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꽃은 왜 피는지요? 온도에 따라 피는것인지 과학적으로 설명 듣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꽃이 피는 이유는 번식을 위해서입니다. 꽃의 종류에 따라 번식의 시기가 다르며 개화의 시기도 다르죠. 그래서 봄, 여름, 가을, 겨울에 피는 꽃들이 있습니다. 겨울에도 피는 꽃이 있죠. 그 예로 동백꽃, 수선화 등이 대표적입니다. 하지만 너무 추울경우에는 생명활동에 어려움이 있어 필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동백꽃, 수선화는 너무 추운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필 수 있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0
0
0
100년만에 가장 둥근 보름달이라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의 크기가 차이나는 것은 달의 공전 궤도가 정확한 원이 아니고 타원 형이며, 지구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질때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100년 만에 가장 둥근 보름달인 이유는, 태양-지구-달 순으로 놓이게 되면 보름달을 관측할 수 있는데 정확하게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상에 놓일 때 우리나라가 달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놓이게 되어 100년만에 가장 둥근 보름달을 관측할 수 있는것이죠. 보름달을 관측할 수 있을 때 항상 태양-지구-달 순으로 놓이지만 우리나라가 달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놓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100년만에 가장 둥근 보름달을 맞이한 것입니다. 그리고 재미있는것은 거의 매해 추석이나 설날에 특별한 날임을 강조하기위해 몇 십년 만에 찾아온 날이다 라는 문구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렇게 매년 특별한 날이 될 수 있는것은 과학적인 해석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0
0
0
ufo는 과거보다 현재로써 더 믿는 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과거에도 그렇고 현재도 마찬가지로 아직 ufo에 대해 밝혀진게 없죠.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0
0
0
찬공기가 아래로 향하고 더운공기는 위로 향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뜨거운 공기는 밀도가 작으며, 찬공기는 밀도가 크기 때문에 찬공기가 아래에 깔리고 따뜻한 공기는 위로 올라갑니다.왜 뜨거운 공기가 밀도가 작으며, 찬공기가 밀도가 큰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온도라는 개념의 이해가 필요합니다.온도의 정확한 개념은 입자, 분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입니다. 입자(분자)의 운동이 활발할수록 온도가 높은것이며, 운동이 느릴수록 온도가 낮은것이죠. 그러면 뜨거운 공기는 분자 운동이 활발하여 서로 거리가 멀리 떨어진 상태입니다. 행동 반경이 넓죠. 즉 밀도가 낮은 솜사탕의 경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차가운 공기는 분자 운동이 거의 없어 분자간의 거리가 가까운 상태입니다. 즉 밀도가 높죠. 마치 설탕 한 봉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솜사탕의 경우는 설탕 한 봉지보다 가볍습니다.정리하면 뜨거운 공기가 밀도가 낮아 위로 올라가게 되고, 차가운 공기가 밀도가 높아 가라앉게 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0
0
0
지구의 좌전과 공전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천체 운동에는 보존되는 물리량이 존재합니다. 에너지가 보존되며, 각운동량(회전)이 보존됩니다. 지구의 자전은 각운동량이 보존되는 경우로 지구의 질량중심축을 기준으로 초기에 생긴 회전 에너지로인해 계속해서 자전할 수 있는것입니다. 공전 또한 마찬가지로 지구가 생겨나면서 태양을 중심으로 회전하고있었기 때문에 이 회전(각운동량)이 보존되어 현재까지 돌아가고 있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0
0
0
귤에는 씨가 없는데 번식하는 법이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우리가 먹는 귤은 씨앗이 없게끔 개량된것입니다. 귤에도 씨앗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량하기 전 귤에도 씨앗이 있었죠.
학문 /
생물·생명
22.09.10
0
0
뿌리는 살충제의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살충제에는 피레스로이드 성분과 유기인계 살충제 성분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성분은 해충들의 호흡기에 들어가 독으로 작용하여 죽음에 이르게하고 살충제 성분에 접촉하는거 자체로도 살충이 가능하게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사용하는 살충제가 인체에 무해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호흡기 등으로 들어와 쌓이게 되면 인체에 유해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살충제를 뿌리고 환기 작업이 필요하죠. 그리고 살충제는 최소화로 사용하여 벌레를 퇴치하는게 좋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0
0
0
요리시 발생하는 냄새는 어디로 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냄새는 입자가 맞습니다. 화학 분자 구조로 이루어져 있죠. 이러한 냄새 입자(분자)가 확산하기 때문에 공기중으로 퍼져나가 우리 코의 냄새를 감지하는 세포에 도달하여 우리가 냄새를 맡을 수 있는것입니다. 또한 냄새가 확산되어 퍼져나가 분자들이 미량이지만 벽이나, 옷, 소파 등 가구에 안착될 수 있으며 창문이나 환기구를 통해 더욱 멀리 퍼져 나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냄새가 서서히 사라지는 것이죠. 기름기도 역시 기름 입자가 공기를 타고 멀리까지 이동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옷이나 가구에 들러 붙을 수 있으며 기름 때가 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0
0
0
뉴런의 휴지전위가 약 -80mV로 항상 고정되어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에너지의 -의 의미는 수학적으로 접근하는것보다 물리적으로 접근하여 이해하는것이 좋습니다. 전위가 -이면 속박 상태에 있거나 안정적인 상태, 휴지 상태에 존재할 때 -로 많이 표현합니다. -로 표현하는 이유는 단순히 기준 때문입니다. 에너지는 기준점을 어떻게 잡냐에 따라 +를 가질 수도 있으며, 0을 가질 수도 있고 -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에너지(전위)의 0의 기준이 속박을 벗어나거나 안정점을 벗어나거나 휴지 상태를 벗어날 때를 기준잡습니다. 그래서 휴지 전위는 -80mV, -70mV이 되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10
0
0
달에도 수자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사에서는 달에서 물 분자의 흔적을 찾아냈습니다. 하지만 달에 물이 존재는 하지만 그 양은 많지가 않습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달에 대한 탐사는 이뤄질 것이며 앞으로도 우리가 몰랐던 새로운 사실들이 밝혀질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0
0
0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