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스페인독감은 어떻게 사라졌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이러스는 돌연변이가 만들어지기 쉽습니다. 많은 사람을 죽게한 바이러스가 더욱 악독하게 변이 할 수도 있지만 약하게 변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스페인 독감은 처음에 악독했지만 점점 약하게 변이 되고, 면역을 갖게되는 사람도 늘어나면서 종식됐다고 말하는 학자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냄새를 전달할 수 있는 매체도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과거부터 냄새나는 tv를 만드려는 연구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냄새의 경우는 시각이나 청각처럼 간단하게 표현하기엔 무리가 따릅니다. 시각의 경우는 빛의 삼원색(RGB)을 통해 모든 색의 표현이 가능해 간단하고, 청각의 경우 스피커의 진동, 떨림 만으로 모든 소리가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간단합니다. 하지만, 냄새, 향기의 경우는 기본적인 원자 구성으로 표현하는데 무리가 따릅니다. 원자는 소모가 되는 것이며, 지속적으로 공급이 필요합니다. 만약, 공기 중에 있는 기체를 원료로 냄새의 화학 구조를 표현한다고 하면 공기 기체의 원자를 분해해 냄새를 나게하는 화학 물질로 재조합 해야하는데 쉬운 일이 아닙니다. 또한, 냄새를 나게하는 화학물질의 경우는 정말 다양하고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냄새를 표현하는게 쉽지 않아 냄새를 전달하는 매체가 아직 나오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 냄새를 표현할 수 있는 간단하고 기발한 아이디어가 생기는 날에는 냄새를 전달하는 매체도 나오겠지만 현재의 기술로는 어렵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수소차 원리와 현재 발전 현황은 어떤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연료를 사용한 수소자동차는 물의 전기분해의 역반응을 이용한 원리입니다. 수소연료전지에 연료로 사용되는 수소를 주입합니다. 주입된 수소는 수소(+)와 전자(-)로 이온화되며, 전자(-)는 양극(+)으로 이동하고 수소(+)는 음극(-)으로 이동하며 전류(전하의 흐름)를 만들어냅니다. 이 전류를 이용해 차를 움직이게하죠. 그리고 공기중에 있는 산소를 음극으로 주입해주는데, 음극으로 이동해온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을 만들어내죠. 즉, 수소연료의 배출물은 자연에 무해한 물이 됩니다. 그래서 수소가 신재생,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현재 수소차가 판매 중에 있으며, 이제 막 시장에 나왔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점점 더 많이 등장할 것으로 판단되며 전기차처럼 흔히 볼 수 있는 차가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밤 하늘에 보이는 별의 거리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별의 거리를 계산하는 2가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1. 별의 연주시차를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별은 태양, 지구와 멀리 떨어져 있죠. 지구가 태양을 기준으로 반 바퀴 돌 동안(6개월) 거리를 재고 싶은 별을 관측합니다.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별의 위치가 바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바뀌기 전의 별의 위치와 바뀐 후의 별의 위치를 이용하여 사잇각 θ를 측정합니다. 그러면 아래 그림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는 1AU로 아는 값이고, 태양과 별 그리고 지구와 별 사이의 각이 θ/2 이므로 삼각함수를 이용해 태양과 별 사이 거리를 찾을 수 있고, 지구와 별 사이 거리도 찾을 수 있습니다.2. 별의 밝기를 이용하여 찾을 수 있습니다.별에는 절대등급과 겉보기 등급이 있습니다. 절대등급은 별의 실제 밝기이며, 겉보기 등급은 지구에서 볼 때 밝기 등급입니다. 만약 지구에서 별을 보았는데, 실제보다 밝다면 가까이 있는것이고, 실제보다 어둡다면 멀리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별의 절대등급은 관측을 통해 알 수 있으며, 겉보기 등급 또한 관측을 통해 알아낼 수 있습니다. 