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바다의 파도가치는 현상은 그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파도는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발생합니다.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바다와 호수에 작용하므로 물결이 이는걸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넓고 깊은 바다에 비해 호수는 좁고 얕으므로 파도가 크게 일렁이지 않습니다. 만약 큰 태풍이나 바람이 분다면 호수에도 파도가 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3
0
0
밤하늘에 별들이 반짝입니다 저 어두운 밤 하늘이 무엇 때문에 별이 반짝이는 것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중요하지만 보이지 않는 공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공기는 기체 분자들이 가득 모여있습니다. 빛이 이 공기를 지나 우리 눈에 들어오기까지, 빛과 공기의 상호작용, 산란, 굴절 등이 일어나게됩니다. 그래서 완벽히 직진하여 우리눈에 들어오지 못하죠. 그래서 아지랑이가 생기거나 아른아른하게보이며, 반짝거리기도하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3
0
0
관상은 과학이라는데 어떠한 원리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관상은 과학이라는 말은 그냥 하는 말이며 상황에 맞춰 끼워맞추는 말입니다. 관상은 과학적인 것보다 통계적으로 해석하며, 언제나 예외가 존재하며 틀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3
0
0
전자레인지의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로 음식을 데울 때 마이크로파를 쏴 음식물 속에 있는 물 분자를 무작위로 진동시켜 물 분자의 운동을 활발하게 만들어 온도를 높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23
0
0
에어컨은 어떻게 차가운 바람을 내보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컨의 작동원리는 공기가 통과할 때 이 공기의 열을 냉각수를 이용해 빼냅니다. 공기를 냉각 시키는 것이죠. 공기에서 빼낸 열을 실외기를 통해 분출하고 차가운공기는 실내로 보내는 원리입니다. 그리고 냉매는 다시 냉각되어 공기를 차갑게 만들어주죠.에어컨 뒤에 연결된 물관을 통해 물이 뚝뚝뚝 흘러나오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 공기가 식으면서 공기 중에 있던 수증기가 물이된것입니다. 이 물을 배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제습작용도 동시에 이뤄집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23
0
0
우리몸의 70%가 물인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몸의 수분은 혈액 순환, 소화 등을 도우며, 피부 세포내에 존재해 탄성감을 주어 외부 충격을 보호하기도 합니다.
학문 /
화학
22.11.23
0
0
드라이아이스는 온도가 얼마이기에 만지면 화상을 입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마치 물이 얼어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되는 점인 영하 78도 이하의 온도로 존재합니다.. 즉, 만지면 굉장히 차가운 드라이아이스에 피부에 있는 열을 빼앗겨 동상을 입게되죠. 그런데, 이로인한 흉터는 피부조직을 파괴하므로 마치 화상과 같은 통증과 상처를 남기기 때문에 화상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11.23
0
0
바닷가 가장 깊은 곳에 사는 생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의 깊이를 끊임없이 탐사하였는데, 현재까지 인간이 잠수정을 타고 도달했던 최대 깊이는 10908m입니다.심해의 최대 깊이는 11034m입니다.심해에도 생물이 살고 있습니다. 유명한 영상이 있는데 아래 링크 두겠습니다.https://twitter.com/ScienceChannel/status/1127960765112176641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3
0
0
축구에서 무회전 슛은 왜 공이 날아가면서 흔들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의 무회전에 의해 공주변에 난류가 발생하는데, 이 때 베르누이 원리가 적용되기 때문입니다.베르누이 원리란 유체(공기)의 속력이 빠르면 밀도가 낮아지고, 유체(공기)의 속력이 느리면 밀도가 높아지는 베르누이의 원리가 있습니다.무회전하며 날아가는 공은 공기를 가르며 날아가게 되는데, 공의 표면에 있는 홈과 공기의 흐름에 의해 공 주변으로 난류가 발생합니다. 난류가 발생하게 되면 공 주변으로 기압이 변화하는데, 이 기압 변화로 인해 공 주변으로 공기의 속도가 빠른 부분과 느린 부분이 생기면서 기압 차가 미묘하게 발생합니다. 기압차가 발생하면 힘의 차이를 만들어 내게 되는데, 이 때문에 무회전 공은 난류에 의한 힘을 받아 공이 흔들리며 날아가는 것입니다.
학문 /
물리
22.11.23
0
0
드라이아이스를 주방에 놔두면 소리가 나는데 왜 이런거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영하 70도 이하로 존재하며, 이산화탄소의 고체(얼음 상태)상태입니다.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끓는 점은 -78도 정도 입니다.즉, 이산화탄소의 고체상태인 드라이아이스 입장에서 주변의 물건이나 공기는 굉장히 뜨겁게 느껴집니다. 비유를 하면 물의 끓는 점은 100도인데, 얼음을 뜨거운 150도가 되는 기름에 펑펑 터지게 되죠. 드라이아이스 입장에서는 주변 환경의 온도가 이러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열을 전달 받아 진동하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11.23
0
0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