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월천로얄티
월천로얄티22.11.02

압력 밥솥의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압력뱝솥에 먑을 하면 찰기가 있고 밥맛이 좋잖아요. 그런데 고무패킹이 외관적으로는 아무 이상없는데 공기가 세나봐요. 밥알이 푸석푸석해졌더라구요. 여기서 궁금한 점은 일반냄비 밥을 할때도 냄비 뚜껑이 밀폐력이 뛰어나지 않는데도 밥에 찰기가 있게 밥이 되는데 왜 압력밥솥은 공기가 좀 빠졌다고 밥알이 푸석푸석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압력 밥솥은 대기압(=1기압)보다 더 높은 압력을 가하여 짧은 시간에 고열을 가하여 밥을 만듭니다.

    일반 냄비의 경우는 압력 밥솥보다 압력이 낮으므로 고열에서 밥을 가열하지 않으므로 푸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압력솥의 원리는 내부 압력을 평상시 대기압(1기압)보다 높여 짧은 시간 내에 더 많은 열을 가하는 것입니다.

    보통 음식은 대기압에서 섭씨 100도면 조리되는데 압력을 2기압으로 높이면 물이 120도에서 끓게 돼 더 빨리 밥이 익게 됩니다.

    그리고 밥이 푸석한 것은 고무패킹이 오래되거나 헤졌을때 발생하며 이것은 질문자님 말씀과는 달리 전기밥솥, 압력밥솥 모두 해당됩니다.

    증기가 미세하게 세어나와서 충분하게 밥알이 익지 않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압이 올라갈 수록 물의 끓는점도 함께 올라갑니다. 압력솥은 밀폐되어 내부의 압력을 높여 고온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때문에 맛있는데, 질문자님의 압력솥은 패킹이 완전 망가진게 아니라 조금만 세는 것 같습니다. 끓이다가 압이 차면 조금 빠지고 다시 압이 차고 빠지고를 반복하는 것 같은데 쌀이 다 익기도 전에 압력이 빠지면서 식어버리고 그런 과정이 반복되서 밥이 푸석푸석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음식물은 끓는 물에서 조리하므로 1기압, 약 100℃의 물에 일정한 시간 동안 넣어두면 조리가 됩니다.

    그러나 높은 산에서는 기압이 낮아 조리를 하기가 어려워지는데 왜냐하면 액체의 끓는점 은 압력에 따라 달라지는데 높은 산에서는 압력이 낮아 끓는점이 100℃보다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즉, 액체의 끓는점은 압력이 낮으면 낮아지고 압력이 높으면 높아지게 됩니다.

    이런 점을 이용해 솥 속의 증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압력이 높아지도록 만든 것이 압력밥솥입니다.

    이렇게 하면 끓는점이 높아져 잘 익지 않는 음식을 조리하기가 쉬워질 뿐만 아니라 같은 시간에 더 많은 열이 음식물로 전달되어, 더 빨리 요리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요리시간이 짧아지므로 요리 과정에서 쉽게 파괴되는 비타민이나 무기질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며 연료도 줄일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단 전기밥솥은 전기를 이용해 열을 발생시켜 밥을 짓는 것입니다.

    압력밥솥은 전기압력밥솥, 단순 압력 밥솥이 있습니다. 전기의 경우 앞서 말씀드린 전기 밥솥의 원리가 있으며 외부로 수증기, 열기가 잘 빠져나가지 못하게 만들어 내부압을 높이는 밥솥입니다. 일반압력밥솥은 가스렌지를 이용한 열기로 온도를 높이며, 마찬가지로 외부로 수증기나 열기를 빠져나가지 못하게하여 내부압을 높이는 밥솥입니다.

    밥을 지을 때 물을 넣어 물을 끓임으로써 밥을 짓게되는데, 압력이 높아지면 끓는점이 높아져 밥이 더 잘익어 맛있어지기 때문이죠.

    압력밥솥의 경우 강한 압력을 형성하는데 공기가 빠지면서 수분기가 같이 빠지기 때문에 푸석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압력밥솥은 말 그대로 솥안의 압력을 높여 물의 끓는점을 높이고, 음식을 높은온도로 조리하여 맛을좋게만듭니다.


    압력이 풀리면 높은온도로 조리가 안되기때문에 평소먹던맛과 달라지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