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과산화수소는 왜 세탁에 용이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산화수소는 피부 접촉에 무해하며 항균, 항바이러스, 항진균, 표백 효과도 있습니다. 이러한 효과로 세탁물을 더 하얗게 하고, 오염된 세균과 악취를 확실히 제거해주죠. 또한 과산화수소는 환경에도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9.16
0
0
손소독제는 어떻게 세균을을 소독해주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알코올 세정제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죽입니다. 알코올 세정제에 함유된 에탄올은 바이러스의 외피를 녹일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외피를 녹여 죽이거나 증식을 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소독효과를 보는것이죠. 세균 같은 경우도 마찬가지로 단백질, 지방을 녹이거나 변형시켜 살균 작용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9.16
0
0
백야 현상은 어떻게 일어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백야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지구의 공전 궤도면에 수직하게 서있지 않고 조금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자전축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지구가 자전할 경우를 상상해보죠. 만약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을 하다가 자전축이 태양 방향으로 기울어진 위상이 되면, 자전축 부분은 태양 빛에 노출이 됩니다. 그리고 자전을 한바퀴 하더라도 여전히 태양은 자전축을 비추고 있는 상태죠. 그러면 자전축 부근에 사는 사람들은 해가 지는 광경을 보지 못할 것입니다. 하루가 지나도 해가 떠있죠. 이것이 백야 현상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6
0
0
차가운 얼음이 신체에 붙는 현상에 대해서 설명을 듣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아주 차가운 얼음에 손이나 혀를 대면 달라 붙는 경우가 있는데요. 혀에 있는 수분과 우리 손에 있는 수분이 순간적으로 얇게 얼어서 달라 붙는 현상이 일어나는것입니다. 손에 물기가 없어도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증기방울이 우리 몸에 달라 붙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수분이 아예 없는 상태라도 손의 열기가 얼음을 만질때 얼음의 표면을 조금 녹게하는데, 얼음이 매우 차가우면 녹은 얼음이 다시 얼게되어 손과 얼음이 달라 붙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6
0
0
남극과 북극이 녹는것에 대해 문의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온난화로 남극과 북극의 눈과 얼음이 계속해서 녹고 있습니다. 북극의 경우 대륙이 없고 빙하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남극은 대륙 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북극의 빙하가 녹게 될 경우 해수면의 상승은 없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왜냐하면 물 위에 얼음이 둥둥 떠있다가 얼음이 녹아도 수위가 안 올라가는 이유와 같습니다. 물은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지는데, 그 부피가 커지는 만큼 수면 위로 뜨기 때문이죠. 하지만 남극의 경우는 다릅니다. 남극은 대륙이며 대륙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이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바다로 유입되면 해수면의 상승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 전체 면적의 70퍼 정도가 바다이며 일부 남극의 얼음이 전부 녹지 않는 이상 해수위의 상승은 미미합니다.눈과 얼음이 녹아 바다로 유입되고 태양 에너지를 받아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해수위가 상승하는 또 다른 조건입니다. 바닷물에 열이 가해지면 운동성이 활발해져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이죠.여기까지 해수위가 상승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극지방의 얼음이 전부 녹는데 걸리는 시간은 예측이 어렵습니다. 빙하가 녹아 바다로 유입되며 해수의 온도를 낮추는 요인도 있으며, 이 해수의 온도가 대기의 온도에도 영향을 미쳐 대기의 온도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또한 대기의 온실효과로 여전히 대기의 온도가 어디까지 올라갈지 예측이 어렵죠. 복합적인 요인을 고려해야 빙하가 녹는데 걸리는 시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특정 모델링을 해 예측을 하더라도 정확하다는 보장을 할 순 없습니다. 왜냐하면 모델링에 사용된 변수가 조금만 바뀌어도 결과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5
0
0
가청 주파수가 나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노화가되면서 달팽이관에 있는 청각 신경 세포가 손상되면서 점점 듣지 못하는 주파수 영역대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야기 하는 상황에서는 소리가 명확히 전달되어 대부분의 소리를 들을 수 있지만, 노화로 인한 난청의 경우에는 소리가 뚜렷히 들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젊을 때에는 20000Hz의 주파수까지 들을 수 있으며, 노화가 되며 10000Hz의 주파수 이상은 듣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10대 18000Hz 정도20대 17000Hz 정도30대 14000Hz 정도40대 12000Hz 정도50대 이상 10000Hz 정도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물론 사람에 따라 들을 수 있는 정도가 다르며 언급드린 수치는 평균적인 값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5
0
0
식물 DNA 추출할 때 extraction buffer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DNA를 추출하기위해서는 그냥 추출하면 구조가 깨질 위험이 있으며 상태가 불안정하게 됩니다. 그런데 extraction buffer를 사용하게 되면 DNA 구조를 고정시켜주며 안정적으로 추출이 가능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5
0
0
태풍의 발생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태풍의 강도는 수증기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에도 강한 태풍이 올 수 있으며, 태풍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때 강한태풍이 됩니다. 그런데 여름, 가을(9월 정도)에는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이로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수증기량이 많아져 강한 태풍이 만들어 지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5
0
0
인공눈을 만들수잇는 원리는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 제설기를 통해 물을 아주 작은 입자로 분사시킵니다. 물이 아주 작은 입자가 되면 물의 온도를 변화시키가 쉬워지는데, 추운 겨울에 분사시켜 물이 지면에 닿기전에 얼게하여 인공눈을 만들어 내는것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5
0
0
순간적으로 하려던걸 까먹는 현상은 어떤 현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건망증은 뇌의 기억중추인 해마에 있는 단백질의 부족으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라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건망증은 치매와 달리 시간이 지난 뒤에 하려던 a일을 생각해내거나 문득 떠오를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5
0
0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