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흰머리는 왜 나는건가요?원인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치의 경우에는 유전적인 영향이 큽니다. 검은색 머리가 나려면 색소 세포가 온전해야 하는데 새치는 그렇지 못한 경우이기에 어릴 때부터 흰머리가 나는것이죠. 또한 나이가 들면 흰머리가 많아지는데 이는 신체의 노화로 인해 색소 세포가 파괴되거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불가피하게 생기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5
0
0
드라이아이스에 직접적으로 음식물 닿아도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의 고체상태로 드라이아이스와 닿은 음식에는 기껏해야 차가워지며 이산화탄소만 달라 붙기 때문에 몸에 유해한 성분이 있지 않습니다. 이산화탄소는 몸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우리 몸이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흡수되지 않고 거의 그대로 배출됩니다.하지만, 주의해야 할 것은 드라이아스는 영하 50도 이하이며, 이와 오래 닿아있는 음식은 굉장히 차가워 질 수 있어 오래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가 드라이아이스를 직접 손으로 만지게 해서는 안되며, 안전하게 장갑을 끼고 음식을 포크 같은걸로 꺼내 드셔야합니다.너무 차갑게 해서 드시는 것은 추천드리지 않으며 어른 분께서 먼저 드셔보시고 괜찮다 싶은 온도에 드시는 것을 권장합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5
0
0
보통 비가 내릴 때는 번개가 동반 해서 칠 때가 있잖아요 그런데 눈이 내릴 때는 왜 번개가 안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이 내릴 때에는 구름 내에 음전하가 거의 분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천둥 번개는 두꺼운 구름이 형성 됐을 때 그 안에 분포하는 물과 수증기의 음전하가 강해지면서 치게됩니다. 하지만 겨울에 눈이 올 때에는 보통 두꺼운 구름은 형성되지 않고 중간 정도의 두께나 얇은 두께의 구름을 형성하고 수증가와 물보다 눈, 얼음 알갱이가 많아 음전하로 대전 되는 정도가 비가 올때에 비해 적습니다. 그래서 번개가 잘 치지 않죠. 하지만 겨울에도 드물게 두껍운 구름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구름 속에 수증기와 물이 분포할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번개가 칠 수 있습니다.궁금증이 해결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05
0
0
ktx는 엄청 빨리가는데 기차안에서는 왜 천천히 가는것처럼 느껴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KTX의 경우는 거의 일정한 속력으로 달리기 때문이며 출발과 도착 할 때에 천천히 가속하고, 천천히 감속하기 때문입니다.일정한 속력으로 움직일 때에는 기차 내부에서 어떠한 힘도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창밖을 보지 않으면 멈춰있는지, 움직이는지 알 수 없습니다. 이를 물리학에선 관성이라고 하죠. KTX 뿐 아니라 일정한 속력으로 달리는 자동차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커브를 돌 때에나 감속, 가속의 경우 몸이 쏠림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원심력, 가속력을 느끼기 때문이고, 이 경우에는 창밖을 보지 않고도 차가 움직임을 느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5
0
0
치약의 주성분 ‘불소’는 무슨 역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불소는 뼈를 재생시키는 세포의 증식을 증가시키고 무기질이 빠져 나오는 것을 차단해주기 때문에 치아를 단단히 해줍니다. 또한, 산과 세균으로부터 보호해주기 때문에 충지를 예방해줍니다.불소의 화학적 명칭은 플루오린 F으로 원자번호 9번의 원소입니다. 플루오린은 기체로 존재하는 원소이며, 원소 중에서 가장 반응성이 크고 산화력이 크며 전기음성도가 가장 큰 원소입니다.불소 치약의 경우 3분 이상 양치하는게 좋으며, 입을 많이 헹구면 불소가 날아가 불소에 의한 효과를 못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불소는 섭취시에 좋은 성분은 아니기 때문에 삼키지 않도록 주의하시는게 좋습니다.불소는 치약 외에 주방 용품이나 방수 가공품의 표면 코팅 처리에 사용되기도 합니다.궁금증이 해결 되셨을지 모르겠네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04
0
0
