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그래핀이라는 물질이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래핀은 탄소(흑연) 원자가 한 개의 층(원자 1개 층)을 가지며 6각 구조로 넓고 평평하게 2차원 구조를 가진 물질입니다.이라고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2차원은 가로 세로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높이는 원자 1개 사이즈로 되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이렇게 만들어진 물질의 특성은 전기 전도성이 매우 높다는 것과 강도가 매우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그래핀은 반도체나 태양 전지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초전도체는 특정 온도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전기저항이 0이 되며, 저항에 의한 열이 없어 전력 손실이 최소화 됩니다. 또한, 자기장의 차단하는 특징(마이스너 효과)이 있어 자석을 가져다 대면 자석이 뜨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5
0
0
밝은 빛을 보면 잔상이 남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잔상효과는 시각 세포 중 원추세포의 자극에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강한 빛을 보거나 색깔이 있는 물체를 오래 볼때에 시각 세포들이 자극을 받게 됩니다. 이 때 원추세포가 자극을 받아 신경이 길게 남아 있기 때문에 눈을 감거나 다른곳을 보아도 잔상이 남아 있는것입니다. 물체에서 눈을 떼어도 우리 눈에 있는 원추세포가 뇌로 신호를 계속해서 보내고 있기 때문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5
0
0
엑스레이를 발명한 사람이 누구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Xray는 뢴트겐에 의해 최초로 발견되었습니다. Xray에 관한 실험을 하기보다는 음극선에 관한 실험을 하다가 발견하였습니다. 영문 모를 빛이 검은색 검은색 종이도 뚫고 지나가며 자신의 아내의 손뼈와 반지를 찍어낸다는 사실을 보고 미지의 빛이라며 빛을 Xray라고 부르며 우연히 발견하였습니다. Xray는 파장이 짧은 빛입니다. Xray로 몸 속 뼈를 찍을 수 있는 이유는 Xray가 우리의 살은 잘 투과하지만 뼈는 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뼈사진을 찍을 수 있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5
0
0
요즘 차 주차 시 전체카메라는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2대 이상의 카메라를 방향에 따라 설치해둔 뒤 찍어, 마치 위에서 하나의 카메라로 전체의 모습을 찍은거 처럼 병합하여 보여주는 기술입니다. 또한, 초음파를 통해 주변에 있는 장애물간의 거리 등을 계산하여 보여주는 기술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25
0
0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성종양은 종양 세포와 정상 세포의 경계가 뚜렷하며 전이가 없고 치유가 비교적 쉽게 가능합니다.악성종양은 체내 각 부위로 확산되고 전이되어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5
0
0
방사능에 노출 되었을때 응급조치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방사능에 노출 시 요오드 알약을 먹는것이 예방 및 응급조치방법입니다. 또한, 병원에 가서 의사와 상담 및 진료를 받는것이 응급처지방법이 됩니다.
학문 /
화학
22.09.25
0
0
병원에서 혈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팔에 감아서 사용하는 혈압계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혈압계를 팔에 감싸 빵빵하게 공기를 주입하는데, 혈압계의 공기압을 강하게 하여 팔에 혈액을 흐르지 않게 합니다. 그리고 혈압계의 공기압을 낮추며 혈액이 흐르는 지점을 혈액의 흐름 소리로 판단을 합니다. 소리가 들리는 순간의 혈압계의 압력이 최고 혈압이 됩니다. 그리고 공기압을 계속해서 낮추며 혈액의 흐름 소리를 들을 수 없을 때의 압력을 측정합니다. 이 때의 압력이 최저 혈압이 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25
0
0
자성유체는 자석을 대면 왜 뾰족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석에서 자기장이 사방으로 퍼져 나오는 이유도 있지만, 자성유체가 같은 극으로 놓이기 때문에 뾰족한 모양을 갖춥니다.쉽게 생각해서 막대자석 여러개를 두고 아주 큰 자석의 N극을 가져다 대면 막대자석의 S극 방향이 큰 자석의 N극에 붙게 됩니다. 그러면 막대자석이 큰자석과 붙은 부분은 N극이지만 큰자석과 붙지 않은 막대자석의 부분은 S극입니다. 그리고 막대자석 끼리는 S극으로 놓여있어 서로를 밀어내게 되기 때문에 뾰족해질 것입니다.이와 같은 이유로 자성 유체도 뾰족하게 모양을 갖춘 것입니다. 자성유체에 가까이 가져간 자석의 극이 N극이라고 치면 자성유체의 표면은 S극으로 정렬할 것입니다. 그리고 정렬된 자성유체의 S극 끼리는 밀어내게 될것인데, 이 때문에 뾰족 뾰족하게 모양을 갖추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5
0
0
전압과 전류의 차이가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류란 단위로 [A] 암페어 ampere를 사용하며, 단위 시간 당 이동한 전하량입니다. 1초 동안 30C(쿨롱)의 전하가 이동하였으며, 30A입니다. 일상 생활에서 전류가 높을 때 저항에 더 많은 열이 발생합니다. 전구에 더 강한 빛이 생깁니다.전압이란 단위로 [V] 볼트 volt를 사용하며 전기장이 단위 전하(1C)에게 한 일입니다. 즉, 에너지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전류를 흘려보내줄 수 있는 에너지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전압이 강할 때는 번개, 천둥을 예로들 수 있습니다. 구름에는 전자(-)가 분포하는데, 전자가 많아지면 땅과 구름사이에 전압이 높아져 공기를 타고 전자가 이동(전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번개가 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5
0
0
물을 끓이면 소독이 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독은 균과 바이러스, 미생물 등을 제거하기 위함입니다. 균, 바이러스, 미생물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단백질은 온도가 높아지면 변형되 파괴되죠. 그래서 물을 끓이게 되면 단백질로 이루어진 균, 바이러스, 미생물이 변형되고 파괴되어 소독이 되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5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