빛의 밝기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줄어드는 원리를 이용하면 별까지 거리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나뭇잎이 떨어져도 피토치드는 생성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을에도 낙엽이 지면서 피톤치드가 방출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잎이 푸른 봄, 여름에 비해 양이 적으며, 낙엽이되어 떨어지고 나면 피톤치드가 거의 방출되지 않는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고양이 끈끈이 제거에 콩가루 묻히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말 귀엽네요~ ㅎㅎ접착 성분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실리콘이 대부분이며 고분자 화합 물질입니다. 콩가루, 튀김 밀가루, 쌀겨 등 미세한 분말 가루를 끈끈이에 뿌리게 되면 분말가루 입자가 끈끈이를 감싸며 달라붙게 되죠. 이 달라 붙은 가루를 살살 문지르면 끈끈이의 접촉된 부분이 떨어져 나오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6
0
0
뱃속의 아이는 언제부터 들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뱃 속의 아이는 임신 6주 때부터 소리를 듣는 기관인 달팽이관의 분화가 시작되며 12주에 거의 완성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임신 20주(5개월) 전 후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고 그 자극이 뇌에 전달되면서 청력을 갖게된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냉장고에 바나나를 넣으면 검게 변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나나의 경우 냉장고에 보관하면 껍질은 변색되더라도 바나나의 맛은 변하지 않고 더 오래 보존할 수 있습니다. 단, 바나나가 잘 익은 상태에서 냉장보관하면 좋습니다. 잘 익지 않은 상태라면 상온에서 보관하는것이 좋습니다.바나나의 껍질의 경우 (과일의 껍질을 벗겨낼 경우)폴리페놀산화 효소가 분비되면서 폴리페놀과 산소의 반응을 촉진하고, 폴리페놀 성분들을 퀴논 같은 물질로 산화시킵니다. 이렇게 생긴 퀴논은 활성도가 커서 빠르게 산화되는데, 이 때 갈색 물질을 생성합니다. 이를 갈변이라고하죠. 그런데, 냉장보관을 하게 되면 차가운 환경에 노출 되면서 이 효소에 의한 반응이 빨라져 갈변이 빠르게 일어나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6
0
0
같은 혈액형 끼리 결혼해서 애를 낳으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혈액형에는 두개의 성분(형질)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A형의 경우 AO, AAB형의 경우 BO, BBO형의 경우 OOAB형의 경우 AB입니다.만약 아빠가 A형이고 엄마가 A형일 경우는 아빠 [AO, AA] 엄마 [AO, AA] 각각 2가지 경우가 있습니다.아빠 AO, 엄마 AO라고 가정해보죠. 그러면 자식을 낳을 경우 가능한 혈액형은 AA, AO, AO, OO 입니다. 즉, A,A,A,O 형이 나올 수 있습니다. A형 부모님에게 A, O형이 나올 수 있죠.다시 아빠가 AA, 엄마 AO라고 가정해보죠. 그러면 자식은 AA, AO, AA, AO 입니다. 즉, A, A, A, A형이 나올 수 있으므로 A형만 나옵니다.아빠가 AB형이고 엄마가 O형일 경우는 자식에게서 AO, AO, BO, BO 입니다. 즉, A형이나 B형만 나올 수 있습니다.이런식으로 혈액형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위상속도는 누가 정의한 것이고 정확한 정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위상 속도, 군속도의 개념은 여러 파동이 중첩되는 상황에서 등장합니다. 위상 속도는 여러 파장이 중첩된 군의 특정한 위상이 이동하는 속도이고, 군속도는 여러 파동이 중첩되어 군을 이뤄 마치 하나의 파동 처럼 행동하는데, 이 파동(군)의 속도를 의미합니다. 군속도의 경우의 특징은 빛의 속력을 넘을 수 없습니다. 물리적인 의미를 갖는 속도입니다. 하지만 위상 속도의 경우 대부분 군속도 보다 빠르며 빛보다 빨라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물리적인 의미를 갖는 양이 아닙니다. 또한 군속도와 같은 경우도 느린 경우도 있습니다.발견보다 파동을 다루면서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개념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6
0
0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