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일상생활 속에서 전자파 차단 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 컴퓨터, TV, 스마트폰은 마그넷이나 전자파가 나오긴 하지만 인체에 유해할 정도의 전파가 방출되지는 않습니다.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 가전제품을 제작할 때에도 안전규정을 지키며 생산하기 때문에 큰 걱정은 안하셔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또한, 전선이나 tv, 컴퓨터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인체에 유해할 정도의 전파는 방출되지 않습니다.그래도 걱정이시면 정말 필요할 때만 사용하시면 괜찮을 것입니다. 너무 스트레스 받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3
0
0
돌고래는 초음파로 의사소통을 한다는데 그러면 인간들도 초음파 기계로 대화가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할것으로 봅니다. 긴 시간 동안 돌고래의 행동 패턴과 그때 발생하는 돌고래의 초음파를 데이터로 받아 분석한다면 가능할 수 있을것으로 봅니다. 그리고 이에 대해 연구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또한 강아지, 고양이의 언어도 해석하려는 시도도 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3
0
0
발전소에서 만들어지는 전기는 직류로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기 유도 법칙을 이용하면 처음부터 교류 전류, 교류 전압을 생산해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발전소는 이러한 원리로 전기를 자연의 에너지를 전환해 얻어내려고 하고 있죠. 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코일 주변에 자석을 두고, 코일 끝은 톱니바퀴를 설치해 톱니바퀴를 회전시켜줌으로써 전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코일이 회전하면서 자기장의 변화를 겪으며 유도 전류가 흐르는데 이 전류는 교류 전류가 됩니다. 톱니 바퀴를 회전시키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바람을 이용하여 회전 시킬 수 있으며, 폭포수에 물레방아를 설치해 톱니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죠. 다양한 방법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발전소가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3
0
0
알고리즘은 어떠한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추천방식은 유저(사용자)의 검색 기록, 시청 기록을 데이터로 취급한 뒤, 데이터의 단어 분석을 통해 단어의 등장 횟수나 연관된 단어의 등장 횟수 등을 추출하며,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통적으로 많이 등장한 이미지를 추출하여 이와 관련된 게시물이나 영상을 추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3
0
0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가 뭐죠. 얼음이지만 원래 물이라 밀도는 같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물질은 액체에서 고체로 되면서 부피가 줄어듭니다. 하지만, 물의 경우는 특별합니다. 물이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집니다. 혹시, 페트병에 물을 넣어 얼린경험이 있으시다면 바로 알아채실겁니다. 페트병에 물이 얼어있으면 빵빵하게 돼버리는데,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크기 때문이죠. 물 분자는 액체 상태에서 자유롭게 있다가 어는점이 되면서 배열을 이룹니다. 이 때 6각 배열로 정렬하면서 얼음(고체)이 되는데, 6각 배열은 기존 물 분자 6개가 있던 공간보다 큰 공간을 차지합니다. 또한 6각 구조 내부로는 물 분자가 위치하지 않게 되죠. 이러한 원리로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진거죠. 그리고 물의 질량은 여전히 얼음의 질량과 동일합니다. 즉, 물의 밀도가 얼음의 밀도보다 크기 때문에 얼음이 물 위에 뜨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곡선을 그리는 공은 어떻게 휘어서 날아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공을 감아차게 되면 공의 회전량이 커지게 됩니다. 이 때 회전에 의해 공의 양 옆으로 공기의 기압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 기압의 차이가 공을 휘게 만들게됩니다. 