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생체발광과 생체형광은 반응식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발광과 형광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발광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스스로 빛을 내는 생물을 생체발광 생물이라고 합니다.형광은 태양 빛이나 외부의 빛을 받으면 빛이 발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외부 빛에 의해 발광하는 생물을 생체형광 생물이라고 합니다.스스로 빛을 내는 것은 특정 물질을 뿜어내 산소나 다른 원자간 반응을 통해 빛을 발하는 원리이며, 외부의 빛을 반사하여 발광하는 형광은 외부의 빛을 흡수한 원자의 에너지 상태가 높은 상태가 되었다 다시 낮은 상태가 되며 빛을 발산하는 원리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6
0
0
벌이 사라지면 정말 인류가 멸망하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벌이 사라지면, 생태계(동식물)의 체계가 무너집니다. 벌은 꽃, 나무, 농작물 등의 결실을 맺는 것도 벌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또한, 포식자 피식자의 관계가 사라지는 경우이기 때문에 곤충, 동물의 체계에도 영향을 줄 것입니다. 벌의 영향으로 인해 생태계의 체계가 무너지면서, 연쇄적으로 더욱 더 큰 타격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즉, 벌은 생태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벌이 사라지는것을 우려하고 있는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16
0
0
안녕하세요 인간이 달에 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사람은 달에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사람을 달에 보내진 않습니다. 달 탐사를 위해 사람을 보내지 않고 로봇을 통해 탐사를 수행합니다.왜냐하면 아폴로 17호 이후로는 달에 갈 필요성이 줄어 들었고, 탐사선과 탐사로봇을 통해 충분히 과학적 탐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달에 가게 되면 우주선, 방서선에 노출에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사람이 달에 가지 않죠. 그리고 내년에 NASA에서 달의 극지에 물을 찾는 탐사로봇인 VIPER를 보낸다고 합니다. 이렇게 로봇을 이용하면 열악한 환경에서도 장기간 탐사가 가능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6
0
0
딥러닝과 머신러닝의 차이점은 먼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머신러닝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습을 시켜 모델을 생성하고, 이 모델에 새로운 데이터를 넣어 예측 값을 얻어내는 방법입니다. 딥러닝은 스스로 학습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모델을 생성해 새로운 데이터를 넣어 예측값을 얻어냅니다. 또한 새로운 데이터를 활용해 스스로 학습이 가능합니다. 즉, 데이터가 주어지면 스스로 분류하거나 모델을 형성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1.16
0
0
소나무와 대나무는 왜 사시사철 푸르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나무나 다른 나무가 겨울을 나는 방법은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 하며, 당분 등을 합성해 세포로 보내고 세포 내 수분이 어는점을 낮추며 겨울을 보냅니다. 침엽수(소나무처럼 잎이 얇고 뾰족한 나무들)의 경우 온도가 낮은 상황에서도 엽록소가 파괴되지 않고 광합성을 할 수 있으며, 침엽수의 수관(물의 통로)은 얇아 물이 잘 얼지 않으며 설령 얼더라도 조직 피해를 입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잎의 색 변화가 잘 없으며 겨울을 버틸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16
0
0
오늘 모처럼 옥상에 올라가서 스트레칭을 하다가 문득..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거미줄의 성분은 다양한 종류의 아미노산이 함유된 단백질이며, 글라이신의 성분으로 강한 결합력을 지니고 있죠. 또한, 파이로리딘, 인산수소칼륨, 질산칼륨 등의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거미줄이 건조해짐을 방지하고, 탄성을 갖게 해주며, 비를 맞아도 끄떡이 없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6
0
0
북극성의 위치는 왜 변하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북극성은 지구의 자전축 선상에 있으며 지구와 굉장히 멀리 떨어져 있는 별입니다.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여도 변하지 않으며, 지구가 공전하여도 북극성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거의 자전축상에 존재해 위치가 변하지 않는 것이죠. 하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위치가 조금씩은 변합니다. 왜냐하면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북극성이 지구의 자전축 선상을 아주 조금 벗어나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6
0
0
껌을 씹다가 초콜릿을 같이 먹었는데 녹던데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저도 그러한 경험이 있습니다. 끔찍한 경험입니다..껌에 접착성(?), 찐득함을 유지해주는 성분이 기름에 녹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초콜릿은 유분이 풍부한 과자기 때문에 껌과 초콜릿을 같이먹으면 초콜릿의 기름성분이 껌의 접착력을 떨어뜨려 녹듯이 흐물해져 사라집니다. 초콜릿이 아닌 유분이 가득한 음식을 먹게 되면 껌이 녹을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16
0
0
설탕과 소금을 구분하는 과학적인 방법은 어떠한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적으로 현미경을 통해 결정의 모양을 보고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구성된 분자, 원자를 측정해 냄으로써 구별이 가능합니다.
학문 /
화학
22.11.16
0
0
지구의 중력이 태양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은 만유인력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만유인력이란것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그래서,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끼리는 서로 끌어당기는 만유인력이 작용하고 있죠.또한, 지구와 태양 사이에도 중력이 작용하고 있으며, 이 중력을 구심력으로 하여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습니다. 원운동 함으로써 관성력인 원심력이 작용해, 원심력과 중력이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지구가 태양에 이끌려들어가지 않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6
0
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