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수돗물 겨울철 장기 보관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동파의 위험이 큽니다. 만약 겨울철에 물을 계속 사용하신다면 겨울에 배관 주변에 단열제를 부착하여 동파를 어느정도 방지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또한 추운날에는 물을 졸졸 흐르게 하여 고인 물이 얼지 않게 유지하는 것도 중요해 보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02
0
0
털이 많으면 실제로 진화가 덜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거 유인원에서 진화가 된것이 맞다면 맞는 말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유전적으로 털이 많을 수도 있어 진화가 덜 되었다고 말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죠. 즉, 정확한 원인을 따져봐야 알 듯 합니다. 또한 먼 미래에 다시 털이 많이 자라난 인류가 될지 아니면 털이 없는 인류가 될지는 모르는 일이기 때문에 진화가 됐냐 덜 됐냐는 과거만 고려할 것이 아니라 미래도 고려해봐야할 일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2
0
0
무한동력을 기존 과학은 인정하려 하지 않습니다. 왜 그런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퀀텀(quantum)은 양자화라는 의미입니다. 즉, 연속이 아닌 불연속을 의미하는 뜻입니다. 모든 물질이나 에너지는 양자화 되어 있어 연속적인 값을 갖지 않고 불연속적인 값을 갖죠. 더 나아가 양자역학과 상대성으로 기술할 수 있는 시간이나 공간의 최소단위까지 존재합니다. 아쉽게도 무한동력의 경우 수학적으로 증명이 되어버렸습니다. 수학(이론)적으로 증명이 된 것은 실험으로 보일 수가 없습니다.드론을 365일 띄우는 것도 어디에선가 에너지를 받아낸 것이고 받아낸 에너지로 띄우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02
0
0
프란츠 하버는 어떤 사람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전에 읽었던 하버가 들려주는 화학 산업 이야기 라는 책이 있는데, 나름 재밌게 보았습니다. 추천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2
0
0
높은 산에서 밥을 지을 때 냄비 위에 돌을 얹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이나 고지대에서는 공기의 기압(압력)이 떨어집니다. 압력이 감소하면 액체의 끓는점이 낮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밥이 설익게 되는데, 돌을 얹혀 압력을 높임으로써 밥을 맛있게 익게하기 위해서입니다.물이나 액체가 끓어 기체가 되는 것은 분자간 인력(전기력)을 끊고 자유로워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액체를 누르는 공기 압력이 강해지면 자유로워지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압력이 약해지면 더 쉽게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압이 낮아지면 기체가 되는데 비교적 쉬워져 끓는점이 낮아지는 것이죠.그리고 산에서는 밥을 지을 때 돌을 얹혀놔 압력을 강하게 만들어줘 밥을 잘 익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02
0
0
한국에 미세먼지가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미세먼지는 사막의 모래바람, 공장 가동 등에 의해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사막의 모래바람이 우리나라에 까지 날아오게 되면 미세먼지가 높으며, 공장을 많이 가동하는 날에 미세먼지가 높을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02
0
0
왜 산에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중력으로 인해 대기가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대기도 질량을 가지고 있고 중력의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대기는 지표면 근처에 분포합니다. 그리고 지표면 근처의 대기 밀도가 높습니다. 하지만 상공으로 올라갈수록 중력의 영향이 작아집니다. 중력은 거리가 멀수록 힘이 약해지기 때문이죠. 그래서 상공으로 갈수록 대기가 점점 희박해지며 기압이 낮아지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2
0
0
최근 안개가 심하게 생기는데 안개가 생기는 원인과 안개가 심할때 조심해야할 것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안개>고기압 지대에서 새벽에 안개가 낄 수 있습니다. 밤부터 새벽까지는 식물의 광합성은 없고 호흡만 일어납니다. 그리고 호흡을 통해 수분 생성되며, 잎의 기공을 통해 나와 잎의 표면에 물이나 수증기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죠. 그리고 고기압의 영향으로 수증기가 증발하지 못하고 지표면에 쌓이게 되는데, 기온이 낮은 새벽에 수증기가 쌓이며 포화수증기량을 넘어서 안개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안개 낀 날의 낮에는 대부분 날씨가 맑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고기압 지대이기 때문이죠.풀숲이 아닌, 저수지가 있는곳이나 해안가, 호숫가에서는 물의 증발로 인해 안개가 발생 가능합니다.다른 경우는 비가 오고 난 뒤 습해진 공기와 풀잎이나 나뭇잎에서 물의 증발이 일어납니다. 증발된 수증기가 산을 오르는 기류를 만나 천천히 올라가게 되면 팽창되고 기온이 떨어지게되죠. 그러면서 수증기는 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안개가 되는것입니다. 그래서 습한날 산에 보면 작은 안개가 많이 보이는 이유입니다.안개는 시야를 가릴 수 있기 때문에 운전하는데 있어 주의하시고 조심하셔야합니다. 또한, 미세먼지나 매연이 많은날에 안개가 낀경우에는 스모그로 나타나 폐나 몸에 안좋은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합니다.
학문 /
화학
22.11.02
0
0
모든 물체는 중력을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는 중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중력은 만유인력으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힘입니다. 질량과 질량사이, 질량과 에너지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어 끌어 당기게 되죠. 하지만 이러한 끌어당김이 왜 있는지는 모릅니다. 단순히 자연이 그렇게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는 이런 현상을 관측하고 중력이라고 정의를 한 것이죠. 네, 아주 작은 물질에게도 중력이 존재합니다. 다만 너무 약해서 느낄 수 없습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도 중력이 존재합니다. 아주 작은 질량을 가진 모래알이나 수소원자와 같은 존재도 중력이 존재합니다.
학문 /
물리
22.11.02
0
0
압력 밥솥의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전기밥솥은 전기를 이용해 열을 발생시켜 밥을 짓는 것입니다.압력밥솥은 전기압력밥솥, 단순 압력 밥솥이 있습니다. 전기의 경우 앞서 말씀드린 전기 밥솥의 원리가 있으며 외부로 수증기, 열기가 잘 빠져나가지 못하게 만들어 내부압을 높이는 밥솥입니다. 일반압력밥솥은 가스렌지를 이용한 열기로 온도를 높이며, 마찬가지로 외부로 수증기나 열기를 빠져나가지 못하게하여 내부압을 높이는 밥솥입니다.밥을 지을 때 물을 넣어 물을 끓임으로써 밥을 짓게되는데, 압력이 높아지면 끓는점이 높아져 밥이 더 잘익어 맛있어지기 때문이죠.압력밥솥의 경우 강한 압력을 형성하는데 공기가 빠지면서 수분기가 같이 빠지기 때문에 푸석해질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02
0
0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