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핸드폰화면 잠금 지문인식버튼으로작동하는대 작동원리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문 인식 센서로 초음파를 사용하는 원리입니다. 스마트폰에 지문을 등록할때 지문의 울퉁불퉁함을 이용하여 초음파를 쏴 특징을 저장 시켜놓는것이죠. 초음파가 굴곡을 인식해 이미지화 시킨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9
0
0
사람은 며칠까지 굶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게 333법칙을 많이 이야기하죠. 공기없이 3분, 물없이 3일, 식량없이 3주(20일 정도)까지 가능합니다.이러한 조건은 사람마다 다른데, 마른 사람의 경우 식량없이 일주일 정도 버틸 수 있으며, 체내 지방량이 많을 경우 지방을 에너지로 쓸 수 있어 20-30일 버틸 수 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9
0
0
비가 오거나 습한 날에 음식이 더 빨리 상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습할 때에 박테리아, 세균의 증식이 굉장히 빠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여름의 경우에는 온도까지 높아 세균, 박테리아가 증식하기에 굉장히 좋은 환경이 됩니다. 온도와 습도가 높을 수록 증식이 잘 일어나죠.그래서 습한고 더운날 음식이 잘 상하는 것입니다. 겨울은 건조하고 냉랭하기 때문에 여름보다 잘 상하지 않죠. 여름에는 음식을 꼭 냉장고나 시원한 곳에 보관하여 상함을 방지하고 식중독을 예방하시길 바랍니다.
학문 /
화학
22.10.19
0
0
추위는 사람에게 어떤 경로를 통해 인지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추위나 더위는 우리 피부의 온도보다 낮거나 높을 때 느끼는 것입니다. 우리 표면 피부의 온도는 대략 30도정도 됩니다. 그리고 환경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느끼기 때문에 30도보다 낮으면 시원함이나 추위를 느끼고, 이보다 높으면 따스함이나 더위를 느끼죠. 그런데, 추위의 경우는 30도보다 훨씬낮은 온도일 때 느낍니다. 우리의 체내의 온도는 36.5도 정도를 유지(항상성 유지)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추위에 의해 체온을 뺏기기 시작하면 뇌에서 온도를 유지하려는 작용을 합니다. 몸을 떨게하여 운동을 유발해 온도를 높이가나, 혈관, 땀구멍 등을 수축시켜 체온이 빠져나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죠. 이러한 경우가 추위를 느끼는 경우입니다.
학문 /
화학
22.10.19
0
0
지능은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능은 선천적인 후천적인 영향 반반 정도 됩니다.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본인이 좋아하고 적성에 맞으며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아내면 즐겁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그리고 찾아낸 것에 대한 지능을 올리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며 꾸준함이 필요합니다. 그러면 지능은 자연스럽게 올라갈 것입니다. 이러한 것은 행동이 매우 중요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9
0
0
순수한 금속일수록 녹는 점이 낮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녹는점은 물질의 결합력을 끊어내는 정도로 결합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대체로 녹는점이 높은 물질과 낮은 물질을 섞으면 비율에 따라 합금의 녹는점이 두 물질의 녹는점 사이의 값을 갖게됩니다.순수 물질 중 수은이 녹는점이 가장 낮으며 -39도로 상온에서 액체인 금속입니다.텅스텐은 녹는점이 가장 높은 금속이며 3422도에서 녹습니다.
학문 /
화학
22.10.19
0
0
실외 주차 차량에 물방울이 맺히는 과학적 원리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습한 날 물방울이 맺힐 수 있습니다.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고 기온이 떨어진 새벽에 이 수증기들이 물이되어 물방울을 맺히게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차량이나 식물 등에 이슬이 고여있게되죠. 그런데, 현재 가을과 겨울 같이 건조한 계절에는 공기 중 수증기량이 거의 없어 기온이 떨어져도 이슬이 잘 맺히질 않죠.
학문 /
기계공학
22.10.19
0
0
아침 하늘에도 달이 떠 있는 게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대낮에도 달이 하늘 위에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간혹 달에 의해 해가 가려지는 부분일식이나 일식이 일어나기도 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냉장고의 냉기 발생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냉장고의 냉기를 만들어 내는 원리는 에어컨과 비슷한 원리입니다.냉장고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게되는데 순환하면서 냉각 과정을 거칩니다.공기가 냉매제가 있는 부분을 지나며 냉매제가 공기의 열을 빼앗아 기화되고 공기는 차가워지죠. 차가워진 공기를 냉장고 내부로 다시 내보내고 기화된 냉매제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지나며 열을 방출해내 다시 액화되어 냉장고 내의 열기를 빼앗기를 반복합니다. 이렇게 지속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냉장고나 에어컨의 원리가 되겠습니다.
학문 /
화학
22.10.18
0
0
핸드폰 셀카와 일반카메라 내 모습이 묘하게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핸드폰마다 카메라의 기능과 성능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입니다. 요새는 기본적으로도 보정 처리가 된 핸드폰이 출시되는것도 있고 실물에 가깝게 나오는 핸드폰도 출시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도 많이 있죠. 그래서 다르게 찍힌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0.18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