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검은 옷을 입으면 더 더운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을 모두 흡수하는 색은 검정색입니다. 그리고 빛을 모두 반사하는 색은 흰색입니다. 그리고 빛에는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모든 빛을 의미합니다.이러한 빛을 모두 흡수하는 검은색으로 옷을 만들게 되면 햇빛이나 외부의 빛을 모두 흡수하기 때문에 모든 빛을 반사하는 흰옷보다 더운것이죠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형광등 같은곳에 벌레 사체가 왜 쌓이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주광성 벌레들이라고 하죠. 흔히 나방 같은 종류의 벌레들은 빛을 보면 마구 달려듭니다. 이들은 어두움 밤에 먹이를 찾거나 길을 찾을 때 빛을 이용하는데, 이 빛이 하나의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벌레들이 밝은 빛을 쫓아 형광등에 달려들곤 합니다. 집에 전등은 형광등이 있고 이를 감싸는 덮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덮개는 윗부분에 틈이 있어 벌레들이 쉽게 들어갈 수 있죠. 그리고 틈으로 들어간 벌레가 나오지 못하고 죽어 무더기로 쌓일 수 있습니다. 또한 틈이 있는 전등이나 형광등의 경우 벌레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사체가 쌓이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3
0
0
1년에 태풍이 몇번정도 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통계상 1년에 3회 정도 우리나라에 타격 있는 태풍이 올 수 있습니다. 태풍이 1년에 오는 횟수가 정해진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태풍은 적도에서 만들어지며 만들어질 때 강한 저기압과 많은 수증기량이 필요로합니다. 이러한 조건하에 태풍이 형성되며 바람을 타고 북쪽으로 향하거나 남쪽에서 만들어진 태풍은 남쪽을 향하게 됩니다. 또한 태풍이 만들어졌다고 꼭 우리나라를 지나는 것은 아닙니다. 태풍이 만들어지는 지점이 우리나라와 멀다면 그 태풍은 우리에게 오지않죠.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도와 비슷한 부근의 경도에서 만들어진 태풍이 있다면 북상하여 우리나라를 타격할 수 있죠. 실제로 우리나라의 경도 부근에서 만들어진 태풍은 다수 있지만 실제로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은 평균적으로 3회 정도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하늘과 바다가 푸른 이유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이 보이는 것이죠. 우주에는 빛이 산란할만한 기체가 없는 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것입니다.바다가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물이 긴 파장(붉은색 계열)의 빛을 흡수하고 짧은 파장(파란색 계열)의 빛을 투과시키는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파란색 빛이 물에 투과되고 물 분자와 부딪혀 사방으로 산란되며 그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현재의 과학기술에서 다른 사람에게 뇌 이식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뇌 이식 수술에 성공했다는 사례에 대한 이야기도 있지만 이 결과에 대한 많은 의문도 제시되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아직 불완전한 수술이고 더 연구되어야할 과제입니다. 또한 아직 성공 사례에 대한 정확한 결과나 의견이 없어서 a, b사람의 사고가 뒤바뀌는 지는 저도 의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2
0
0
사람이 물 속에서 살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러한 조건이라면 물속에서 사는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조건이죠. 사람은 물속에서 숨 쉴수 없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2
0
0
탄산 없는 음료수에 탄산수소 나트륨 넣는 이유와 역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탄산수소나트륨이 탄산음료의 제조과정에 들어갔기 때문입니다.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면 탄산음료의 탄산인 이산화탄소를 첨가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2
0
0
일상 생활에서 많이쓰이는 종이는 무한 재활용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종이를 무한 재활용할 수는 없습니다. 종이에 코팅 처리를 할 수도 있으며, 기타 물질이 묻은 경우에는 재활용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종이를 사용하는 다양한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재활용이 안되고 버려지는 종이도 많죠. 하지만 단순히 기타 물질을 묻히지않고 종이접기만 할 종이라고 친다면 재활용이 여러번 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2
0
0
욕실에 있는 검은 곰팡이의 정체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곰팡이란 두꺼운 세포벽을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 살아갈 수 없는 종속영양생물입니다.곰팡이는 포자를 퍼뜨려 번식을 합니다. 그래서 번식이 빠릅니다. 또한 곰팡이는 습한 환경에서 번식이 활발해집니다. 곰팡이가 포자를 퍼뜨리면 주변에 안착되어 곰팡이가 자라나고 또 자라난 곰팡이가 각각 포자를 퍼뜨리기 때문에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그리고 포자는 공기를 타고 이동이 가능하여 먼 거리까지도 이동할수도있습니다. 포자가 공기를 타고 벽이나 바닥에 안착하여 곰팡이로 자라나기 시작하는 것이죠.
학문 /
화학공학
22.09.12
0
0
물에 오래 들어가 있으면 손이 쭈글쭈글해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손이 쭈글해지는 이유는 삼투압 때문이라는 말도 있지만, 자율신경계의 반응에 의해 물이 닿으면서 혈관이 수축해 쭈글해진다는 연구결과도있습니다. 이때 연구자는 손이 마비된 사람의 손이 물에 한참 있어도 쭈글해지지 않는것을 보고 연구를 하여 얻어낸 결과입니다. 삼투압에 의해서라면 마비되든 되지않았든 삼투압에 의해 쭈글해져야 하지만 결과는 그렇지 않았습니다.인위적으로 빠르게 원상복귀 시키는 방법은 잘 모르겠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원상복귀되니 크게 걱정안하셔도 될듯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2
0
0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