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렌즈를 착용하면 시력이 높아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시력의 문제는 근시, 원시, 난시 등의 문제가 되며 이에 따라 오목, 볼록 렌즈를 통해 교정을 수행합니다. 시력에 따라 뚜렷이 보이는 위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오목함과 볼록함의 곡률을 조절하여 렌즈를 제작해 교정을 할 수 있습니다.난시는 물체를 볼때 물체가 하나로 보이지 않고 여러개로 퍼져보이는것을 의미합니다. 근시는 먼 거리의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고 가까운 물체는 뚜렷하게 보이는 현상입니다. 주론 젊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시력저하죠. 원시는 근시와 반대로 먼 거리의 물체가 잘 보이는 대신 가까운 물체는 흐릿하게 보입니다. 돋보기안경으로 시력교정을 하죠. 이는 주로 눈의 노화를 겪는 나이 있으신 분들에게서 주로 나타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17
0
0
LNG 가스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LNG는 액화천연가스(Liquid Natural Gas)의 약자입니다. LNG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메탄을 주성분으로한 천연가스의 종류입니다. 성분비율은 다양하지만 대략 메탄(72%~95%), 에탄(1%~13%), 프로판(3%~13%), 질소(1%~18%)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러한 성분으로 만들 수 있으며 자연에서도 얻을 수 있죠.
학문 /
화학
23.01.17
0
0
라디오 주파수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라디오 주파수는 교류 회로를 구성하여 안테나 송신부를 통해 특정 파장의 전파를 생성해 만들 수 있습니다.교류 회로는 교류 전압, 전류의 특성상 진동하는 회로입니다. 전류의 흐름을 바꿈으로써 자기장의 변화를 만들고, 자기장의 변화는 전기장의 변화를 만듭니다. 또한 전기장의 변화는 또다시 자기장의 변화로 이어지며 연쇄 작용에 의해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동인 전자기파(빛)가 만들어집니다. 이 때 교류회로의 주파수를 설정하여 특정 주파수를 만들 수 있으며, 라디오에서 이와같은 원리를 이용해 전파를 보냅니다.또한, 전파를 받는 수신부에서는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전달 받아 전파를 다시 소리로 변환하여 우리에게 들려주는 원리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17
0
0
지진은 어떤 지역에서 자주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환태평양 불의고리(=조산대, 화산대, 지진대)는 태평양 주변으로 판의 경계가 위치하여 지진과 화산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을 보고 부르는 명칭입니다. 태평양 주변으로 마치 띠, 고리처럼 둘러 싸고 있고, 화산활동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불의고리라고 부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10
0
0
건조 할 때 산불이 더 잘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분은 물로 불이 붙는데 있어 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습한날에는 땅이나 공기중에 수분이 많이 있기 때문에 불이 잘 안붙습니다. 반대로 건조한날에는 불이 잘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산불이 일어날 수 있죠.
학문 /
화학
23.01.10
0
0
티비가 우리눈에 보일수있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니터 화면에는 RGB(red, green, blue 빨간, 초록, 파랑)의 기본적인 색상을 표현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3가지 색상으로 모든색을 표현할 수 있죠. 또한, 모니터나 TV를 자세히 들여다 보시면 작은 픽셀들로 빼곡하게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빼곡한 픽셀 부분부분에 RGB를 이용하여 색을 표현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그림을 보여주는 것이죠. 그리고 매시간 색을 변화시키며 영상으로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10
0
0
물은 몇 도 부터 끓기 시작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물은 100도부터 끓기 시작합니다. 또한 순수한 물의 끓는점은 외부 압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압력이 낮을 때에는 100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끓고, 압력이 높을 때에는 100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끓게됩니다.
학문 /
화학
23.01.10
0
0
물방울이 둥근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방울이 둥글게 맺히는 이유는 표면장력 때문입니다. 물에는 표면장력이라는 물 분자간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존재합니다. 전기력을 기반으로 한 힘이죠. 물 분자는 H2O로 전기적으로 극성을 띱니다. 그래서 물 분자간 전기력이 작용하여 강한 힘으로 붙어있죠. 이러한 힘이 표면장력을 만들기 때문에 둥근 형태를 만듭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10
0
0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경우는 밀도가 기름보다 높고 전기적 극성을 띱니다. 기름은 밀도가 낮으며 무극성이죠. 그래서 기름은 물에 뜨게되고 극성이 없어 섞이지 않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10
0
0
소주를 먹으면 우리몸에서 어떤한 작용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주를 마시면 알코올에 의해 숙취가 발생합니다. 숙취가 생기는 이유는 술을 마셔 체내에 알코올이 쌓이며 생깁니다. 이 알코올이 분해가 될 경우에는 숙취가 덜하지만 과음으로 인한 경우 알코올이 분해되지 못하고 쌓여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알코올을 분해하는데는 수분이 필요하죠. 그래서 술을 마시면 갈증을 느끼는 이유입니다. 병원에서 수액 주사를 맞으면 부족한 수분이 보충되며 알코올의 분해가 잘 일어납니다. 그래서 숙취해소에 좋죠. 하지만, 언제나 과음은 좋지않으니 드신다면 적당히 드시는것을 권유드립니다.
학문 /
화학
23.01.10
0
0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