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노화를 막을수잇는 방법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노화를 더디게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유산소, 무산소)과 자외선 차단제 바르기, 신선한 과일을 통한 비타민 섭취, 잘 짜여진 식단으로 식사하기, 불규칙적인 생활하지 않기,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 등이 있습니다. 알고 있는 내용이겠지만, 실천은 정말 어려운 내용들입니다. 꼭 좋은 습관을 만드는데 성공하셔서 노화를 더디게 하시길 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7
0
0
VCB의 무엇의 줄임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VCB(Vacuum Circuit Breaker)는 진공 차단기 입니다. 특고압, 고압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것으로 과전류, 이상 전류 발생 등 비상시에 진공 소호 방식으로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진공 차단기 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07
0
0
사람은 슬플 때 왜 눈물이 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상의 모든 생물체 중 슬퍼서 우는 생명체는 사람이죠. 기쁘거나 슬플 때 우리의 뇌에 기쁘거나 슬프다는 감정에 관여하는 부위가 자극을 받아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 시킵니다. 그리고 자극을 받은 시상하부는 눈물샘에서 눈물이 나오게 작용하기 때문에 기쁘거나 슬플 때 우는 것이죠. 이 때 흘리는 눈물 속에는 카테콜아민이 다량 함유되어있는데, 이는 스트레스를 받으며 생성된 호르몬으로 눈물을 통해 배출되면서 우리는 개운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7
0
0
투명망도가 있다고 합니다. 어떻게 그렇게 되는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메타물질을 이용한 것입니다. 메타물질은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혼합하여 굴절률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끔 만든 물질입니다. 보통 물체의 굴절률은 양의 굴절률을 가지며 휘어져 투과하지만, 메타물질의 경우 음의 굴절률을 가지며 빛이 물체 주변을 둘러가기 때문에 마치 없는 거처럼 느껴져 투명성을 띠는 원리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07
0
0
홀로그램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 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홀로그램은 빛(파동)의 간섭을 이용한 원리입니다. 두 광원 이상에서 빛을 쏴 간섭을 일으켜 보강되는 지점에서 이미지가 나타나게 표현하는 원리로 여러 광원을 통해 하나의 3D 영상을 표현한 것입니다.홀로그램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대상체(물체)에 대해 다각도에서 촬영한 후 3차원으로 표현할 수 있게끔 만들어내 홀로그램에 투영시킵니다.파동에 간섭에 먼저 알아보겠습니다.파동이란 에너지의 흐름이고, 특정한 주파수나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흔히 기타줄을 튕기는것도 파동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빛이나 소리도 파동입니다.우리는 어릴적 줄넘기를 가지고 막 흔들면서 웨이브를 준적이 있을겁니다. 그런데 이 웨이브를 만약 반대편에서 같은 흔들림을 주면 더욱 증폭됩니다. 하지만 반대편에서 반대의 흔들림을 주면 웨이브는 상쇄되고 말것입니다. 이렇게 증폭되고 상쇄되는것을 두 파동의 간섭 현상이라고 합니다.즉, 홀로그램에서는 2개의 광원을 이용해 하나의 픽셀(한 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두 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보강 간섭이 일어나게 만들어 3D 이미지 중 하나의 픽셀을 표현하는 것이죠.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모니터와 같은 다수의 광원을 포함한 화면)를 통해 각 광원에서 나오는 빛간의 간섭을 통해 3D 이미지인 홀로그램을 표현할 수 있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7
0
0
전기차가 좋나요 하이브리드가 좋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환경을 생각하였을 때는 전기차가 훨씬 좋습니다. 하지만 유지비용과 같은 가격, 돈을 생각하였을 때에는 하이브리드가 좋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7
0
0
한국최초의 과학자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조선 시대 과학자였던 장영실이 있으며, 근대화가 이뤄지는 시점부터 과학자가 뚜렷해졌습니다. 이후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자는 이태규 박사(1902~1992)님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7
0
0
지구와 달의 기조력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조수간만의 차(썰물, 밀물)는 달과 태양의 중력(만유인력)으로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만유인력이란것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가 서로 끌어당기는 힘입니다.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 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바다와 호수에 작용하므로 물결이 이는걸 볼 수 있으며, 밀물과 썰물이 발생함을 알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7
0
0
초음속 교통수단들이 생겨나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이퍼루프의 목표 속도는 시속 1,200km 이며 진공관을 통해 이동하는 기차입니다. 공기 저항, 마찰을 최소화하여 굉장히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죠. 빠른 속도로 추진력을 얻는 원리는 자기부상열차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석의 극을 이용해 끌어당기거나 미는 힘을 작용해 가속, 감속을 하는 것입니다. 이때 단순히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전자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자성을 갖게 만드는 것이죠. 또는, 초전도체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7
0
0
해수의 수온, 염분 분포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염분은 물의 증발량, 강수량, 강물의 유입등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표층 염분을 따졌을 때, 온도가 낮아지면 물의 밀도가 높아집니다. 즉, 온도가 낮아지면서 부피가 줄어들어 염분의 농도가 증가합니다. 반대로 온도가 높을 때에는 부피가 커져 염분의 농도가 줄어들죠.심층수의 유입이 증가하며 온도가 떨어질 경우에는 표층의 두께가 줄어들어 부피가 감소해 염분의 농도가 증가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6
0
0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