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스텔스 기술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텔스기는 눈으로는 관측이 되지만, 레이더 망에는 포착이 되지않습니다. 보통 비행기의 위치를 파악할 때 레이더를 사용하며, 이는 비행체에 전파를 보내 반사되어나오는 전파를 다시 받는 식으로 감지를 합니다. 그런데 비행체가 없다면 당연히 전파는 반사되지않고 되돌아오지도 않지요. 스텔스기는 이 원리를 역이용하여 스텔스기로 들어오는 전파를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전파망에 포착되지 않게합니다. 그래서 레이더망에 포착되지않죠.우리나라에서 한국항공우주산업에서 페인트를 개발하였으며, 이 페인트는 스텔스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2
0
0
평소에 액체이고 큰 충격을 가하면 딱딱해지는 물체는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러한 액체는 비뉴턴 유체로 분류됩니다. 보통의 유체와 달리 외부에서 힘(충격)이 가해지면 고체의 성질을 띠거나 더 액체처럼(더 잘 흐르는=점성이 적어지는) 되는 물질을 의미합니다.예시로, 질문자님께서 보신 영상의 액체가 있으며 그러한 액체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고체가 되버립니다. 또한 케첩의 경우 외부 충격이나 진동을 주면 더욱 잘 흐르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12
0
0
달의 성분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고, 태양 빛을 반사함으로써 달빛을 만듭니다.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고 있고,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도 스스로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달의 모양이 계속해서 바뀌는 것입니다.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햇빛을 반사하는 부분이 바뀌게 되는데 이 때문에 달이 삭,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그믐달로 바뀌는 것입니다.달을 구성하는 원소로는 산소, 규소, 알루미늄, 칼슘, 철 등이 있으며, 표면은 현무암, 사장석 등으로 뒤덮여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2
0
0
핸드폰 무선충전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베터리에는 전하(+, - 극)를 가진 화학물질이 +극과 -극으로 나누어져 전위차(전압)를 만들며 전지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휴대폰에 전류를 흘려보내어 휴대폰이 작동하게끔 만듭니다. 베터리가 방전된다는것은 베터리 내에서 +, -극을 띠지 않는 상태가 되는것이죠. 방전된 베터리를 충전하는것은 +, -극을 다시 분리시켜주는것을 의미합니다.무선 충전기는 베터리를 충전시킬때 전자기유도를 이용하여 충전시킵니다. 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휴대폰에 코일을 내장시켜두고, 무선 충전기에도 코일을 내장시켜둡니다. 이 때 무선 충전기에 코드를 꼽고 전압을 걸어주면 무선 충전기 내에 있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우리는 교류 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코일에 흐르는 전류 또한 수시로 변화합니다. 그런데, 코일이나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주변에 자기장을 만들어 냅니다. 즉, 전자석이 되는것이죠. 그리고 전류가 수시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자기장 또한 변화합니다. 그래서 휴대폰을 무선충전기에 가져다 대면 무선 충전기의 자기장 변화로 휴대폰의 코일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것이죠. 그리고 이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베터리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2
0
0
선풍기를 최초로 개발한 사람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선풍기의 최초 발명은 1831년 러시아에서 알렉사드르 알렉산드로비치 사블루꼬프에 의해 발명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2
0
0
꿈을 꾸는 현상은 뇌에서 어떤 원리로 일어나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꿈은 자면서도 뇌가 활동하기 때문에 꾸게 되는것입니다. 잠을 잘 때 우리 몸에서 특정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뇌에도 영향을 줍니다. 영향을 받은 뇌는 뇌의 부분 부분에 신호를 보내게 되죠. 그러면서 뇌는 활발하게 활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활동이 꿈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시각, 청각, 후각 등 여러 감각도 결국 뇌가 판단하는 감각이기 때문에 뇌의 활동으로 인해 실제로 있는거처럼 착각을 가져온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2
0
0
냉장고에 있던 탄산음료에 충격을 주면 갑자기 어는 현상은 어떤 현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탄산음료를 냉동고에 적절한 시간 두면 과냉각 상태에 도달합니다. 과냉각 상태는 어는점보다 더 낮은 온도가 되었는데도 얼지않고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액체가 고체가 되기 위해서는 자유롭게 존재하는 분자(액체상태)들이 정렬(고체 상태)을 해야합니다.그런데, 과냉각 상태의 온도는 스스로 정렬하기에는 충분한 온도가 아닙니다. 과냉각 상태에 도달한 액체가 얼기위해서는 외부 충격이나 응고를 도와줄 수 있는 작은 입자인 핵이 필요합니다. 음료수의 경우 깨끗한 상태이고 어는데 도움을 주는 작은 입자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얼지않고 과냉각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것이죠. 그래서 우리가 종종 탄산음료를 시원하게 먹고자 냉동고에 넣어두고 깜빡하거나 조금 늦게 꺼낸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뚜껑을 열거나 또는 페트병에 충격을 가하게 됨으로써 얼어버리게 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2
0
0
배달해서 온 음식에 랩은 왜 움푹 들어가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반에 뜨거운 김이 모락모락 날때 랩을 팽팽하게 씌워놓습니다. 그런데 배달을 하게되면서 뜨거운 열기가 서서히 식기 때문에 부피가 줄어들게되죠. 그래서 팽팽하게 씌워놓은 랩이 움푹들어가게 되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2
0
0
휴대폰 배터리는 어떻게 써야 오래 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베터리를 충전하고 방전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베터리를 사용한 시간이 지나게 되면 베터리 구매 초기의 충전량보다 줄어들게됩니다. 즉, 더 이상 완충이 아닌게되죠. 또한 베터리를 사용하다보면 노후되어 베터리 내부적으로 화학반응이 느려집니다.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서 베터리의 효율을 완전히 못내게 되죠.이러한 이유로 85퍼정도 충전하여 방전될때까지 사용하면서 충전 방전을 원활하게 하는데, 이렇게하면 베터리의 수명을 늘리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또한, 만약 완충이된 경우에는 충전기를 빼두시는게 가장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이고 베터리에의 수명에도 좋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2
0
0
UFO가 존재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1
0
0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