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바다나육지에서 지진이일어나는 원인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앞선 질문과 현재의 질문이 거의 동일하네요. 답변을 거의 같게 드릴 수 있습니다.우리 지구의 지각 밑에 멘틀은 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판은 조금씩 움직이고 있죠. 또한 이 판은 육지 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바다 내에 위치할 수도 있습니다. 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지진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면에서도 일어나며 바다 속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지진은 우리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자연현상으로 이를 막거나 하기는 힘듭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9
0
0
화산 폭발은 어떻게해서 폭발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지구의 지각 밑에 멘틀은 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판은 조금씩 움직이고 있죠.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지진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화산 폭발의 경우 지구 내부에 끓고 있는 마그마가 판의 경계부의 충돌로 약해진 지층을 뚫고 올라오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9
0
0
라플라스 변환 공식 배우는데, 저기 지수로 -1, -2 되있는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라플라스 변환에 대해 증명을 하시면서 공부하시면 아시겠지만, f^(-1)는 한번 적분하여 0을 넣는 것이고, f^(-2)는 두번 적분하여 0을 대입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둘다 0이 됩니다.적분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은 미분된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으로부터 쉽게 유도할 수 있으니 해보시길 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9
0
0
암흑물질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암흑물질이 어떤 입자로 이루어져 있는지 밝히진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암흑물질의 존재를 가정하게 되면 기존 이론으로 설명하지 못한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암흑물질이란 질량을 가지고 있어 중력에 의한 상호작용(힘을 받거나 행할 수 있음)은 하지만,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지 않는 물질입니다. 즉,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전기적 중성이며 빛과 상호작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고 눈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하지만 중력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증거가 되는 현상들이 있습니다. 그 현상들로는 은하 내의 은하 중심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행성과 별의 공전 속도 그래프, 중력 렌즈 효과, 총알 은하단 등이 있습니다.현재는 기존 이론으로 설명하지 못한 현상에 대해 암흑물질을 도입해 설명하고 있으며, 암흑물질이 어떠한 입자로 구성되어있는지 많은 이론들이 존재하지만, 암흑물질의 입자를 발견하진 못하였습니다. 이를 발견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적으로 연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9
0
0
물은 왜 높은곳에서낮은곳으로 흐르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은 액체로 고정되어있지않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구에는 중력이 작용하고 있죠. 중력으로 인해 모든 물체는 가장 안정적인 위치에 놓이려하며 경사면이나 높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아래로 끌려 내려옵니다. 마치 그릇의 중앙 부가 아닌 옆부분에 구슬을 놓으면 떨어지는 것 처럼요. 그래서 강물이나 흐르는 계곡에서 보시는 것 처럼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죠. 참고로 모든 물체는 안정적인 에너지 상태를 가지려고하는데, 물의 경우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며 중력퍼텐셜 에너지가 낮은 상태가되며 안정적이게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9
0
0
인기가 가장 많은 과학자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마다 좋아할 수 있는 과학자가 달라 인기가 많은 과학자가 누군지 모르겠지만, 모두가 알고 있는 아인슈타인이 가장 유명한 과학자라고 생각이 되네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9
0
0
자원량과 매장량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매장된 자원 중에 사용이 가능하며 상업성이 있을 경우 매장량으로 분류하고, 사용여부나 상업성의 가능 여부가 판단되지 않는 자원일 경우 자원량으로 분류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8
0
0
사람의 온도가 몇도 까지 올라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36.5도씨를 많이 넘어가게 되면 효소나 인체 내의 세포 등에 포함된 단백질의 변형이 일어납니다. 고열이 심해지게 되면 체온이 올라가는데 50~70도정도부터 단백질 변형이 일어나 신체 내의 효소, 세포가 변형되 재기능을 못해 생명 활동에 있어 불가해집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8
0
0
태양의 온도가 6000도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먼저 온도의 정의를 이해하시면 왜 가능한지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리적으로 온도란 입자, 분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활발한 정도)입니다. 입자를 빠르게 움직이게 할 수록 온도가 높아집니다. 플라즈마(원자핵(+)과 전자(-)를 떨어 뜨림)의 경우 10000도 이상의 온도입니다.스위스 거대 입자가속기의 입자의 운동에너지는 1TeV이상으로 온도로 환산하면 1경도씨(10000000000000000)정도로 환산이 가능합니다. 물론, 이 때 단일 입자를 가속시키므로, 이정도의 온도까지 가능하지만, 입자의 수가 많아지면 온도를 올리기는 더욱 어려워 집니다.태양의 표면 온도는 6000도씨 정도 되며 태양의 중심 부분의 온도는 1천 5백만도씨 정도 됩니다. 태양의 중심부터 표면까지 위치마다 온도가 달라지며, 태양 근처의 온도는 물질의 밀도가 상당히 낮기 때문에 태양의 대기온도는 100만~500만 도씨 정도로 상당히 높아집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8
0
0
리트머스 종이는 어떤 원리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성에는 H+가 많으며, 염기성에는 OH-가 많습니다. 산성을 리트머스 종이에 떨어 뜨리면, 산성에 있는 H+가 리트머스에 있는 분자에 H+가 달라 붙어 붉은색을 띠게 됩니다. 반대로 염기성에 있는 OH-가 리트머스에 떨어뜨리게되면 OH-가 리트머스에 있던 H+와 반응해 H+를 없애게 됩니다. 그래서 푸른색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8
0
0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