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알레르기 반응은 왜 일어나고 사람마다 다른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마다 알레르기 반응이 다른 이유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알레르기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사람마다 유전적 요인이 다르고 살아온 환경,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알레르기 반응이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는것이죠. 영구치료의 방법은 아직 없으며, 계속해서 연구중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면역요법치료를 통해 알레르기 반응에 대해 근치(영구에 가까운)가 가능하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벌은 사람에게 침을 쏘면 죽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꿀벌은 침을 쏘고나면 죽습니다. 꿀벌의 침을 자세히 보시면, 침은 뾰족하지면 침의 뒷편은 톱니모양처럼 돼있고, 진득한 무언가가 나와있음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톱니모양이 꿀벌의 몸을 파열시키고, 이 꿀벌의 침은 꿀벌의 내장기관과 연결되어있어 침을 쏘면서 내장기관이 끌려나와 내장이 파열되며 죽게되는것이죠. 그래서 침의 끝에 무언가 진득한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게 꿀벌의 내장기관의 일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말벌의 경우 독침이 말벌의 몸과 깔끔해서 분리되기 때문에 여러번 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눈앞에 잔상? 같은건 왜 보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잔상과 자극에 의해 눈을 감아도 자글자글(?)한 것이 보일 수 있습니다.눈을 감으면 눈커풀에 의해 눈에 아주 작은 자극이 가해지고 이 자극이 시신경에 신호로 전달돼 뇌에서 자글자글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어 보이는 것입니다.잔상효과는 시각 세포 중 원추세포의 자극에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강한 빛을 보거나 색깔이 있는 물체를 오래 볼때에 시각 세포들이 자극을 받게 됩니다. 이 때 원추세포가 자극을 받아 신경이 길게 남아 있기 때문에 눈을 감거나 다른곳을 보아도 잔상이 남아 있는것입니다. 물체에서 눈을 떼어도 우리 눈에 있는 원추세포가 뇌로 신호를 계속해서 보내고 있기 때문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우주탐사선은 어떻게멀리있어도 신호를 보내고 받고 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보이저 1호가 155AU를 넘는 위치 까지 날아가고 있습니다. 보이저 1호에는 플루토늄을 원료로 원자력을 이용해 전력을 얻고 있습니다. 그리고 보이저 1호에서 방출되는 전파(빛)가 지구까지 도달해 통신이 가능한 것이죠. 최근까지 보이저 1호에서 데이터를 받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 데이터는 이상한 부분이 있어 이에대한 원인을 찾고 있다고 합니다. 보이저 1호의 원료는 2025년 정도까지 작동할 것으로 예상하며 그때까지 통신이 가능할 것이라고 합니다. 보이저 1호가 멀리까지 날아간게 저도 신기하고 대단하다고 생각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수박 과일도 늙으면 노랗게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박의 껍질의 색이 바랜 것 같이 된 부분은 수박이 땅에 닿는 부분이었다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수박의 무게로인해 땅에 눌려 그러한 부분이 생긴것입니다. 그리고, 노란색 수박이 있는데 이는 교배를 통해 만들어진 수박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블랙홀을 어떻게 촬영할 수 있는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 어떻게 블랙홀을 촬영한 것일까요?A. 블랙홀은 중력이 강하여 블랙홀 자체에서 빛이 방출되지 못합니다. 하지만, 블랙홀 주변빛이나 블랙홀 뒷편의 빛이 블랙홀의 강한 중력으로인해 휘어 블랙홀 주변으로 특정한 모양을 띠기 때문에 이를 관측한 것입니다.블랙홀 주변으로 휜 빛이 특정한 모양을 띠는것은 이론을 적용해 계산이 가능하며 이와 관측 자료와 비교가 가능합니다. 또한, 블랙홀의 존재는 주변 별 빛의 분석을 통해 판단이 가능합니다. 이를 조합하여 블랙홀이라는것을 확실히 판단하고 블랙홀에서 나온 빛을 관측한 것이죠. 2. 지구에서 망원경이나 육안으로 블랙홀을 관찰할 수 있나요?A. 아니요, 망원경이나 육안으로 관측이 불가합니다. 블랙홀을 관측한것은 거대한 전파망원경을 통해 얻어진 관측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여 이미지를 얻은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망원경이나 육안으로 관측이 어렵습니다.3. 만약 지구에서 블랙홀을 볼 수 있다면 어떻게 볼 수 있는 것일까요?전파 망원경을 통해 블랙홀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우주에는 어딘가에 블랙홀이 존재하기 때문에 하늘을 보다가 우연히 블랙홀이 있는 자리에 눈을 두게 되면, 자신이 봤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블랙홀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지할 수 없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브레이크에 적용된 과학적 원리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브레이크는 차량 바퀴에 강한 압력을 가해 바퀴가 회전하는 것을 강하게 방해하는 강한 마찰을 이용한 것입니다. 차량에 따라 압력이 다르겠지만 보통 800 PSI ~ 2,000 PSI (54기압~136기압) 정도라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26
0
0
그래핀이라는 신소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래핀은 탄소(흑연) 원자가 한 개의 층(원자 1개 층)을 가지며 6각 구조로 넓고 평평하게 2차원 구조를 가진 물질입니다.이라고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2차원은 가로 세로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높이는 원자 1개 사이즈로 되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또한 흑연(탄소)을 인공적으로 제조하여 그래핀이나 탄소 나노 튜브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물질의 특성은 전기 전도성이 매우 높다는 것과 강도가 매우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그래핀은 반도체나 태양 전지, 초전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조명, 경량화 소재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초전도체는 특정 온도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전기저항이 0이 되며, 저항에 의한 열이 없어 전력 손실이 최소화 됩니다. 또한, 자기장의 차단하는 특징(마이스너 효과)이 있어 자석을 가져다 대면 자석이 뜨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이번 겨울 빙어낚시 체험을 계획중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원수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15~20cm 이상은 되어야 안전하다고 판단되며, 두꺼울수록 안전합니다. 안전 규정이 있으니 안전규정을 한번 꼼꼼히 살피셔서 계획하셔 안전하고 유익한 빙어낚시 체험을 하시면 좋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6
0
0
요즘 에너지때문에 도처에 난리던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LPG란 액화석유가스(Liquid Petroleum Gas)의 약자입니다. 흔히 프로판 가스라고도 하죠. 석유를 구성하는 성분 중에서 끓는점이 낮은 부탄가스, 프로판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상온에서 높은 압력으로 액화시킨 것입니다. 이는 화석연료인 석유로부터 얻어진 것이죠.LNG는 액화천연가스(Liquid Natural Gas)의 약자입니다. LNG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메탄을 주성분으로한 천연가스의 종류입니다. 성분비율은 다양하지만 대략 메탄(72%~95%), 에탄(1%~13%), 프로판(3%~13%), 질소(1%~18%)로 구성되어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