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과일같은것들은 품종개량을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유전공학이 발달하면서 유전자 조작을 통해 품종을 개량할 수 있습니다. 과일도 똑같이 오렌지와 귤을 교배하여 새로운 특징의 과일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과일 나무를 교배하는 방법에는 자가수분, 타가수분, 교배, 교잡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2
0
0
태양은 왜 매일동쪽에서 떠서서쪽으로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전도하는데, 공전과 자전 방향이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태양은 항상 동쪽에서 뜨고, 서쪽에서 집니다. 이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질문자님께서 모니터를 바라보고 계신 상태에서 왼쪽 방향으로 한바퀴 돌아보시면 간단히 이해할 것입니다. 왼쪽 방향으로 돌면서 모니터는 질문자님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사라질 것입니다. 이게 서쪽으로 태양이 지고 있는 양상입니다. 또한, 한바퀴 돌아오게되면서 모니터가 질문자님 기준으로 왼쪽 방향에서 나타날 것입니다. 이게 동쪽에서 태양이 뜨는 것과 같은 양상입니다. 질문자님 계속해서 왼쪽방향으로 회전 한다면 모니터는 계속해서 오른쪽으로 사라지고 왼쪽에서 나타납니다. 태양이 동에서 뜨고 서에서 지는 것이 이와 같은 이유 때문이죠.궁금증이 해결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2
0
0
눈이내리고 비가 내리는건 왜 그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은 상태에서 상승기류(저기압)를 만나면 공기가 하늘로 올라갑니다.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하늘로 올라가면 부피가 팽창하고 온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온도가 떨어지면서 수증기가 물로 바뀌죠. 그러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 구름에 있는 아주 작은 물방울이 있는데, 구름 속 수증기량과 물의 양이 많을 때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병합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조금씩 크기가 커져 지상으로 떨어지게 되죠. 이것이 비가 내리는 원리입니다.눈은 겨울, 영하의 기온일 때 구름 내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작은 물 알갱이가 얼게 됩니다. 이 작은 눈 알갱이는 주변의 수증기나 물이 달라붙어 그 크기가 커지면서 지상으로 떨이지는데 이것이 눈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2
0
0
억새와 갈대는 같은 식물인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께서 아시는 것처럼 억새는 산이나 비탈길에 무리지어 자라나며, 갈대는 물가에 무리 지어 자라납니다. 또한, 억새나 갈대는 벼과지만 다른 식물입니다.억새는 뿌리가 굵고 옆으로 퍼져나가는 특징이 있으며, 열매가 익으면 고개를 조금 숙입니다. 그리고 은빛이나 흰색을 띠며 잎이 칼처럼 날카롭고 억새죠. 갈대는 뿌리에 수염과 잔털 같이 잔 뿌리가 많이 나는 특징이 있으며, 열매가 익으면 벼처럼 고개를 푹 숙입니다. 그리고 갈색이나 고동색을 띠며 줄기는 뻣뻣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2
0
0
우리몸은 도체일까요 부도체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은 도체일 경우도 있으며, 부도체일 경우도 있습니다.꼭, 도체, 부도체로 구분할 필요가 없으며, 기준에 따라 도체일 수도 부도체일 수도 있습니다. 도체의 성질은 전류가 잘 흐를 수 있는 성질이며, 부도체는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 성질입니다. 여기서 잘 흐른다, 잘 흐르지 않는다라는 모호한 정의(약속)에 의해 상황에 따라 헷갈릴 수 있는 것이죠. 사람이 도체라면, 한 손으로는 건전지의 +극, 다른 손으로 건전지의 -극을 잡을 경우 전류가 흘러야 합니다. 하지만 피부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죠. 그렇지만, 높은 전압에 대해서는 감전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의 몸에 50mA의 전류만 흘러도 심장에 이상이 생겨 죽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사람의 몸은 70%의 물로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이 물에는 전해질이 가득해 전류가 아주 잘 통하죠. 그래서, 사람 내부에 있는 액체 부분에 전류를 흘려보내 준다면 전류가 굉장히 잘 통할 것입니다. 이럴 경우에는 도체로 해석이 가능합니다.결국, 상황에 따라 도체, 부도체의 특징을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모든 물질을 꼭 도체, 부도체로 구분 지을 필요는 없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2
0
0
