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태풍은 왜 발생하며 회전을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태풍이 회전하는 이유는 강한 저기압으로 인해 바람이 불어나가는데, 지구의 자전에의한 관성력인 코리올리 효과 때문입니다. 흔히 싱크대나 화장실에서 물을 배수구로 배출하면 물이 돌면서 내려가는 것을 보실 수 있을겁니다. 이는 지구 자전에 의한 코리올리 효과죠. 태풍도 마찬가지로 코리올리 효과를 받아 바람이 불어 나가는데 회전하며 불어나가죠. 그래서 북반구로 오는 태풍의 회전방향이 항상 같은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4
0
0
태풍/비 등 기상예보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하여 예측합니다. 각 지역에 풍향, 풍속, 강수량, 온도 등을 측정하는 관측장비가 있으며 여기서 관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치모델링을 통해 비가 올지, 바람은 얼마나 어디로 불지, 온도는 어떻게 될지 예측을 합니다. 예측결과를 얻기위해서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온도, 습도, 풍향 등 다양한 변수를 담고 있는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어내어 해를 구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특정 시간에 어떤 상태일것이라는것을 예측하는것이죠. 또한 비구름의 이동 경로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도 대략적인 예측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예측이 완벽한 예측은 아닙니다. 모델링을 하였다 하더라도 현실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을 완전히 고려한것은 아니니까요. 또한 관측값을 통해 예측을 실시하기도하는데, 관측값이 온전한 값일 수도 없습니다. 관측에는 항상 오차나 오류가 존재하기 때문이죠. 이러한 이유로 완벽한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4
0
0
양자역학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자역학은 원자단위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것입니다.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그런데 전자가 원자핵 주변에 어떤 형태로 어떻게 운동하고 있는지 설명하고 싶다고 생각해보죠.흔히 잘 알고있는 예시로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다는 중력을 받아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다를 설명할 수 있죠. 이것이 고전역학입니다. 무거운 짐을 들기위해선 물체의 중력만큼의 힘이 필요하죠.하지만 원자세계에서는 원자핵 주변으로 전자가 돌고있다를 기술하기 위해서는 중력, 만유인력으로 설명이 되지않습니다. 양자역학으로 설명이 가능하죠.
학문 /
전기·전자
22.09.04
0
0
힌남노 보다 더 쎈 태풍이 온적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강한 태풍이 아파트나 빌딩을 무너뜨린 사례는 아직 없습니다. 하지만 유리창을 깨거나 노후된 집을 휩쓸거나 지붕을 휩쓰는 사례는 존재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4
0
0
칼슘을 먹으면 손발톱이 더 잘 자라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칼슘이 함유된 영양제를 먹으면 손톱, 발톱, 뼈의 영양분이 되므로 더욱 건강한 손톱, 발톱, 뼈가 됩니다. 칼슘 영양제를 먹는다고 손톱, 발톱이 더 빨리 자라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손톱, 발톱은 죽은 세포들이 축적되면서 자라나는것이기 때문이죠.
학문 /
화학
22.09.04
0
0
우주 자원을 지구로 가져오는게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로써는 불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소유권 문제도 있을것이며, 우주의 자원이 방사선 물질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소유권 문제나 안전성 문제가 해결되면서 우주의 자원을 가져와 지구에서 사용할 수 있을것이라 판단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4
0
0
우주는 무한희 팽창하는 끝은 어디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가 계속해서 팽창 할지, 아니면 팽창을 멈추고 평탄한 우주가 될지, 팽창을 멈추고 수축을 시작할지는 아직 연구중에 있으며 어떤 우주가 될지는 미지합니다. 현재 우주는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기 전인 변곡점에 걸쳐 있는것으로 연구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물질과 빛의 양의 밀도를 계산하여 우주가 팽창할것이라 추정도하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의 양의 정도에 따라 우주가 어떻게 변할지 바뀔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직은 미지의 영역이고 앞으로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를 연구하여 밝혀냄으로써 우주의 미래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4
0
0
우박과 눈의 생성원리는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될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눈은 우박과 달리 수증기가 물이되고 작은 물 알갱이가 얼게 됩니다. 이 작은 눈 알갱이는 주변의 수증기나 물이 달라붙어 그 크기가 커져 눈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4
0
0
태풍으로 인해 내리는 빗물 염도?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눈 주변의 반경은 우리가 생각하는것보다 범위가 넓습니다. 그래서 토네이도를 만들며 바닷물이 직접 올라오지는 않습니다. 증발된 물이 올라와 짜지는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4
0
0
화석이 되어가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뼈가 땅에 묻히고 잘 썩지 않기 때문에 화석이 될 수 있습니다. 뼈가 안썩는 이유는 뼈의 성분과 관련있습니다. 뼈가 땅에 묻히고 수분이 빠져나가는데 이때 주된 성분은 칼슘성분입니다. 이 칼슘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은 거의 없기 때문에 분해가 일어나지않고 그대로 보존되는것이지요. 그래서 땅에 묻힌 뼈가 퇴적물들과 함께 퇴적되고 압력이 가해지며 화석이 되는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09.04
0
0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