그리고 공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원리: 베르누이 원리>공을 반시계 방향(위에서 볼 때)으로 회전하게 만들어 앞으로 찼다고 생각해보죠.그러면 반시계 방향으로 도는 공의 오른쪽 부분은 공이 앞으로 나아가는 것과 공의 회전 방향이 반대가 됩니다. 즉, 공이 앞으로 나아가면서 공기가 공을 지나가게 되는데, 이 때 공의 회전이 공기가 지나가는 것을 방해하므로 공기의 속력이 느리게 됩니다.반대로 왼쪽 부분은 공이 앞으로 나아가는 것과 공의 회전 방향이 같게 됩니다. 즉, 공이 앞으로 나아가면서 공기가 공을 지나가게 되는데, 공의 회전이 공기가 지나가는 방향과 같아 공기의 속력이 빠르게 되죠.그런데, 유체(공기)의 속력이 빠르면 밀도가 낮아지고, 유체(공기)의 속력이 느리면 밀도가 높아지는 베르누이의 원리가 있습니다. 이는 직관적으로도 이해가 갈것입니다. 유체의 속력이 빠르면 공기 입자 간 간격이 멀어지기 때문에 밀도가 작죠. 반대로 유체의 속력이 느리면 간격이 좁아 밀도가 높구요. 즉, 반시계 방향으로 감아찬 공의 오른쪽 부분의 공기 밀도가 높고, 왼쪽 부분의 공기 밀도가 낮기 때문에 공은 왼쪽으로 힘을 받아 곡선을 그리며 날아가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3
0
0
휘발유의 성능 특성 ‘옥탄가’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 휘발유는 옥탄가가 91이상~94미만이며, 고급 휘발유는 옥탄가가 94이상 입니다. 원유에서 정제된 휘발유에 옥탄가를 첨가함으로써 일반 휘발유와 고급 휘발유로 분류되는 것입니다.여기서 옥탄가란 휘발유의 자연 점화를 억제하는 첨가제입니다. 휘발유는 인화점이 -43도로 상온에서 가연성 증기를 만들어냅니다. 즉, 불씨가 있으면 연쇄적으로 불이 붙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옥탄가를 넣게 되면 점화(불이 붙는것을)를 억제시켜줍니다. 즉, 일반 휘발유는 고급 휘발유에 비해 점화가 상대적으로 잘 일어납니다.엔진이 가동되고 피스톤이 움직이면서 압축이 일어나는데, 완전 압축 상태일 때 압축된 열에 의해 압축 시 분사 된 휘발유가 점화(폭발)가 일어나며 팽창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또 다시 피스톤이 압축, 점화, 팽창을 반복하며 엔진이 가동됩니다. 그런데, 만약 휘발유의 옥탄가가 낮다면 피스톤이 완전 압축 되기전에 작은 열기에 의해 휘발유의 점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엔진의 피스톤이 심각하게 마모되고, 벨브의 손상이 생겨 출력이 감소되며, 연비 저하, 매연 증가, 소음 증가 등의 문제점이 생겨납니다. 즉, 엔진 노킹 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엔진에서 마치 툭툭 노크하듯이 소음이 발생하죠. 그래서 엔진에 맞는 연료를 파악하여 사용해야 이러한 상황을 모면할 수 있습니다. 차량의 엔진을 파악하여 적절한 연료를 사용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3
0
0
석유와 석탄은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석유의 만들어지는 과정은 무기성인설, 유기성일설 두 가지의 설이 있습니다.무기성인설 의 경우 지하의 금속탄화물과 물이 고온 고압 환경에 놓여 반응해 탄화수소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탄화수소, 물, 황 등이 섞이면서 고온 고압으로 반응하여 탄화수소가 발생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유기성인설 의 경우 지하에 매몰된 유기물(동물, 식물)이 지열과 지압을 받아, 토양의 촉매 작용으로 탄화수소로 변성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여기서 등장하는 탄화수소가 석유를 의미합니다. 석탄은 지질시대의 육상의 식물이나 수상의 식물이 퇴적, 매몰되어 고온, 고압 환경에 놓여 변질되며 생성된 가연성 암석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3
0
0
방귀에도 불이 붙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방귀에는 메탄가스가 함유되어있어 불이 붙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장난으로라도 방귀를 낄때 불을 붙이면 옷에 옮겨 붙을 수 있어 위험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3
0
0
비행기의 속도에 대해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셋다 비슷한 의미입니다.음속은 대략 343m/s 속력을 의미합니다. 비행기가 음속에 가까운 속력으로 비행할 경우 음속의 단위를 사용하여 빠르기를 표현합니다.초음속의 경우 음속보다 빠른 속력으로 날아가는 비행기의 속력을 표현할때 초음속으로 날아간다 표현합니다.마하의 경우는 343m/s 를 1mach라 하며 음속을 1로 표현한 단위입니다. 2마하는 음속의 두배의 속력이 되죠. 그리고 1마하 이상의 비행은 초음속 비행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3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