카페인을 섭취하면 잠이 안오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카페인을 과다 섭취하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잠이 안 올 수 있습니다. 즉, 긴장상태, 빠른 심장 박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두통, 잦은 배뇨, 근육 떨림, 스트레스, 불면 등의 부작용이 따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본인에게 맞는 카페인 양을 파악하여 적절히 섭취해주는 것이 좋으며 저녁에 카페인을 먹는 것을 피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2
0
0
태양과 달 등 별의 나이는 어떻게 계산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계 내에서 태양이 형성되면서 다른 행성들도 거의 동시(인간에게는 긴 시간이지만 우주의 시간으로는 거의 동시)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나이가 거의 같습니다. 태양의 경우 46억년 정도이며 달의 경우는 45억년 정도입니다. 달의 나이의 경우는 월석에서 추출한 지르콘 조각 14개 각각에서 동위원소 연대 측정법을 통해 계산해낸 값이며, 태양의 나이는 태양 빛의 스펙트럼을 조사하여 구성 원소 비율을 통해 나이를 추정하였습니다.동위원소 연대 측정법의 경우 불안정한 원소는 반감기(개수가 반으로 줄어드는 기간)가 존재함을 발견하면서부터 이를 이용하여 연대를 추정하는 방법을 고안해 낸 것입니다. 태양 빛의 스펙트럼을 통해 구성 원소 비율을 측정해 나이를 추정한 이유는, 별의 생성 초기에는 수소의 비율이 74%로 월등히 높으며, 헬륨은 24% 정도입니다. 별에서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가벼운 원소가 결합하여 무거운 원소로 변하며 가벼운 원소의 비율이 점점 줄어들게 됨을 알게 되었죠. 그래서 현재 태양의 원소 비율을 측정해 나이를 추정한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2
0
0
전봇대에 안전표시가 있는데요? 손대면 안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봇대 자체를 만지는 것은 크게 위험이 안됩니다. 하지만, 콘크리트 내에는 철근이 있어 혹시나 노출된 철근에 전선의 전압이나 전류가 흐를 위험도 있기 때문에 만지지 말라고 하는것 입니다. 특히, 비가 오는날이나 전봇대가 젖어있는 경우에는 물에 있는 전해질을 타고 전류가 흘러 감전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더욱 만지면 안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2
0
0
가끔 보면 종이컵에 물을 넣어놓고 밑에 종이를 깔아두고 종이컵을 뒤집으면 물이새지않는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압 차와 표면장력에 의해 물이 새지 않는 것입니다.그림과 같이 물을 채우고 종이를 덮어 뒤집은 뒤 종이에서 손을 떼게 되면 물이 쏟아지지 않습니다.이유는, 물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려 하면서, 물 컵에 갇혀있는 공기의 부피가 늘어나 공기의 압력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리고 물은 극성 분자 H2O로 표면장력이 강한 액체입니다. 물의 표면 장력에 의해 종이나 받침대의 틈이 벌어지지 않게 하며 공기가 들어오지 못하게 합니다.즉, 외부의 대기압과 표면장력이 물의 무게와 물 컵 안의 공기의 압력과 평형을 이루게 되면서 물이 쏟아지지 않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2
0
0
공간음향의 원리에 대해 알려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간음향공연장이나 컴퓨터의 외장 스피커, TV에서 나오는 소리를 생각하면 보통 스피커(앰프)가 2개 이상입니다. 2개의 스피커로 가정하였을 때, 각각의 스피커(앰프)에서 나오는 소리는 파동의 형태로 나와 우리의 귀로 들어옵니다. 이 때 두 스피커에서 각각의 파동이 서로 간섭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위치를 바꿀 경우에는 소리가 강해지는 부분이 있으며, 소리가 약해지는 부분도 존재합니다. 또한, 고개를 돌리게 될 경우에 오른쪽 귀, 왼쪽 귀에 들어오는 소리의 세기의 변화가 생깁니다. 이렇게 공간적인 정보를 연구하여 이어폰에 공간음향 기능으로 집어 넣은 것이죠. 그래서 이어폰과 핸드폰, 이어폰과 모니터 사이에 위치 관계에 따라 이전에 조사한 공간적인 정보를 반영해 이어폰 오른쪽, 왼쪽 부분의 소리의 세기를 조절해 소리의 방향이 바뀌는 거처럼 구현한 것입니다.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위 내용을 이해하시는데 더 도움이 될 듯 합니다.파동에 간섭파동이란 에너지의 흐름이고, 특정한 주파수나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흔히 기타 줄을 튕기는 것도 파동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빛이나 소리도 파동입니다.우리는 어릴적 줄넘기를 가지고 막 흔들면서 웨이브를 준 적이 있을 겁니다. 그런데 이 웨이브를 만약 반대편에서 같은 흔들림을 주면 더욱 증폭됩니다. 하지만 반대편에서 반대의 흔들림을 주면 웨이브는 상쇄되고 말 것입니다. 이렇게 증폭되고 상쇄되는 것을 두 파동의 간섭 현상이라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02
0
0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