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종(species) 의 정의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종(species)의 사전적 정의는 생물 분류 단계 중 가장 낮은 단계, 가장 작은 분류 단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왕잠자리, 고추 잠자리, 물잠자리 등이 종이 다릅니다. 유전적으로 조금씩 다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7
0
0
플라스틱으로 기름을 만들 수 있다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기름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 소모는 있겠지만, 자연에 버려지거나 폐기되는 플라스틱은 환경이나 자연생태계, 그리고 우리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재활용 하여 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방안이 되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7
0
0
6G 통신도 개발을 하고 있다고 하는 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LTE, 5G, 6G 는 인터넷 속도의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5G는 20Gbps(giga bits per second) 로 초당 20Gb 전송이 가능합니다.6G는 1Tbps 로 초당 1Tb(=1000Gb) 전송이 가능합니다.6G는 5G에 비해 50배나 빠른 전송속도를 가지고 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7
0
0
새들은 왜 전깃줄 위에 있어도 감전되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새가 전선에 착지하게 되면 전선과 병렬로 연결된 셈이기 때문입니다. 병렬로 연결 된 회로에서는 한쪽 저항이 크게되면 저항이 작은 쪽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새의 몸은 하나의 저항체로 저항이 매우 큰 전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와 병렬로 연결된 전선은 저항이 매우 작은 전선이기 때문에 병렬연결된 상태에서 저항이 작은 전선 쪽으로 전류가 흐르고 새쪽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사람도 매달려 있으면 감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7
0
0
원자들 가운데 동위원소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동위원소란 안정적인 원자(주기율표의 원자)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가 동일한 비율로 있지만, 이 안정적인 원자에 중성자가 더 붙어 불안정한 원소가 되는데 이를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수소는 주기율표의 1번 원자로 양성자 1개, 중성자 1개, 전자 1개 가 있습니다. 원소 기호로는 ²₁H 라고 씁니다. 2는 중성자와 양성자를 합한 개수고, 1은 주기율표 번호입니다. 이 수소의 동위 원소는 중성자가 없는 ¹₁H, 중성자가 하나 더 있는³₁H 등이 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7
0
0
은하는 도대체 얼마나많은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은하란 별과 행성들의 집합체를 의미합니다. 은하 내에는 태양계와 같이 별과 행성으로 구성된 집단이 여럿 존재하며, 은하의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면서 은하를 구성하고 있습니다.태양계도 우리 은하에 속해 있으며, 은하의 중심에서 27000광년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특정 시기의 밤에 우리 은하수를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우주에는 은하가 굉장히 많으며 우리 인류는 아직 우주 전체를 파악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얼마나 많은 은하가 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우주의 관측 가능한 부분에서 1700억 개 이상의 은하가 있는 것으로 추정합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7
0
0
영화처럼 레이저 총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실제로 레이저를 이용한 무기는 존재합니다. 하지만 실제 무기로는 레이저를 쏜다고 순식간에 몸이 뚫리거나, 녹지는 않습니다. 레이저 무기를 조준해 쏘면 긴 시간 동안 가열시켜 물체를 녹이거나 화약을 가열해 터뜨리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7
0
0
어떨때 속도라고 말하고 어떨때 속력이라고 말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속력의 정의는 시간 당 이동거리입니다. 속력은 스칼라(scalar) 크기만을 갖는 물리량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S에서 E로 검은선을 따라 이동한 이동거리는 5m가 됩니다. 만약 5m를 이동하는데 1초가 걸렸으면 5m/s의 속력입니다.속도의 정의는 시간 당 변위입니다. 속도는 벡터(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는 물리량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S에서 E로 검은선을 따라 이동한 변위는 처음과 끝점을 최단거리로 이은 2m입니다. S에서 E 방향으로 2m/s의 속도입니다.일상 생활에서는 속력, 속도 크게 구분지으시지 않고 쓰셔도 모두 속력의 의미로 받아들입니다. 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100km/h로 달린다면, '나는 100키로 속력으로 가고 있어' 나 '나는 100키로 속도로 가고 있어' 모두 속력의 의미입니다. 하지만 물리학이나 과학에서는 속력, 속도를 위의 정의 처럼 구분지으셔야합니다. 속도의 경우에는 방향을 꼭 포함 시켜야 합니다. '나는 100키로 속력으로 가고있어', '나는 서울에서 대전으로 100키로 속도로 가고있어' 라고 표현해야합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7
0
0
작은 탁구공은 어떻게 만들어 테이블에서 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탁구공을 자세히 보시면 원형의 띠가 보이실 겁니다. 탁구공은 반구 껍데기 형태로 2개를 이어 붙여 제작하여 내부는 공기로 차있습니다. 그래서 공기가 찬 얇은 구 껍데기가 바닥에 탁 탁 튀기며 경쾌한 소리를 내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07
0
0
맥주잔에 뜨거운 물을 담았는데 잔이 깨졌어요 그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유리잔에 급격한 온도변화를 가하면 깨질 수 있습니다.유리잔이 차가운 상태거나 추운 날 유리잔에 뜨거운 물을 붓게 되면 깨질 수 있습니다.이유는 차가운 상태에서 유리를 구성하고 있는 분자, 원자들은 서로 촘촘하게 붙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뜨거운 물을 붓게 되면 분자와 원자들은 열에너지를 받아 활발하게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팽창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팽창은 유리의 제한된 규격을 깨려고 하며 결국 팽창하여 균열이 발생해 깨지게 되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7
0
0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