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무지개를 더욱 더 선명하게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를 선명하게 보게 되는 것은 공기중 적절한 수증기량과 구름, 또 햇빛의 양입니다. 무지개는 햇빛이 수증기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이 물방울이 마치 프리즘 역할을 하여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것입니다. 무지개는 해를 등진 채 해와 반대 쪽에서 볼 수 있는데, 해와 반대편에 위치한 곳에 있는 수증기에서 햇빛이 굴절되고 분산되어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이죠. 이 무지개는 수증기량이 적을 경우 무지개가 흐릿하게 보일 수 있으며, 너무 밝은 날에는 무지개가 잘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수증기량이 많고 주변이 적절한 밝기일 경우 무지개가 아주 선명히 보일 수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5
0
0
별똥별 불은 운석이 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는 우주 쓰레기, 작은 운석부터 큰 운석까지 다양하게 있으며, 이러한 것들이 가만히 있지 않고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우주에서 떠돌아 날아다니는 것 중 지구 주변에 있는 작은 운석이나 우주의 쓰레기가 지구 중력에 이끌려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 때 아주 빠른 속력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지구에 있는 대기와 우주에서 지구로 떨어지는 물체 사이에 마찰열이 발생해 타버리게 됩니다. 우리는 이를 보고 별똥별이라합니다. 마치 별이 꼬리를 달고 떨어지는 모습과 같아서 별똥별이라고 이름을 지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태양 표면의 온도는 어떻게 측정하나요? 몇 도인지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 표면의 온도는 태양에서 나오는 빛을 분석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별, 태양, 행성에서 나오는 자체의 빛의 경우는 흑체 복사에 의한 빛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흑체 복사란 간단히 온도에 따른 빛의 파장 분포입니다. 즉, 모든 물체는 온도를 가지고 있고, 그 온도에 따라 방출하는 빛이 있습니다. 그래서 태양에서 나오는 빛을 분석하여 태양의 표면 온도를 알아내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온도는 왜 섭씨와 화씨 2개로 나뉘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씨와 섭씨는 과학에 발전에 따라 나라마다 온도의 기준을 다르게 하였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섭씨가 익숙하고 사용하기도 편하죠.화씨는 물의 끓는점을 212(화씨)도, 물의 어는점을 32(화씨)도로 기준잡아 180등분한 온도체계입니다.섭씨는 물의 끓는점을 100(섭씨)도, 물의 어는점을 0(섭씨)도로 기준잡아 100등분한 온도체계입니다.온도라는 것은 사실 기준잡기 나름이고 새로운 체계를 얼마든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 나라마다 화씨나 섭씨를 대표적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현재까지 남아있습니다.참고로 섭씨와 화씨의 변환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화씨=섭씨*9/5+32 입니다.
학문 /
화학
23.01.04
0
0
지구의 공전과 자전 속도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공전 속력은 29.76km/s=107136km/h이며, 적도 기준으로 자전 속력은 1670km/h 정도 입니다.공전 속력은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를 r로 두었을 때 2πr/365일을 계산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자전 속력은 지구의 반경을 r로 두었을 때 2πr/24시간을 계산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왜 복숭아는 물렁한 복숭아와 딱딱한 복숭아 두가지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분량의 차이입니다. 수분량이 많은 복숭아는 물렁하며, 수분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복숭아는 딱딱하죠. 이는 에틸렌이라는 성분 때문입니다. 에틸렌은 기체 형태의 식물 호르몬으로 과일을 숙성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에틸렌이 많이 가해질수록 수분량이 많은 물렁 복숭아가 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1.04
0
0
과학의 발전으로 전기차가 많이 생겼는데요~ 환경과는 상관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장기적으로 봤을 때 전기차의 경우 휘발유, 경유를 사용하는 차량보다 더 환경 친화적입니다. 물론 초기에 전기차를 제작하고 전기 충전소를 설치하는데 있어 환경오염이 발생했겠지만 전기차의 경우 차량 가동시 환경 오염물질 배출이 거의 없기 때문이죠. 하지만 전기차 베터리의 경우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1.04
0
0
온도계를 흔들면 눈금이 내려가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계를 흔들면 원심력(구심력)에 의해 밀도가 높은 물질은 흔드는 중심에서 가장 바깥으로, 밀도가 낮은 물질은 흔드는 중심과 가까운 쪽으로 모입니다. 이는 컵에 물을 담고 팔로 한바퀴 돌려도 물이 떨어지지 않는 원리와 같습니다.
학문 /
물리
23.01.04
0
0
바나나는 왜 점점 변색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일의 껍질을 벗겨낼 경우 폴리페놀산화 효소가 분비되면서 폴리페놀과 산소의 반응을 촉진하고, 폴리페놀 성분들을 퀴논 같은 물질로 산화시킵니다. 이렇게 생긴 퀴논은 활성도가 커서 빠르게 산화되는데, 이 때 갈색 물질을 생성합니다. 이를 갈변이라고하죠. 갈변된 부분을 잘라내고 먹는것이 좋습니다. 갈변된 부분을 먹을시 체내에서 활성산소가 생성됩니다. 활성산소는 피부 노화를 촉진하므로 좋지 않습니다.갈변하는과일은사과, 복숭아, 배, 바나나등이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1.04
0
0
비누방울이 얼었다 녹으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누방울이 다시 녹게될 경우 녹으면서 물이 흘러내려 형태를 유지할 수 없습니다. 비눗물의 경우 물보다 어는 점이 낮습니다.
학문 /
화학
23.01.04
0
0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