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휘발류에서 맛있는 냄새가 난다고 하는 사람은 정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냄새나 향의 경우 사람마다 느끼는 부분이 다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냄새를 맡을 당시 좋은 경험이 함께 있었다면 냄새가 좋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사람들이 좋다고하는 향도 나쁜 경험과 함께였다면 그 사람에게는 좋지 않은 향이 될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7
0
0
오로라는 어떻게 생기며 어느지역에서 많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하전입자)이 대기의 기체와 부딪혀 생겨나는 현상입니다.하전입자는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주선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인 우주선이 행성으로 들어오는데 이때 전하를 띠고 있으면 행성 자기장에 의해 나선 운동을 합니다. 우주선은 나선 운동을 하며 극지방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에서 나선 운동이 강하게 일어나죠. 나선운동을 하며 대기에 있는 기체와 부딪히며 빛을 발하는데 이를 오로라라고합니다.빛이 나는 원리는 기체 분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외부 우주선과의 충돌로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려고 낮은 에너지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손실 되는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 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는것이죠. 기체의 종류와 에너지의 차이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므로, 빛의 색도 달라지는 것입니다.아쉽게도 우리나라의 경우 오로라를 보기 힘듭니다. 하지만, 우주선의 양이 많아지고 지구의 자기장이 강해진다면 보실 수 있을 듯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6
0
0
탄산음료가 소화에 도움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마시면 위속에서 이산화탄소 기체가 발생하는데 이 또한 같은 원리로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것이죠.음식을 먹고 트름을 많이하면 소화가 잘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한 소화가 안된다고 탄산음료를 먹는것은 소화에 도움을 주진 않죠. 단순히 안나오는 트름을 나오게끔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학문 /
화학
22.11.06
0
0
사람의 체온은 어떻게 36도선을 유지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몸은 36.5도를 유지하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를 항상성 유지라고 합니다.항상성은 체온 유지, 체내 농도 유지, 체중 유지 등이 있습니다. 대표적인것은 체온 유지입니다. 우리의 체온은 36.5도씨 정도로 항상 유지되는 온도입니다. 더우면 땀을 흘려 체온을 떨어뜨리며, 추우면 몸이 떨려 체온이 올라갑니다. 즉, 추울 때 이가 떨리고 몸을 떠는 이유는 떨어진 체온을 올리기 위해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열을 올리기 위한 운동이 일어나는 것이죠. 또한, 체온을 뺏기지 않게 하기 위해 표면적을 줄이려고 움츠러드는 것이라 몸이 굳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06
0
0
날씨가 추워지면 건조해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가을과 겨울에는 한랭하고 건조한 기단이 들어오기 때문에 건조하여 입술이나 손, 발 등이 잘 틉니다. 그래서 핸드크림, 립밤등을 꼭 발라주어 보습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문 /
화학
22.11.06
0
0
머리카락은 하루에얼마나 자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머리카락이 자라는 속도는 하루 평균 0.3mm, 한달 평균 1cm 정도 자라납니다. 그리고 사람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는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학문 /
화학
22.11.06
0
0
에너지가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에너지는 절대적인 양이 아닌 상대적인 값입니다. 그래서 측정함에 있어 중요한 것은 에너지의 차이이죠. 또한, 에너지의 기준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양수가 될 수도 음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06
0
0
태풍이 회전을 하면서 이동하는데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경우 저기압(상승 기류)의 이동입니다. 저기압의 경우 외부에서 바람이 불어 들어와 상승기류를 만들어 상공에서는 바람을 밖으로 불어내죠. 여기서 바람이 들어오가 나갈 때 반시계 방향이나, 시계 방향이 되는 이유는 전향력(코리올리 효과)에 의해서 입니다. 또한, 이러한 저기압이 바람을 타고 이동을 하게 되기 때문에 회전하면 이동하는 것이죠. <코리올리>태양, 지구를 위에서 바라볼 때 지구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합니다. 그리고 이상황에서 우리가 적도에서 물체를 북극 방향으로 쏘았다고 상상해보죠. 지구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에서 본 관찰자 입장에서는 분명 물체를 북극방향으로 쐈는데 오른쪽으로 휘어서 날아갈 것입니다. 왜냐하면 적도에서 자전속도로 인해 오른쪽으로 운동하려는 관성이 작용하기 때문이죠. 이 관성은 적도에서 자전 속력이 가장 빨라 지구의 북반구보다 강합니다. 이를 코리올리 효과라고 하며, 마치 지구 관찰자의 입장에서 힘을 받는거 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관성력으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북반구에서 태풍이나 배수구에서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지도 바로 이해가 가실겁니다. 태풍이나 배수구의 경우는 위쪽 유체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왼쪽으로 휘며, 아래쪽 유체는 위쪽으로 이동하며 오른쪽으로 휘기 때문이죠. 지구의 자전에 의해, 코리올리 효과에 의한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6
0
0
아침과 저녁 보이는 하늘이 다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해뜰무렵 새벽과 해질 무렵 저녁의 색은 같습니다. 새벽에 해뜨기 전에 보시면 마치 초저녁과 같은 밤하늘의 색을 보실 수 있습니다. 조금 늦게 일어나서 아침 하늘을 보신다면 이미 해가 뜬 뒤라 파란 하늘을 보신 듯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6
0
0
거울로 반사된 햇빛으로도 광합성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거울은 모든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광합성에 사용되는 자외선 또한 반사합니다. 그래서 거울로 햇빛을 반사시키면 자외선도반사하기 때문에 광합성을 시킬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6
0
0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