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폴더가이스트 현상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체에 접촉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움직이게 할 수는 있습니다.쇠로된 물체의 경우 물체를 자화시켜 자기장을 형성하거나 전기장을 형성시켜 움직이게 할 수 있죠.그냥 물체의 경우 중력을 가할 수 있는데, 비현실적이지만 암흑물질(눈에보이지 않는 질량을 가진 물질)이 일시적으로 뭉쳐 강한 중력을 행사한 경우에 물체가 움직일 수 있습니다.그리고 음파를 보내 공기를 진동시켜 물체를 떨리게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블랙홀이 생성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이 어떻게 생기는 지는 아직 정확하게 관측된 사실이 없습니다. 그래서 가설을 세우고 계산을 통해 이론적으로 생기는 과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수백배가 되는 별의 죽음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여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별의 죽음으로 생기는 원리는, 거대한 별은 중력이 강합니다. 그래서 별이 살아 있을 때에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열이 발생돼 별의 자체적인 중력과 평형을 이루며 별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별이 죽게되면서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못하고 결국 자체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별이 붕괴하여 블랙홀이 되는것이죠.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면서 만들어진 블랙홀은 물질이 뭉쳐 자체적으로 강한 중력을 이길만한 열, 에너지를 만들지 못하고 붕괴되어 블랙홀이 되는것입니다.블랙홀은 상대성 이론과 우주론에 의해 예견된 것이고 현재는 관측을 성공한 실존하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석유 매장량 제한이 있나요 계속해서 생산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자원은 무한하지 않습니다. 지구 내에 있는 자원은 제한된 양이며 계속해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언젠가는 고갈이 되고 맙니다.
학문 /
화학
22.11.21
0
0
지구의 대 지구 대기권 공기는 어떻게 해서 지구에서 떨어져 사라지지 않고 지구에 계속 매달려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에 의한 것입니다. 대기권의 기체들은 질량을 가지고 있고, 우리 처럼 기체도 지구 중력에 이끌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주로 날아가지 않고 지구에 붙어 있는 것이죠. 또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지구 표면에서 대기의 밀도가 높으며, 상공으로 갈수록 희박해지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거울,휴대폰 뭘로 보는게 나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거울은 평면거울에 반사된 상이 눈으로 들어오는 것이며, 사진은 작은 렌즈를 통해 물체의 빛을 모아 인화하여 사진으로 만든것이기 때문에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실물에 가까운 것은 거울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사진은 입체적인 우리의 모습을 카메라 눈 하나로 2차원 사진으로 담기 때문이죠. 우리의 눈은 두 개이며 공간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거울로 보는 우리의 모습도 공간감을 느낄 수 있으며 실물과 비슷하죠. 하지만, 거울은 좌우가 반전되었기 때문에 타인이 인식하는 나와 본인이 인식하는 나의 모습이 다르게 와닿을 수는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21
0
0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흡수 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질문자님께서 이와 관련된 질문을 올리셨는데, 그에대한 답을 참고로하여 답해드리겠습니다. 기체는 액체의 온도가 높아지면 많이 녹지 못하기 때문에 온도가 올라가면 자연스레 바다의 온도도 올라가므로 이산화탄소가 녹는 정도가 줄어듭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오로라가 잘 관찰되기 위한 조건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하전입자)이 대기의 기체와 부딪혀 생겨나는 현상입니다.하전입자는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주선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인 우주선이 행성으로 들어오는데 이때 전하를 띠고 있으면 행성 자기장에 의해 나선 운동을 합니다. 우주선은 나선 운동을 하며 극지방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에서 나선 운동이 강하게 일어나죠. 나선운동을 하며 대기에 있는 기체와 부딪히며 빛을 발하는데 이를 오로라라고합니다.빛이 나는 원리는 기체 분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외부 우주선과의 충돌로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려고 낮은 에너지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손실 되는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 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는것이죠. 기체의 종류와 에너지의 차이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므로, 빛의 색도 달라지는 것입니다.오로라가 잘 관측될 때는, 태양이 활발하게 움직이는 때이며 태양풍이 강할 때입니다. 이는 어느정도 주기성이 있고 예측이 가능하므로 천문센터에서 정확하게 예측해줍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체는 물에 용해될 수 있습니다. 기체의 압력(대기의 압력)이 높을 수록, 액체의 온도(바다의 온도)가 낮을 수록 기체는 더 잘 녹습니다. 이유는 바다는 물 분자, Na, Cl 등 다른 원소를 포함하여 존재합니다. 이러한 이온과 분자들 사이에 공간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기체가 공간으로 녹아들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21
0
0
부모와 혈액형이 다른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부모의 혈액형과 다른 아이가 충분히 나올 수 있습니다. A형과 B형 부모로 부터 AB형, O형도 나올 수 있습니다. 어머니쪽이 AA, AO 아버지 쪽이 BB, BO일 가능성이 있는데, 이 때 AO, BO일 경우 조합상 A형, B형, AB형, O형이 나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AA, BB일 경우 AB형만 나올 수 있으며, O형이 나올 수는 없습니다. 이 때 O형이 나왔다면 친자확인을 해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21
0
0
비가 오면 무릎 쑤신데 그 연유는 어떠한 이유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기압의 변화때문입니다. 비가 오기전에는 저기압이 형성되고 이러한 기압의 변화가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해 교감신경을 활성화 시킵니다. 교감신경의 활성화로 신경말단에 노르아드레날린이 분비되는데 이러한 호르몬이 관절 주위 신경을 자극하며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몸이 쑤시는 것입니다.
학문 /
물리
22.11.21
0
0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