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6

아침과 저녁 보이는 하늘이 다른 이유가 뭔가요?

아침에는 파란색인 하늘이, 저녁이 되면 검정색이 되는 이유가 뭔가요?

어차피 같은 대기면 아침과 저녁 모두 같은 색이어야지 맞는게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문득 과학전문가
    문득 과학전문가22.11.07

    안녕하세요.

    밤은 태양의 빛이 지구에 도달하지 못해서 검은색으로 보이고

    낮에는 대기(공기)의 분자에 의한 태양빛의 산란때문에 파랗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침 저녁으로 태양빛이 비춰지는 양이 다르기 때문이랍니다. 보통 낮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건, 빛이 산란하는 현상때문인데요. 저녁에는 태양빛이 적어지기 때문이랍니다.


  •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

    낮에는 통과하는 대기층이 짧아서 파장이 짧은 파란색부분이 산란되어 눈에 들어오고, 저녁에는 대기층이 길어서 산란되어버린 푸른색대신 산란양이 적어서 직진해들어오는 붉은색부분이 눈에 도달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해뜰무렵 새벽과 해질 무렵 저녁의 색은 같습니다. 새벽에 해뜨기 전에 보시면 마치 초저녁과 같은 밤하늘의 색을 보실 수 있습니다. 조금 늦게 일어나서 아침 하늘을 보신다면 이미 해가 뜬 뒤라 파란 하늘을 보신 듯 합니다.


  • 태양에서 오는 빛중에서 가시광선의 영향입니다.

    낮에 태양이 뜨고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파장이 짧은 파란색이 지표로 내려오지 못하고 하늘에서 모두 산란되기 때문에 파랗게 보입니다.

    나머지 빛은 파장이 길어 지표에서 흡수 합니다.


    밤에는 우리가 볼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에 존재하는 파장대의 빛이 없기 때문에 검게 보이는 것입니다.


  •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는 산소와 질소가 태양빛과 부딪칠 때, 빛으로 분산됩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이 분산된 빛 중,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입니다.

    저녁에는 태양이 없으므로 검게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