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온천수 속의 광물질들이 우리의 건강에 작용하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온천수에 녹아있는 유황성분을 포함한 광물질은 우리의 몸에 효능이 있습니다.온천수에는 탄산, 칼슘, 칼륨, 유황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피부질환, 신경통, 근육통 등에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유황성분은 우리 피부와 접촉하면 오티온산으로 변하는데 이 오티온산은 항균 작용을 해줍니다. 또한 황이 피부를 투과해 혈관을 확장시켜주며 독소를 배출시키는 효과로 작용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멀미약에는 어떤 과학 이야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붙이는 멀미약에는 스코폴라민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성분이 피부를 통해 흡수되게 되면 메스꺼움, 구토, 어지럼증 등 멀미를 담당하는 구토 반사 중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해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16
0
0
윤리를 배제 했다면 과학발전은 얼마나 더 진보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윤리를 배제 했다면 과학의 발전이 없었을 수 있습니다. 윤리가 없으므로 전쟁으로 사람을 쉽게쉽게 학살할 수 있으며, 끊임없는 전쟁의 연속이었을 것 같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6
0
0
차가운 물과 뜨거운 물 중 왜 뜨거운 물이 먼저 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음펨바 효과인 찬물과 뜨거운 물 중 어느 것이 더 빨리 어느냐에 대해 완벽히 풀리지는 않았습니다. 찬물이 뜨거운 물보다 빨리 어는 것이 상식적이고 어느 정도 맞는 이야기지만, 뜨거운 물이 찬물 보다 빨리 어는 것을 관측한 사실도 있기 때문이죠. 또한, 이 관측 사실에 대해 실험조건이나 환경등에 영향을 받아 뜨거운물이 찬물보다 빨리 얼었다라는 반박도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로썬 다양한 변수에 의한 조건과 환경에 따라 뜨거운물이 빨리얼수도 있고 찬물이 빨리 얼수도 있다라고 밖에 대답을 못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라디오 주파수 수신 범위는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AM라디오의 경우는 주파수가 낮으며 상공 200~400km 전리층에서 반사될 수도 있기 때문에 많게는 수천 km거리까지도 전파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질문자님께서 겪으신 경험이 가능한 경험입니다.참고>FM(Frequency Modulation; 주파수 변조) : 87MHz~108MHz로 높은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진동수가 높고, 에너지가 높아 물체나 장애물을 만나면 부딪혀 산란되는 경향이 있어 산이나 지형에서 전달이 잘 안됩니다. 하지만 음질이 좋은 장점이 있습니다.AM(Amplitude Modulation; 진폭 변조) : 500kHz~1600KHz로 FM보다 낮은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FM보다 진동수가 낮고 에너지가 낮아 음질이 좋지 않지만, 파장이 길어 장애물이나 산, 지형 등을 잘 지나기 때문에 멀리까지 전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6
0
0
집에서 키우는 식물이 햇빛을 보지 않는데도 잘자라는데 어떤 이유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행운목은 햇빛을 주어야 잎색이 변하지 않고 잘 자랄 수 있습니다. 어디에 두시고 키우실지는 모르겠지만 햇빛이 드는 곳 근처에 두신 것이라면 반사되는 햇빛으로 인해 잘 자랄 수 있습니다. 그것이 아니라면 행운목 나무에 있는 영양분에 의해 잘자라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나무에 있는 영양분은 제한 되어 있어 시간이 지나면 색의잎이 변할 수도 있으니 햇빛이 드는 곳 주변에 두시고 키우시길 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6
0
0
극지방에서 관측할 수 있는 오로라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하전입자)이 대기의 기체와 부딪혀 생겨나는 현상입니다.하전입자는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주선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인 우주선이 지구로 들어오는데 이때 전하를 띠고 있으면 지구 자기장에의해 나선운동을 합니다. 그리고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에서 나선운동이 강하게 일어나죠. 나선운동을 하며 대기에 있는 기체와 부딪히며 빛을 발하는데 이를 오로라라고합니다.빛이 나는 원리는 기체 분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외부 우주선과의 충돌로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려고 낮은 에너지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손실 되는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 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는것이죠. 기체의 종류와 에너지의 차이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므로, 빛의 색도 달라지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비행기가 하늘을 날수있는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비행기의 추진속도가 빠를수록 날개에서 발생하는 양력(압력차)이 강해지고 무거운 수하물을 싣고도 뜰 수 있는 이유입니다. 이런 원리로 날아가는 비행체는 흔히 우리가 타고다니는 비행기가 있습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 엔진의 가스를 분화해 비행체 밖으로 내뱉으며 앞으로 나아가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이런 원리로 비행하는 비행체는 드론, 헬리콥터, 로켓, 미사일등이 있습니다.비행체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강한 양력과 추진력이 필요합니다. 강한 양력을 만드는 방법은 날개의 곡선부분의 곡률을 더 크게 해주면 되며, 엔진의 파워를 높이면 됩니다.새는 두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하늘을 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냉매제로 주로사용하는 드라이아이스는 어떻게 만드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 가정에서는 어려우며, 공업, 실험실 등에서 냉각 장치를 이용해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의 고체 상태로 -78.5도 이하에서 얼게됩니다.이산화탄소 기체를 고체상태로 만들기위해서는 강한 압력과 극 저온의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체는 급격히 압축되고 급격히 온도가 떨어져 고체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실험 장비가 필요하며, 연구소나 공장에 있는 장비를 통해 만드는 것이 가능합니다.참고로 보통 대기압 상태에서는 이산화탄소가 고체나 기체로만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드라이아이스가 액체과정을 거치지 않고 기체가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지구과학, 우주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성이 있습니다.지구가 멸하지 않을 정도로 충돌할 경우 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공전 궤도를 조금 변경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물론 공전 주기, 자전 주기 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것은 소행성의 크기와 충돌 속도를 이용하여 조건을 따져 계산을 해봐야겠지만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