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달에서 부터 지구까지의 거리를 연주시차로 구할 순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연주시차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먼 별에 대한 거리를 구하기에는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달의 경우는 지구와 가까우며 연주시차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은 측정이 가능해야하지만 달의 경우는 지구 주변을 돌고있어 어렵죠.하지만, 달 까지의 거리는 아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달의 공전 주기를 알고 있으며, 지구의 질량을 알고 있습니다. 물리학에서는 궤도 운동하는 물체의 공전 주기는 중심에 위치한 물체의 질량과 거리와 관계된 식으로 주어집니다. 즉, 달까지의 거리와 공전 중심에 위치한 지구의 질량, 그리고 달의 공전 주기간의 관계식을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모르는 양은 달까지의 거리이므로 이를 미지수로 두고 나머지 알고있는 값들을 대입함으로써 구할 수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7
0
0
씽크홀은 대비할수있는 방법이 없나요. 왜 생기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싱크홀은 땅 지하에 빈 공간이 생기면서 지반이 약해져 생깁니다. 주로 지하에 가득차있던 지하수가 빠져나가면서 빈공간을 만드는데 이로인해 싱크홀이 생깁니다. 예방하는 방법은 지하수의 분포를 파악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위험지역과 안전지역을 확실히 구분하는 방법이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7
0
0
엑스레이나 ct같은 방사선을 이용한 몸에 투영은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X-ray와 CT촬영은 둘다 X-ray 빛을 이용한 것입니다. X-ray는 진동수가 높고 파장이 짧은 가시광선보다 에너지가 높은 빛으로 살과 같이 연한 부분은 투과하며, 뼈와 같이 딱딱한 부분은 통과하지 못하는 성질을 가졌기 때문에 우리의 몸 내부를 볼 수 있습니다.CT는 X-ray와 컴퓨터를 이용해 인체의 특정 부위를 촬영하는 기법입니다. 인체의 특정 부위에 대해 여러 방향에서 X-ray를 쏴주며 투과한 X-ray를 검출기(detector)로 수집하여 흡수된 정도를 파악해 데이터화 시킵니다. 데이터를 컴퓨터에 전송해 계산하여 영상을 만들어 보여주는 원리입니다.
학문 /
물리
22.10.17
0
0
황해의 담수유입량이 많은 까닭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답은 바다의 넓이 차이에 있습니다.황해의 경우는 우리나라와 중국 대륙으로 둘러쌓여 있으며 황해의 넓이는 동해보다 작습니다. 즉, 대륙에서 생성된 담수가 좁은 바다로 흘러가기 때문에 황해의 염분이 낮아 지죠.하지만 동해의 경우 일본, 우리나라, 중국으로 둘러 쌓여있지만, 넓이가 황해에 비해 굉장히 넓습니다. 그래서 담수가 유입되어도 염분이 높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7
0
0
사람들의혈액형은 어떻게 만들어졋는지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어려운 질문입니다... 음, 아직 혈액형이 어떻게 해서 나누어져 있는지 또 혈액 속에 있는 것들이 어떤식으로 생겨났는지는 밝혀내지 못하였으며, 이를 밝혀내려 노력중에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아직 우리의 존재와 진화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미지의 부분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7
0
0
사람이 번개를 맞고도 무사 할 수 있는 이유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번개를 맞을 확률이 굉장히 낮지만 설령 번개를 맞는다하더라도 죽을 확률이 높지 않다는 통계적인 결과가 있습니다. 번개를 맞은 사람들 중 사망한 사람은 10~30% 입니다. 번개를 맞게되면 순간적으로 몸을 통과해 지면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번개맞은 사람에게 나타나는 증상은 화상, 심정지, 일시적 마비 등의 증상이 생겨납니다. 심정지의 경우 인공호흡법을 통해 살려낼 수 있기 때문에 주변에 사람이 있거나 한 경우에는 다시 살 수 있는 것이죠. 하지만, 주변에 사람이 없다면 죽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7
0
0