직류전기와 교류전기를 주로 사용하는 사용처와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직류와 교류의 큰 차이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냐 안하냐의 차이입니다.직류 전압, 직류 전류의 경우 시간이 지나도 일정한 양을 가지죠. 예를들어 5V건전지를 전구와 연결했을 때 전류가 1A가 흐른다면, 시간이 지나도 전압은 여전히 5V이고 전류는 1A입니다. 이게 직류입니다.교류 전압, 교류 전류의 경우 시간에 따라 계속해서 변하는 양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220V의 60Hz의 전압을 전구에 연결하였을 때 전구의 전류가 4A의 60Hz라고 칩시다. 이때 전압은 0V에서 220V까지 증가했다가 220V에서 0으로 0에서 -220V로 -220V에서 0이 됨을 반복합니다. 반복하는 정도는 1초에 60번 반복하는것이죠. 그래서 220V의 60Hz입니다. 이때 전류도 마찬가지로 최대 4A에서 최소 -4A로 1초에 60번 반복하여 바뀝니다. 이것이 교류입니다.직류와 교류가 나뉘는 이유는 용도에 따라 효율적이고 유용한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교류전압의 장점은 변압이 용이하다는 점입니다. 직류전압의 경우 변압에 있어 어려움이 있지만 교류전압은 쉽게 변압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변전소에서부터 각 집안으로 전압을 걸어줄때 변압을 사용하면 비용이 절감되며 효율적인 송전이 가능합니다.직류전압의 장점은 일정한 크기의 전기가 필요할 때 용이하다는 점입니다. 보통 건전지를 사용하여 현관문 자물쇠나, 손전등에 사용합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4
0
0
전자렌지 사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전자레인지로 음식을 데워 먹는 것은 몸에 해롭지 않습니다. 전자레인지에서 마이크로파가 나와 음식을 데우는데 이 마이크로파는 우리 몸에 그렇게 해롭지도 않으며, 음식에 마이크로파가 저장되어있지도 않습니다.만약, 비닐봉지나 플라스틱을 전자레인지에 같이 돌린 음식일 경우라면, 환경호르몬이 방출되어 몸에 좋진 않을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4
0
0
수력발전소는 어떻게 전기를생산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발전기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원리로 작동합니다. 바람개비, 물레방아와 같은 터빈을 회전 시킴으로써 터빈 끝에 달려있는 자석이나 코일이 회전하며 유도 전류를 만드는데, 이 전류를 모아 전기로 사용합니다. 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발전기는 터빈에 바람이나 물살 등 외부 힘으로 인해 회전 시킴으로써 터빈 끝에 달린 자석이 코일 주변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터빈 끝에 달린 코일이 자석 주변으로 하면서 코일에서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모아 전기로 사용하는 원리입니다. 회전 방향과 상관없이 코일에 전류를 모을 수 있습니다.궁금증이 해결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4
0
0
220v를 110v로 변환 하려고하는데 방법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220V를 110V로 바꿔주는 컨버터가 있습니다. 단, 정격전력을 확인하여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https://www.google.com/search?q=220v+to+110v+%EC%BB%A8%EB%B2%84%ED%84%B0&sxsrf=ALiCzsaVVjXRU3fnOkoMM2iqh7Xl9g-K3A%3A1664897283242&source=hp&ei=A1E8Y7HADNaz2roP2LWpoAg&iflsig=AJiK0e8AAAAAYzxfE0-UCUP_H54IS3KNK4-qJH7DAg6r&ved=0ahUKEwjxzZzZ8cb6AhXWmVYBHdhaCoQQ4dUDCAc&uact=5&oq=220v+to+110v+%EC%BB%A8%EB%B2%84%ED%84%B0&gs_lcp=Cgdnd3Mtd2l6EAMyBQghEKABOgsILhCABBDHARDRAzoFCC4QgAQ6CAguEIAEENQCOgUIABCABDoFCAAQkQI6CAgAEIAEEMsBOggIABAeEAUQClAAWJE2YOg2aAdwAHgBgAGwAYgBvRaSAQQwLjIzmAEAoAEB&sclient=gws-wiz링크 걸어두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4
0
0
VR, XR 은 알겠는데요. XR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VR은 가상현실로 VR 기기를 활용한 게임, 영상 등을 생각하시면 됩니다.AR은 증강현실로 현실 배경에 가상 적인 요소를 집어 넣어 표현한 것으로 포켓몬GO와 같은 게임을 생각하시면 됩니다.XR은 확장현실로 디스플레이를 착용(안경과 같은)하여 현실 세계에서 홀로그램 덧붙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AR과 비슷하지만 안경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착용하여 더욱 현실감 있게 표현하였습니다. 아래와 같은 모습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궁금증이 해결되셨을지 모르겠네요, 해결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4
0
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