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걸어서 1광년을 가려면 얼마의 시간이 걸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재밌는 질문입니다. 사람이 걷는 속도를 4km/h로 두겠습니다.광속은 300000km/s 이고, 1년(=31536000초) 동안 광속으로 이동하면 그 거리는 9460800000000km 입니다. 즉, 사람이 이 거리를 걸으면 2365200000000시간이 걸리며, 일로 환산하면 98550000000일이며, 년으로 환산하면 270000000년 걸립니다.즉, 2경 3천6백5십2조 시간 걸리며, 2억 7천년 걸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건물을 더 높게 지으려면 어떤 기술력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고층 빌딩을 짓기 위해서는 튼튼한 지반을 선정해야하며, 고층 건물을 견뎌줄 뿌리를 잘 박아주어야합니다. 뿌리를 견고하게 박으며 서서히 높이를 높여 고층 건물을 짓죠. 또한, 고층 건물의 경우 지진이나 바람 등으로 인한 흔들림이 쉽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하며 탄력있게 할 수 있는 건축 자재가 필요합니다. 쌓아올리는 기술도 필요하지만, 고층 건물에 적합한 건축 자재를 만들 수 있는 기술도 필요하죠.얕은 지식이지만 참고가 되셨음 좋겠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10
0
0
칠판 긁히는 소리가 나면 왜 닭살이 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칠판 긁는 소리는 2000~4000Hz 주파수 영역대로 거칠고 불쾌감있으며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소리입니다. 이러한 소리가 교감신경을 자극하게 되는데, 교감신경이 작용하여 피부 속 작은 근육인 입모근이 수축하면서 피부가 닭살 모양처럼 변하고 모근에 자란 털이 곤두서게 되는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1.10
0
0
환태평양 조산대 일명 불의 고리에서 왜 지진이 빈발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환태평양 불의고리(=조산대, 화산대, 지진대)는 태평양 주변으로 판의 경계가 위치하여 지진과 화산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을 보고 부르는 명칭입니다. 태평양 주변으로 마치 띠, 고리처럼 둘러 싸고 있고, 화산활동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불의고리라고 부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벼락, 천둥, 번개는 어떻게 구분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천둥이 번개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번개는 단순히 빛의 번쩍임 입니다. 소리가 없습니다. 천둥은 빛의 번쩍임과 소리를 둘 다 한번에 의미합니다. 즉, 천둥이 치면 번쩍임(번개) 뒤에 뇌성(소리)이 들립니다. 또한 번개와 벼락은 같은 의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핸드폰이 사람의 뇌를 망친다는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은 마그넷이나 전자파가 나오긴 하지만 인체에 유해할 정도의 전파가 방출되지는 않습니다. 스마트폰을 제작할 때에도 안전 규정을 지키며 생산하기 때문에 큰 걱정은 안하셔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또한, 전선이나 tv, 컴퓨터, 전자랜지, 기타 가전제품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인체에 유해 할 정도의 전파는 방출되지 않습니다. 그러니 안심하고 쓰셔도 될듯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0
0
0
일회용 카메라 필름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폴라로이드의 원리는 물체나 대상을 카메라로 찍으면 폴라로이드 필름에 상이 맺힙니다. 필름이 까만 이유는 내부에 들어있는 현상액과 인화액이 빛에 노출됨을 막기 위함이죠. 그리고 사진이 찍힌 필름이 나오면서 필름에 있는 현상액과 인화액이 롤러에 눌려 터지면서 서로 섞이게 되는것이죠. 그래서 수 분내에 필름이 현상화되며 사진을 볼 수 있는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0
0
0
도파민에 중독됐다가 무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도파민은 일종의 신경물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사랑을 하거나 좋아하는 일에 몰입할 때 도파민이 분비됩니다. 도파민이 분비되면 기분이 좋아지는데, 한번 분비되고나서 다음에 분비될 때에는 더 많이 분비되어야 처음에 분비되어 자극받은 만큼의 자극이 남게됩니다. 그래서 도파민에 계속 갈증하는 경우가 있죠. 그리고 이러한 갈증이 심해지면 중독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1.10
0
0
손소독제는 손을 씻는것과 같은 효과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손소독제의 경우 손에 있는 기름 때나 다른 때를 벗기진 못하지만, 세균이나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제거하는데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1.10
0
0
냄비 등 주방 식기를 씻을 때 물로 불리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식물이나 쌀은 수분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서 굳어있던 음식물이 물렁해져 설거지하기가 쉽죠.
학문 /
화학
22.11.10
0
0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