가을이되면 단풍이들고 잎이떨어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단풍이 지고 낙엽이 떨어지는 이유는 나무의 겨울나기(월동준비)준비를 하는것입니다.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에서 나무로 영양분이 전달되지 않게 됩니다. 이렇게 겨울나기를 준비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온도가 떨어지고, 일교차가 커지는 시기입니다. 나무도 생물이기 때문에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변화를 시작하죠.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며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이죠.더 궁금한 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7
0
0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시간은 사람들 정의한 것이며, 과학자들이 정의한 것입니다. 하나의 약속이죠.시간의 개념이 없다고 상상한다면 우리는 그냥 움직이며, 해가 뜨고 지는 것도 그냥 하나의 움직임 입니다. 이러한 움직임과 움직임 사이의 간격을 하나의 척도로 시간이라는 개념으로 정의를 하였죠.그런데, 시간은 존재하지않는다라는 것을 주제로 어떠한 전개를 펼쳤을지는 잘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시간이라는 정의를 하지 않는 것과 시간이라는 정의를 했음에도 시간이 존재하지않는다는 다른 이야기죠. 만약 후자의 경우 시간의 정의를 했는데,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우리의 움직임도 존재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일단 시간은 정의대로 존재는 합니다. 혹시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라는 영상을 보셨나요? 이에 대한 답은 해드릴 수 있습니다.상대성 이론의 개념 중 동시성의 상대성이라는 개념을 먼저 이해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동시성의 상대성에 대해 엄밀하진 않지만 이해를 도울수 있는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예를 들어 특정 두 사건이 있습니다. 두 사람이 10m 간격으로 선체로 동시에 박수를 친다고 생각해보죠. 그리고 제가 이 두 사람의 정 가운데에서 박수치는 것을 목격합니다. 그러면 제가 봤을 때 이 두 사람은 동시에 박수를 친것이죠. 그런데, 질문자님께서 두 사람 중 왼쪽 사람이 있는 곳에서 오른쪽에 있는 사람이 있는 곳으로 재빠르게 이동하면서 두 사람이 박수를 치는 것을 관측합니다. 그러면 당연히 질문자님이 움직이고 있고 두 사람과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각자의 빛이 도달하는 시간이 달라 동시가 아닌거처럼 느끼실 수 있습니다. 이때에는 왼쪽 사람의 박수치는게 먼저 목격되고, 오른쪽에 있는 사람이 박수치는 사건을 늦게 목격합니다. 즉, 동시가 아닌거죠. 이처럼 상대성 이론에서는 관찰자에 따라(특정 속력으로 운동을 하는 관찰자, 정지한 관찰자 등) 사건의 순서가 바뀔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의미로는 어떤 관찰자에게는 미래의 사건이지만 또 다른 관찰자에게는 현재의 사건이거나 과거의 사건일수도 있습니다.그러면서 시간의 개념을 관찰자를 고려하지 않고 섞어버리면 과거나 미래나 현재가 같은 시점의 사건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결론에 도달하여 시간이 흐르지 않는다라고 설명하는 유튜브가 많은것이죠. 하지만, 관찰자를 고려하게 된다면, 특정 관찰자에 대해 미래지만, 또 다른 관찰자에게는 과거고, 또 다른 관찰자에게는 현재인 사건이며 각 관찰자에 대해서는 시간은 흐르고 있고 단지 사건하나에 초점을 맞춰 관찰자를 뒤섞어 시간이 흐르지 않는다는 표현이기 때문에 올바른 표현은 아닙니다. 그래서 각자의 시간은 여전히 흐르고 있다고 생각하는게 맞습니다.상세히 이해시켜드리고자 길게 적었습니다. 혹시나 이해가 안가시거나하면 댓글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7
0
0
수류탄이 터질때 바닥에 엎드리면 살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류탄은 터지면서 사방으로 파편이 튀기긴하지만, 어느 정도 경사각을 두고 그 경사각보다 위쪽을 향해 파편이 튀므로 엎드리면 살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수류탄은 파편이 15~20m 정도 거리까지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재빠르게 수류탄과 먼 방향으로 머리를 두고 엎드리셔야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7
0
0
태양광과 태양열 발전의 차이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열은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을 이용해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킨 뒤, 이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에너지를 얻어냅니다.태양광은 태양 빛에너지를 금속에 가해주어 금속에서 전자가 튀어나와 전류가 되는 광전효과를 기반으로 한 발전입니다.더 궁금한 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7
0
0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