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전향력은 위치한 장소에 따라서 다르게 영향 받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코리올리 효과로 인한 전향력의크기를 따졌을 때 적도에서는 0으로 최소고 극지방에서 최대치입니다.(전향력은 2 m Ω v sinθ 이며, θ=90 일 때 극지방, θ=0일 때 적도, Ω 자전 각속도, v는 물체의 속력, m 질량 입니다.)즉, 우리나라에서 윗지방으로 갈수록 전향력을 많이 받으며, 배수구에 물이 빠질때 회전하는 정도가 강해집니다.코리올리 효과를 기하적으로 생각하면 조금 더 쉽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먼저, 지구는 곡률을 가진 구형이고 자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두고 설명하겠습니다.적도에서는 회전하고 있는 방향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물체가 날아가기 때문에 전향력을 0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래그림에서 빨간 물체를 자전축과 나란하게 던지게 되면 회전에 의한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는 이해를 돕고자하는 극단적인 경우로 실제 지구는 중력이 작용하고 있어 던진 물체가 중력에 끌려 극지방 부근을 향하게 이동합니다.) 극점(극지방; 북극; 남극;)에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물체를 수직하게 던지기 때문에 회전에 의한 영향력을 가장 많이 받습니다. 그래서 전향력이 최대인 것이죠. <코리 올리 효과>태양, 지구를 위에서 바라볼 때 지구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합니다. 그리고 이상황에서 우리가 적도에서 물체를 북극 방향으로 쏘았다고 상상해보죠. 지구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에서 본 관찰자 입장에서는 분명 물체를 북극방향으로 쐈는데 오른쪽으로 휘어서 날아갈 것입니다. 왜냐하면 적도에서 자전속도로 인해 오른쪽으로 운동하려는 관성이 작용하기 때문이며, 이 자전 선속력은 적도에서 자전 속력이 가장 빠르며 지구의 북반구로 갈수록 자전 선속력이 느려지기 때문이죠. 마치 지구 관찰자의 입장에서 힘을 받는거 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관성력으로 분류되고 이를 코리올리 효과라고합니다. 그리고 북반구에서 태풍이나 배수구에서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지도 바로 이해가 가실겁니다. 태풍이나 배수구의 경우는 위쪽 유체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왼쪽으로 휘며, 아래쪽 유체는 위쪽으로 이동하며 오른쪽으로 휘기 때문이죠. 지구의 자전에 의해, 코리올리 효과에 의한 것이죠.자세히 설명한다고 내용이 길어졌네요. 이해가 잘 되셨길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버스 도착 시간 알림은 어떻게 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GPS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었기 때문에 위치정보를 즉각 알 수 있는 것입니다. GPS는 굉장히 정확하기 때문에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이로인해 버스의 도착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6
0
0
바닷물에 몸이 잘 뜨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바닷물에는 염분을 포함한 다양한 물질이 녹아있어 수영장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입니다.중력에 의해 밀도(부피당 질량)가 큰 물질과 밀도가 작은 물질이 있을 때 밀도가 큰 물질이 가라앉고 밀도가 작은 물질이 뜨게됩니다. 바닷속 염분의 농도는 높으며 수영장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리고 염분의 농도가 높아지게되면 사람의 밀도보다 훨씬 크게되죠. 바다의 밀도는1 정도보다 크며 바다마다 다르지만 1.02-1.03정도 됩니다. 사람의 밀도는 보통 1보다 작은 평균 0.97정도 됩니다. 그래서 바다보다 사람의 밀도가 작기 때문에 몸이 둥둥 뜨는 이유입니다. 또한 수영장의 경우 밀도는 물의 밀도와 비슷하게 1정도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많은 과학자들이 말하는 특이점이 온다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실 특이점은 이미 와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달라진 점을 꼽자면 4차산업혁명이 도래하며 대부분의 전자제품이나 자동차, 가전제품 등이 자동화 되어있죠. 이러한 것도 특이점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특이점은 별다른게 아닌 과거와 현재의 달라진 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특이점은 순식간에 빠르게 오는 것이 아닌 사람이 적응할 수 있을 정도로 긴시간동안 천천히 오는 것이죠. 미래의 특이점 또한 천천히 올 것이며 우리는 거기에 이미 적응해 있을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전선을 땅에 묻으면 더 좋은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미관상이나 안전상 땅에 묻는 것이 더 좋긴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전봇대를 설치하여 전선을 연결해 뒀으며, 이를 다시 땅에 묻으려면 비용과 시간, 인력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상위에 전깃줄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죠.
학문 /
토목공학
22.10.16
0
0
아이스팩에 들어있는 성분에 대한 궁금증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이스팩의 주요 성분은 고흡수성 폴리머라는 화학물질입니다. 이는 기저귀나 생리대에도 사용하는 물질로 수분 흡수성이 매우 좋습니다. 그래서 수분을 흡수하면 젤리처럼 변하죠. 이를 아이스팩에 쓰는 이유는 물만 얼린 아이스팩에 비해 냉기의 지속시간이 2~3배 정도 더 높아진다고 하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고흡수성 폴리머는 미세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큰 단점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플레밍의 오른손법칙과 플레밍의 왼손법칙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이라고 전류가 흐를 때 전류 주변으로 자기장이 형성되는 방향에 대해 설명할 때 사용하는 법칙입니다.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류 주변으로 자기장이 생깁니다. 이 때 👍따봉 형식으로 손을 쥔 채로 엄지손가락을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둡니다. 나머지 네 손가락은 자기장의 방향인데, 손을 감는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이 됩니다.플레밍의 왼손 법칙은 자기장 내에 있는 도선에서 전류가 흐를 때, 도선이 받는 힘을 구할 때 사용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중지는 전류의 방향이고, 검지는 자기장의 방향, 엄지가 도선이 힘을 받는 방향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16
0
0
녹음한 내 목소리가 이상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의 전달 경로 때문입니다. 본인이 말하는 목소리는 목과 입의 진동으로 본인의 몸과 얼굴을 거쳐 귀로 전달되는 소리입니다. 녹음을 한 목소리는 목과 입의 진동소리가 공기를 타고 녹음기로 들어간 소리입니다. 이처럼 소리의 전달 경로가 달라지면서 목소리가 달라져 들립니다.녹음 외 메아리를 통해 본인의 소리를 들을 수 있지만 이 또한 본인이 생각한 소리와는 다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인간의 두뇌 저장용량은 얼마나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뇌의 용량은 1 PB(페타바이트)=1000TB(테라바이트) 정도의 용량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16
0
0
서해안과 남해안의 조차가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동해, 남해, 서해 바다에 밀물과 썰물이 있습니다. 밀물과 썰물은 조수간만의 차로 동해, 서해, 남해에서 모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다만, 동해의 경우 수심이 깊기 때문에 서해와 같이 갯벌이 형성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눈으로 분간이 잘 안되며, 서해 남해 만큼 조차가 심하지도 않죠. 즉, 수심 때문에 조차가 크지 않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