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물감에 사용하는 색재료는 무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감에 종류에 따라 재료가 다르며, 또 같은 종류의 물감 내에서도 원료에 따라 가격이 상당히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상업적인 정보는 잘 모르겠으며, 과학 영역이기 때문에 색에 대한 과학적인 원리를 설명드리겠습니다.색깔의 정의모든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의 색은 흰색으로 정의하였습니다.그리고 모든 빛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의 색을 검은색으로 정의하였고요.또한, 파란색(특정색) 파장의 빛만을 반사하는 물질을 파란색(특정색)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사람의 신체에 통신용 칩을 삽입하면 일상생활 속 변화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통신용 칩이 신체 내에 존재하면서 조금 더 편리한 통신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시각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조금 더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보안 체계가 바뀔 것으로 예상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지구상의 물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 있는 물에 대한 기원을 찾고자하는 연구가 현재도 진행중입니다. 아직 정확한 근원을 과학적으로 밝히진 못했습니다.크게 2가지 설이 있습니다.1. 지구가 만들어지면서 물도 만들어졌다.2. 혜성이나 소행성의 충돌로 혜성, 소행성에 품고 있던 물이 지구로 온 것이다.두번째 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지구가 만들어질 당시 뜨거운 상태에서 물은 모두 증발하였기 때문에 지구가 만들어지면서 물이 만들어 졌어도 물이 남아 있을 수 없다며 주장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소행성, 혜성 충돌의 증거를 찾고 그 물질을 분석하여 물을 공급했다는 증거를 찾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오늘 북한에서 미사일 도발을 했는데 SLBM, 북한판 이스칸데르는 어떤 과학적인 원리가 적용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미사일의 과학적 원리는 작용-반작용의 원리로 추진력을 얻는 원리입니다.작용-반작용은 비행체 내에서 물질이나 공기를 밀어내면서 추진력을 얻어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화약을 통해 연소 시켜 가스를 외부로 분출하면서 비행체가 앞으로 나아가는 원리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과학적으로 쓰래기매립장 근처에 살면 왜 암이 걸리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쓰레기 매립지는 각종 쓰레기를 처리하는 곳으로 사람에게 유해한 물질이 나오기 마련이죠. 이러한 물질이 사람에 닿으면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병을 유발하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판다는 초식 동물인가요? 육식 동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판다가 육식동물에서 초식동물로 변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판다도 곰처럼 사냥을 통해 고기를 먹었지만, 판다가 살아가는 환경이 대나무가 많은 곳으로 변하면서 육식을 포기하고 대나무를 먹으며 초식동물로 변했다고 이야기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우리가 볼수 있는 우주의 수많은 별들의 생명체 존재유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왜 닭은 날개가 있는데 날지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닭이 가축으로 길러지면서 후천적으로 날개가 퇴화되어 날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물론 가축이 되기전에 날 수 있었는지 날지 못하였는지는 확실히 알지 못하겠지만, 퇴화된 날개를 가진 종끼리 교배가 되며 날지 못하게끔 퇴화되었습니다. 가축으로 길러지며 위험에 대해 도망갈 일이 없으며, 날아다니는 일도 없기 때문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신선한 맛과 아삭한 식감의 김치가 김치냉장고를 나와 용기에 담겨지면 맛과 식감이 떨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김치냉장고 내에서 어는 부분이 생길 수 있어 더욱 아삭하며, 상온에 두게되면 김치가 익으면서 맛과 식감이 조금 변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승화되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체에서 기체로 바로 상태변화가 일어납니다.승화하는 이유는 증기압(~휘발성) 때문입니다. 증기압은 고체가 기체가 되려고하는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물질에 따라 승화의 조건이 있으며, 이 조건을 충족할 경우 승화가 잘 일어납니다.(삼중 그래프를 확인하시면 더 잘 이해갑니다.)고체상태는 분자들이 규칙적인 배열을 가지고 결합력을 가진 상태로 존재합니다. 액체는 분자들의 규칙적인 배열이 깨지고 기체보다는 덜하지만 자유롭게 움직입니다. 기체의 경우는 분자들이 아주 자유롭게 움직입니다. 거의 분자 하나의 단위로 각자 움직이죠.만약 고체상태에서 분자하나가 떨어져 나가면 이 분자는 기체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물질마다 고체 상태에서 분자들이 떨어져 기체가 되는 조건이 존재하며 이러한 조건이 강해지면 증기압이 강해진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의 경우도 증기압이 존재하며, 얼음에서 수증기가 되기도 합니다. 온도가 낮고 압력이 1기압보다 훨씬 낮게 되면 얼음에서 수증기로 변하죠. 추운 겨울에 온도가 낮아 눈에서 수증기가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는 드라이아이스에서 흔히 승화가 잘 일어나는데, 드라이아이스는 1기압과 드라이아이스가 어는점 이하가 되면 승화가 잘 일어납니다. 드라이아이스의 어는점은 영하 56.6도이며 드라이아이스는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 만들어졌습니다. 그래서 드라이아이스의 승화가 굉장히 잘 일어나죠.아래 그래프에서 빨간 실선을 기준으로 왼쪽은 고체, 오른쪽은 기체 상태인데 온도와 압력 조건이 빨간 실선 부근과 맞을 경우에 승화가 일어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