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인간이 거짓말탐지기를 속이는것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거짓말 탐지기에 걸리지 않는 사례도 간혹 존재합니다. 거짓말을 해도 심경변화나 맥박, 호흡, 뇌파의 변화가 없을 경우 알아내기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거짓말을 할 때 변화가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기는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빛의 속도보다 빠른 게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 실험적으로 밝혀진 물질 중 빛보다 빠른 물질은 발견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래서 현재까지는 빛이 가장 빠른 물질입니다. 또한, 이론적으로 빛보다 빠른 입자가 있는데 타키온이라는 입자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가상의 입자이며 존재하거나 발견된적이 없습니다. 물론 발견될 가능성도 없다고 감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07
0
0
최근 튀르기예 지진을 보면 사전에 예후를 감지할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지진 전조 증상은 지하수의 수위, 수온, 냄새, 라돈 함유량 등의 변화와 가스의 분출 유무, 지진계, 지진파를 통해 모니터링 함으로써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물론, 전 범위적으로 이를 수행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전조증상을 파악하지 못한채 지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원자력, 수력, 화력, 풍력, 태양광 발전 중 가장 효율이 좋은 발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에너지가 발생하는 비율로 보았을 때 가장 높은 효율을 내는 것은 원자력입니다. 원자력 발전은 미량으로 고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원자력 발전은 핵분열을 원리로 합니다. 핵분열은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과 같은)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불안정한 원자가 다른 원자로 변하며 결손되는 질량이 발생하는데, 이 결손된 질량이 에너지로 전환됨에 따라 에너지를 얻어지는 것입니다. 불안정한 원자에 중성자를 충돌 시킴으로써 붕괴를 시키는데, 이 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 많은 양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때 질량 손실에 의해 얻어지는 에너지는 E=mc^2에 의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1g의 질량 결손만으로 9000만 줄(J)의 에너지가 생성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2.07
0
0
치매가 생기는 원인이 어떤게 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이가 들면서 신체는 퇴화하기 시작합니다. 그 중 뇌도 퇴화가 되는데, 뇌가 퇴화되면서 치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뇌질환이나 대사성 질환, 내분비 질환 등 질환으로 인해 치매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2.07
0
0
나침반은 어떻게 항상 북쪽과 남쪽을 가리키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는 거대한 자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북극점(S극)과 남극점(N극)을 끝으로 지구 자기장이 형성되어있습니다. 그리고 나침반 또한 자석입니다. N극과 S극이 있죠. N극이 가르키는 방향은 북극점을 가르키는방향으로 북쪽이며, S극을 가르키는 방향은 남극점을 향하기 때문에 남쪽임을 알 수 있죠. 이러부터 북남선을 찾아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우주의 끝에는 뭐가 있을까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의 범위는 정해져 있습니다.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지구 중심으로부터 관측 가능한 우주까지의 거리가 465억 광년(빛의 속도로 465억년 이동해야 갈 수 있는 거리)이라고 합니다. 직경 930억 광년이죠. 실제 우주는 이 크기보다 훨씬 큽니다. 물론 관측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관측할 수 없죠. 마치 이런것과 같습니다. 우리는 우리나라에 살고 있지만 눈으로 볼 수 있는 거리가 제한되어 있죠. 하지만 지구에는 미국도 있고, 유럽도 있고 다른 나라들도 있지만 우리 눈으로 볼 순 없죠. 그래서 우주 끝에는 무엇이 있는지 그 누구도 알기 어렵습니다. 현재로썬 오로지 상상의 영역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리처드파인만 박사가 말한 나노의 세기란 어떤 기술을 뜻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노 단위는 분자 정도의 단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굉장히 작은 크기(나노 단위)에서 나노 크기의 회로를 설계하여 전기 신호를 만들어내는 기술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우리가 사용하는 전자제품, 가전제품에 들어가는 컴퓨터의 크기가 작아지며 기술력은 올라가게 되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3.02.07
0
0
지구온난화가 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장운영, 나무 베기, 산깍기, 자동차 사용, 플라스틱 사용등으로 온실 기체가 생성되며 지구의 온난화의 원인을 제공하였습니다. 온실 기체로는 대표적으로 이산화탄소가 있으며, 메탄, 황 등이 온실 기체가 됩니다. 이러한 온실기체는 지구에서 우주로 열을 방출해야하는데 온실효과로 인해 온실기체가 열을 머금어 열 방출율을 줄어들게 합니다. 때문에 온난화가 일어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운동 선수의 도핑은 어떤 원리로 검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혈액을 체취하거나 소변에서 나오는 약물 반응을 통해 검사할 수 있습니다. 도핑할 경우 혈액과 소변의 성분의 변화가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이를 체취하여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도핑을 했는지 안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3.02.07
0
0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