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물끓는 온도와 기압과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나 액체가 끓어 기체가 되는 것은 분자간 인력(전기력)을 끊고 자유로워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액체를 누르는 공기 압력이 강해지면 자유로워지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압력이 약해지면 더 쉽게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압이 낮아지면 기체가 되는데 비교적 쉬워져 끓는점이 낮아지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10.23
0
0
지구가자전을안하면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럴일은 없겠지만 지구가 자전하지 않는다면, 태양의 반대면은 굉장히 추워지고 다른 한쪽면은 굉장히 뜨거워질 것입니다. 또한, 자전을 멈추게 되면 지구의 자기장이 약해지거나 거의 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면 외부에서 날아오는 우주선(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 및 방사선 등을 막아주지 못해 노출되 암이나 기타 다른 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또한 이상 기후가 지속되며 점점 생태계가 파괴되 나갈 것입니다. 결국 서서히 죽어가게 되죠. 다른 행성에도 공기는 있지만 산소가 희박하거 없는 행성이 대부분입니다.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행성이나 메탄으로 이루어진 위성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3
0
0
지구는 둥글다?네모다? 왜 이런 논쟁이 일어난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뭐라고 하든 행복하게 잘 살면 됩니다! 과학은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며 사실을 밝히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지구가 구형이다, 지구가 네모나다 등의 가설을 세우며 서로의 가설에 문제를 제시하고 피드백을 받으며 검증을 해나가는 것이죠. 물론 과학을 하지 않는 입장에서는 왜들그러지라는 반응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자들 입장에서는 저러한 과정이 흥미롭고 재밌기 때문이며 살아가는데 있어 행복을 느끼는 부분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3
0
0
아지랑이가 생기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중요하지만 보이지 않는 공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공기는 기체 분자들이 가득 모여있습니다. 빛이 이 공기를 지나 우리 눈에 들어오기까지, 빛과 공기의 상호작용, 산란, 굴절 등이 일어나게됩니다. 그래서 완벽히 직진하여 우리눈에 들어오지 못하죠. 그래서 아지랑이가 생기거나 아른아른하게보이며, 반짝거리기도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3
0
0
쌍둥이는 이어져있는 탯줄이 두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쌍둥이에게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탯줄이 각각 한개씩은 가지고 있어야합니다. 실제로도 탯줄이 각각 있어 영양분이 공급되죠. 네, 산모의 경우 영양공급을 두배로 해주게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3
0
0
소라 껍질에 귀를 대면 바다소리가 들리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빈 소라껍데기에서 바닷소리가 들리는 이유는 공명현상에 의한 것입니다.공명 주파수는 물체의 재질, 모양, 크기 등과 관련이 있으며 물체를 가장 강하게 진동시킬 수 있는 주파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즉, 빈 소라 껍데기는 미묘하게나마 진동하고 있으며, 소라 껍데기 구멍 내에서는 진동으로 인한 소리를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진동은 공명주파수에 해당하는 소리를 가장 강하게 발생시키고 있죠. 소라의 공명 주파수는 바닷소리와 유사한 소리를 냅니다. 그래서 우리 귀에 가져다 대면 바닷소리가 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3
0
0
달의 모양은 어느 나라에서 보던 똑같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지구가 자전하며 달이 우리 지구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어느 나라에서든 거의 비슷한 달의 위상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지구가 자전하는동안 달도 공전하기 때문에 위상의 차이는 조금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거의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보름달일 경우 달의 공전 속도보다 우리의 자전속도가 더 빨라 미국의 밤에서도 보름달을 볼 수 있는 것이죠.(하지만 엄밀히는 조금은 다릅니다. 달의 공전 속도가 있어 위상이 조금은 변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3
0
0
겨울철에는 나무보다 철이 왜? 더 차가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실 나무의 표면이나 벤치의 표면 온도는 겨울철 대기의 온도와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똑같은 온도로 차갑습니다.다만, 재질의 차이 때문에 열전도율의 차이가 발생하여 벤치를 더욱 차갑게 느끼는 것입니다. 쇠는 열전도율이 매우 높으며, 나무는 열전도율이 매우 낮습니다. 그래서 쇠에 우리의 피부를 갖다 대면 열을 순식간에 빼앗겨 더욱 차가움을 느끼는 것이죠. 반면에 열전도율이 낮은 나무에 피부를 가져다 대면 우리의 열을 거의 빼앗기지 않아 그렇게 차갑게 느끼지 않는 것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23
0
0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담그면 꽤 큰소리와 함께 뽀글거리는데 왜?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마치 물이 얼어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되는 점인 영하 78도 이하의 온도로 존재합니다. 이것이 물에 들어가면 열을 빼앗기며 녹게 되어 승화(고체->기체)가 일어나 이산화탄소 연기(기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체가 방출되며 뽀글뽀글 물거품이 일어나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10.23
0
0
'다이아몬드 더스트'란 어떤 기상 현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다이아몬드 더스트란 기온이 아주 낮을 때나, 한랭한 지역에서 대기(공기) 중 수증기가 얼어 미세한 얼음 결정으로 떠다니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 작은 얼음 결정이 햇빛에 의해 반사되어 마치 다이아몬드처럼 반짝 반짝 빛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3
0
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