출2.요동,만주의 대부분,연해주 지역까지 영토 확장3.수왕이 광개토 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광개토 대왕비를 세움4.동부여를 통합5.백제,왜 연합군을 격파6.신라에 칩입한 왜군을 격파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2
0
0
예술가가 작품을 보는 시선은 일반인이랑 다르나요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해 못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인들은 실사에 가깝거나 눈에 익숙한 장면을 시각화한것만 느끼실수 있고, 그게 정상입니다. 하지만 예술가들이 작품을 평가하는 방법이 다른 이유는 예를들어 집을 만드는데 있어서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똑같은 집이지만, 건축을 하는사람들은 내부에 세세한 굴곡의 디테일 , 세부적으로 자연친화적인가 등등 차이를 보는겁니다. 스킬이라던지 레이아웃의 비율 색감의 조화 등등 이죠. 딱 보는순간에 뭐야? 나도 할거 같은데 라기보단 의도를 파악하면 다르게 보이는 매력이있죠. 영화의 숨은 장면처럼
학문 /
미술
23.01.02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