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천둥이 칠 때 불빛이 번쩍하고 소리가 날 때 왜 시간차이가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의 속력은 대략 30만km/s 이며, 소리의 속력은 대략 330m/s 입니다. 번개가 발생하여 우리가 관측하게 될 때 빛의 속력이 소리의 속력보다 빨라 번쩍임을 먼저 관측하고 우르르 쾅쾅 천둥 소리를 늦게 듣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5
0
0
사람은 어째서 물에 뜰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 뜨는 이유는 중력에 의해 밀도(부피당 질량)가 큰 물질과 밀도가 작은 물질이 있을 때 밀도가 큰 물질이 가라앉고 밀도가 작은 물질이 뜨게되는 원리입니다.바다에서의 경우에는 염분이나 미네랄, 기타 물질이 물에 녹아있기 때문에 밀도가 1보다 큽니다. 하지만 사람의 경우밀도가 1보다 작습니다. 그래서 사람의 밀도가 바다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에 사람이 바다 위에 뜰 수 있는 것이죠.또한, 강물이나 수영장의 경우 염분이 없지만 다른 물질이 녹아 있기도하여 바닷물보다는 밀도가 낮지만 평균적으로 사람보다 조금 더 큰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의 밀도보다 약간 높기 때문에 팔 다리를 젓거나, 공기를 많이 들이마시거나(밀도를 낮추면), 안정된 자세로 요동하지 않으면 쉽게 뜰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10.25
0
0
배터리,건전지에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건전지 내부에는 화학적 전해액이 존재합니다. 이 전해액은 +극을 띠는 분자, 원자와 -극을 띠는 분자, 원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극의 전해액은 윗부분(볼록 나온 곳)에 몰려있고 -극의 전해액은 아랫부분에 몰려있습니다. 그래서 전극을 만들어 건전지 역할을 하는 것이죠.스프링은 단지 건전지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입니다. 잔량은 알기가 어려우며 사용시간을 통해 알아낼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5
0
0
무선충전기는 어떻게 선이 없이 전기가 충전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코일과 자석의 상호작용을 이해해야합니다. 코일이 있고 외부에 자석이 있을 때 자석을 코일 주변으로 왔다 갔다 움직여주면 자기장의 변화가 생기므로 코일에는 유도 전류가 흐르는데요. 무선 충전기도 기본적으로 이러한 원리를 사용하고있습니다. 대신 무선 충전기는 자석이 아닌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죠. 전류가 흐르는 코일은 자석 처럼 행동합니다. 무선 충전기의 전류를 흘려보냈다 멈췄다를 반복(교류 전류)하면 자석을 움직이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에 무선 충전기 근처 휴대폰에 있는 코일을 반응 시키고 휴대폰 속 코일에 유도 전류가 생깁니다. 이 전류를 이용하여 충전을 하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0.25
0
0
빛의속도(광년)로 어떻게 측정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광년이란 빛의 속력(대략 30만km/s)으로 1년동안 간 거리입니다. 지구에서 다른 행성이나 별까지의 거리를 재는 아주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연주시차를 이용한 방법이 있으며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도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원하시면 댓글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5
0
0
중력이 인간의 몸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지구 행성에 붙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력이 없었더라면 걷거나 뛰게될 경우 우주끝까지 날아가 버립니다. 또한, 공기도 없을 수 있죠. 물론 이전부터 지구나 태양과 같은 행성이 생겨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중력이 없기 때문이죠. 모든 우주공간은 팽창만 일어나며 물질이 뭉쳐있지 않고 흩어질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5
0
0
저항이 0인 물체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저항이 0이되는 물체는 초전도체가 있는데, 저온 상태에서 저항이 0이되는 그래핀, 구리계 물질, 주석, 알루미늄, 세라믹 등에 나타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5
0
0
센서등은 어떻게 동작 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적외선 센서, 빛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센서는 위와 같은 종류의 자극(적외선, 빛의 변화, 움직임 등)에 반응하여 전류를 흘려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즉, 적외선 센서의 경우 우리 몸에서 나오는 온도에 의한 적외선으로 인해 센서가 작동 가능합니다. 빛의 변화나 움직임의 경우는 가까이 다가가거나 멀어지는변화를 주면(회로내 미분기를 사용), 이를 감지해 센서가 작동하는 것이죠. 그래서 미세한 전류를 흘려보내 불이 켜지게끔 스위치를 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5
0
0
석빙고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철동안 얼음골 주변 바위와 돌맹이에 냉기가 저장되었다가 여름철에 저장된 냉기가 방출되며 얼음이 어는 원리입니다. 주로 산 골짜기 부분에서 형성 될 수 있는데, 우리나라 외에도 산골짜기가 형성되며 4계절이 있는 지역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0.25
0
0
불, 드라이아이스의 화상은 같은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사실 화상같은 상처와 고통이지만 사실 엄밀히 따지면 동상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상태로 존재하는것입니다. 마치 물이 얼어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되는점인 영하 78도 이하의 온도로 존재합니다. 즉, 만지면 굉장히 차가운 드라이아이스에 피부에 있는 열을 빼앗겨 동상을 입게되죠. 그런데, 이로인한 흉터는 피부조직을 파괴하므로 마치 화상과 같은 통증과 상처를 남기기 때문에 화상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학문 /
화학
22.10.25
0
0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