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미래에 전기 에너지를 대체할 주요 에너지원으로 손꼽히는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생활에 필요한 대부분의 에너지는 전기에너지입니다. 가전제품, 전자제품 모두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죠. 이 전기에너지를 생산해내는데 어떤 방식으로 얻어내면 친환경 적이고 효율적인지를 많은 학자들이 고민하고있습니다.전기에너지를 얻기 위해 풍력, 수력, 조수, 원자력, 태양열, 태양광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얻고 있습니다. 친환경 에너지로는 태양열, 태양광, 수력, 조수, 풍력 등이 있으며 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소를 이용해서 얻을 수 있는 수소 에너지도 친환경적인 에너지이죠. 기존 원자력 발전은 핵분열 발전이라 환경에 좋지 않은 물질이 발생할 수 있지만 먼 미래에는 핵융합 에너지가 개발되어 친환경 적인 에너지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5
0
0
교통사고 날때 슬로우 느낌이 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위기 상황이나 급박한 상황에 모면하게 되면 뇌가 자극을 받아 더욱 상세하고 정확하게 관찰하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일종의 생존 본능이죠. 상황을 자세히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함입니다. 그래서 위기 상황에 놓이면 시간이 천천히 흐르는 거처럼 느껴지며 짧은 시간에 여러 생각을 할 수 있는것이죠. 그래서 이러한 상황에 놓이고 난 뒤 주마등이 스쳐갔다고 표현을 하는 이유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5
0
0
밥을 먹고 나면 왜이렇게 졸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밤에 질 좋은 숙면을 취하시지 못할 경우 춘곤증이 올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해소, 운동, 활동적인 취미 등을 통해 밤에 질 좋은 숙면 습관을 들이시고 낮잠을 30분~1시간 정도 주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5
0
0
뇌 크기는 타고난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암기를 잘하고 못하고는 뇌의 크기랑 관련이 있다는 과학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뇌의 크기는 사람 마다 거의 비슷하면 조금씩은 다를 수 있습니다. 공부는 재능도 필요하지만 노력으로도 충분히 잘할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반복해서 공부하시면 잘하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5
0
0
눈이 뒤에 달린 동물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이 뒤에 있는 동물은 없으며, 사각지대가 거의 없는 카멜레온의 경우는 360도로 눈알을 굴릴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5
0
0
얼음의 녹는 속도가 다른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 녹아 있는 성분에 따라 어는 점이 낮아 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은 순수한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얼음의 어는점은 0도 정도가 됩니다. 또한 얼음을 얼리는 과정에서 더욱 낮은 온도로 얼렸을 경우 0도 보다 더 차가울 수 있습니다. 아마 카페에서 얻은 얼음은 대량으로 넣어주었고 냉동된 얼음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차가움이 오래갔을것으로 추측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5
0
0
현재 공룡의 멸종 이유로 가장 많이 언급 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크게 소행성 충돌, 화산 폭발, 기후 변화를 강한 후보로 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소행성 충돌에 대한 근거를 대며 가장 유력한 후보로 지지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화산 폭발의 가능성은 적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적이 있습니다. 아직 정확하게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라는것을 들은적이 없기에 답변이 어렵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5
0
0
지구와 달의 공존관계? 생긴시점?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와 같은 행성들이 태양계 외부에서 날아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것이 아니라면 태양이 만들어지고 태양계 주변에 분포한 물질과 가스등이 중력에 의해 모여 각각의 행성을 형성하였을 것입니다. 이는 번쩍하는 동시가 아닌 오랜 시간에 거쳐 동시에 만들어졌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달의 생성 과정을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거대 충돌설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뽑힙니다. 지구가 만들어질 시기에 외부 소행성과 지구가 충돌하고 난 뒤 파편이 지구 주위를 돌게 됐는데, 이 파편 주위로 가스와 물질이 중력에 이끌려 붙어 달이 탄생했다는 설입니다. 이 설을 근거하는 증거로는 염소 동위원소 분석이 있습니다. 달에서 가져온 암석에서 염소 분자와 지구에서의 염소와 비교를 통해 분석한 결과, 무거운 동위원소는 달에 남고, 가벼운 동위원소가 지구 중력에 이끌렸음을 보고 충돌설을 뒷받침 하고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5
0
0
목성이 기체라고하는데 궁금한게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목성 내에도 핵이 존재합니다. 핵은 밀도가 높으며 액체나 고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지구에서도 대기가 존재하는것처럼 목성에도 대기가 존재하는데, 두껍게 존재합니다. 이유는 중력이 기체를 붙잡아 두기 때문이죠. 중력이란것은 만유인력으로 질량을 가진 두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는것입니다. 그리고 목성이나 지구와 같이 거대한 질량체는 강한 만유인력(중력)을 행사하죠. 만유인력은 질량이 클수록 그 힘이 강해집니다. 만유인력 때문에 우리가 지구에 붙어있고 제자리에서 점프해도 다시 땅으로 떨어지는것입니다. 목성은 지구보다 훨씬 중력이 크며, 질량도 훨씬 큽니다. 그래서 지구보다 더 큰 중력을 행사하고 있고, 이로인해 더욱 두꺼운 기체층을 가질 수 있는것이죠.중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질량을 가진 물질을 두껍게 쌓으면 됩니다. 질문자님도 몸무게(질량)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력을 행사하고 있죠. 다만 그 중력의 크기가 우리가 체감할 수 없을 정도로 작기 때문에 느끼지 못하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5
0
0
'친수성'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세제에 포함된 성분(분자)에는 친수성과 친유기성을 띠는 성질을 가진 분자가 존재합니다. 그래서 기름 부분에는 친유기성이 기름 입자를 감싸게 되고 감싼 부분 표면은 친수성의 성질을 띠기 때문에 물에 잘 녹을 수 있죠. 그래서 기름 제거할 수 있습니다.세차를 하고 소수성이나 발수성을 띠는 성분을 통해 코팅 작업을 합니다. 소수성이나 발수성은 물과 결합하지 않는 성질을 띠기 때문에 빗물이나 오염물이 차 표면에 떨어질 경우 그대로 흘려내려보내게 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5
0
0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