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물이나 음료수는 바로 장으로 가나요, 위에 머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물이나 음료수도 위에서 소화 과정을 거쳐 더 아래의 장으로 이동합니다. 소화과정은 영양소뿐만이 아니라 수분을 흡수하는 과정도 포함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위에서는 수분흡수가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영양소의 흡수만 일어납니다. 물과 음료수에도 영양소가 포함된 경우가 있으므로 소화를 거치며, 다음 내장으로 이동해 수분의 흡수가 일어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5
0
0
달의 공전주기,자전주기가 동일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행성의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동일한 것은 아닙니다. 우리 지구만 봐도 하루는 24시간(자전 주기)이지만, 1년은 365일(공전주기) 이죠. 다른 행성에 대해서도 각기 다릅니다. 자전 주기와 공전주기는 초기 생성시 정해지는 값입니다. 이를 회전 운동량, 각운동량이라고 하며 행성의 운동에는 각운동량 보존법칙이 적용됩니다. 즉, 자전에 의한 각운동량과 공전에 의한 각운동량이 생성 당시 정해진 것이며, 현재까지 이를 보존한 것입니다. 물론 외부 소행성 충돌 등으로 인해 자전이나 공전의 주기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습니다.신기한 것은 달의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같은데 이는 굉장히 특이한 경우입니다.정리하면 달의 자전주기와 공전주기는 생성 초기에 정해진 값입니다. 다른 이유는 없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5
0
0
달에 찍힌 발자국은 사라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에는 대기가 거의 없어 바람이 불거나 대류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흔적이 거의 지워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외부 운석이나 소행성과 충돌할 가능성은 있으며, 이로인해 지워질 수는 있습니다. 발자국보다 큰 돌멩이가 암스트롱의 발자국들을 지운다면 지워질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5
0
0
에프킬라는 인체에 무해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곤충, 해충을 죽이는 살충제가 곤충의 몸에 닿게되면 곤충의 신경을 마비시켜 죽입니다. 그리고 살충제는 인체에도 해로울 수 있으니 사용시 꼭 환기를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호흡기로 들어가면 기관지나 폐에 자극이 되어 좋지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5
0
0
무진동 차량 설계에 대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무진동 차량의 제품은 진동을 최소화 한것이기 때문에 거의 진동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진동이 완전한 0은 아닙니다.무진동 차량은 진동을 최소화한 차량입니다. 보통 차량의 진동은 엔진 가동, 운행에 따라 발생합니다. 이러한 진동을 잡기위해 에어 서스펜션을 설치하여 기존 차량의 진동 및 충격을 30~50%정도 줄여줍니다. 이러한 에어 서스펜션을 차량 내에 설치하여 진동을 잡는것이죠. 또한, 에어 스프링을 통해 진동을 잡을 수 있으며, 적재에 있어서 무진동 파레트를 설치하여 적재 화물에 대한 충격량을 잡아주는 역할을 해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15
0
0
향기는 어떻게 나고 만들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향수의 다양한 향이나 음식, 꽃, 과일에서 풍기는 향은 모두 화학 물질, 분자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향수의 다양한 향은 화학 물질, 분자를 조합해 좋은 향이 나도록 연구해 향에 이름을 붙임으로써 정해집니다. 그리고 이러한 향을 나는 향료에 알코올과 증류수를 첨가해 향수를 제작합니다. 알코올과 증류수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향수를 옷이나 몸에 뿌렸을 때 발향의 정도가 다르게끔 만들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15
0
0
뜨거울때는 짠맛이 잘 안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마다 혀가 맛을 느끼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짠맛의 경우 30~40도에서 가장 잘느껴지는 맛이며 음식을 하면서 팔팔 끓는 국이나 음식에서 짠맛을 보기 때문입니다. 이 때에는 30~40도를 훌쩍 넘기 때문에 음식이 많이 짜게 안느껴지기 때문에 적절하다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국이나 음식이 식으면서 30~40도가 되면 굉장히 짜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참고로 신맛은 5~25도, 단맛은 20~25도, 쓴맛은 40~50도에서 가장 잘 느낀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5
0
0
확성기의 원리가 궁금한데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마이크와 같은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확성기의 경우는 소리의 세기를 훨씬 더 증폭 시켰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소리를 확성기나 마이크를 통해 진폭시키는 원리는 소리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스피커로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회로내 증폭기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소리의 정보를 유지한채 소리의 크기를 변경시켜 증폭하는 원리입니다.이 과정에서 소리를 전기신호로 바꾸는 원리와 전기신호를 다시 소리로 바꾸는 원리는 전자기 유도 원리입니다.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확성기 내)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확성기 머리 부분)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확성기 내)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확성기나 마이크에 소리를 내게 되면 진동하는데, 이 진동으로 자석이 떨려 자기장을 변화시킵니다. 변화 된 자기장이 코일에 유도 전류를 생성해 전기신호를 만드는 것이죠. 스피커에서는 반대로 일어나게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5
0
0
활엽수는 가을철에 낙엽이 떨어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낙엽이 떨어지는 이유는 나무의 겨울나기(월동준비)준비를 하는것입니다.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으로부터 에너지(양분) 공급을 중단 받아 나뭇잎의 농도가 올라 산화되면서 낙엽이 되어 떨어지게 만듭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5
0
0
온도에 따른 기체의 부피변화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온도가 증가하면 부피가 커지고 줄어들면 부피가 줄어듭니다. 이유는 온도의 정의에 있습니다. 온도란 입자, 분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활발한 정도)입니다. 입자를 빠르게 움직이게 할 수록 온도가 높아집니다. 즉, 온도가 증가하면 입자들이 활발해져 부피가 증가하죠.그런데, 물질에 따라 수축률 팽창율이 다 다릅니다. 공기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특정 공간에 공기의 입자수, 압력, 온도에 따라 수축하고 팽창하는 정도가 다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왜냐하면 입자 서로간의 힘이 거의 작용하지 않지만 가까워질 경우 반발력도 존재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넓은 공간에 공기 분자(입자)들이 듬성 듬성 있을 경우 온도가 떨어지면서 수축하게 됩니다. 이 때에는 거의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부피도 일정하게 감소하죠. 하지만 이 분자들이 움직일 공간(부피)이 거의 없게 되면 분자간의 반발력이 생겨 서로를 밀쳐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온도가 감소해도 부피가 거의 감소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이러한 원리 때문에 수축율이나 팽창율이 압력, 온도, 입자수 등에 의해 변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5
0
0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