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작용반작용의 법칙이 응용된 기구나 그 과정은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작용 반작용은 우리가 사물을 밀 때에도, 걸어다닐 때에도 적용됩니다. 물체를 밀때 우리는 힘을 주어 밉니다. 그 순간 물체도 우리를 밀어내게 되는데요. 이것이 작용 반작용입니다. 또한, 걸어다닐수있는 이유도 우리가 땅에 힘을 가해 발로 밀면 땅이 밀리지 않고 마찰력이 우리의 발을 앞으로 나아가게 합니다.
학문 /
물리
22.09.02
0
0
태풍은 어떻게 생겨나며 소멸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2
0
0
드라이 아이스와 얼음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어떻게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의 고체 상태로, 이산화탄소 기체를 한 공간에 주입하여 고압 상태로 만든 뒤 온도를 낮춰 드라이아이스로 만듭니다. 얼음은 물을 냉각시키면 되는데, 이산화탄소는 상온에서 기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모으는것이 쉽지 않죠.
학문 /
화학
22.09.02
0
0
태풍은 원래 변수가 많아서 방향이 자주바뀌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경로는 지역의 기압차, 온도차에 의한 바람의 방향 영향을 받습니다. 중위도에서는 편서풍이 불어 태풍이 동쪽으로 휘는데 항상 동쪽으로 휘는것은 아닙니다. 중위도에서는 대부분 편서풍이 불지만, 기압차에 의해 동에서 서로 바람이 불때도 있고, 북에서 남으로 바람이 불때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태풍은 바람이 부는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중국으로 상륙하는 경우도 있고 일본으로 휘어져 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학문 /
화학
22.09.02
0
0
문어의 다리가 뇌의 제어없이 움직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생명체가 움직일 수 있는 이유는 전기적인 신호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이 뇌에서 명령을 내려 움직이는것도, 물고기, 문어, 낙지와 같은것들도 전부 전기적인 신호로 움직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머리를 잘랐는데도 여전히 움직이는 이유는 반사적인 신경이나 독립적인 신경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경우 무릎 반사가 예인데 무릎 반사는 대뇌의 관여없이 반응하는 무조건 반응입니다. 무릎-척수-발 까지의 신경경로로 되어있죠. 이처럼 물고기, 문어, 낙지에게도 뇌와 독립적인 반사체계와 신호체계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잘게 잘라도 움직일 수 있는 이유죠.
학문 /
생물·생명
22.09.02
0
0
개미가 이사하면 왜 비가 올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 오면 땅이 젖게 됩니다. 보통 개미는 땅속에 집을 형성하는데, 비가오게되면 개미집이 물로 가득 차게 됩니다. 그러면 개미들은 숨도 쉬기 어렵고 물로 인해 피해를 볼 수 있으니 비가 오기전에 개미들은 이사를 하는 것이죠. 개미들은 기후가 습해져 땅이 눅눅해지는것을 느끼게 되면 이사를 시작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2
0
0
층간소음문제 해결방법으로 노이즈캔슬링은 비현실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론적으로 가능하고 제작할 수는 있지만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최대한 방음이 잘되는 소재를 사용해서 건축을 진행하죠. 또한 방음에 좋은 소재를 개발하기위해 연구도 계속 되고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2
0
0
왜 타이어는 원을 그리며 넘어지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유는 회전운동을 하기 때문입니다. 모든 운동에는 관성이라는것이 있습니다. 움직이는 물체는 계속 움직이려하고 멈춰있는 물체는 계속 멈춰있으려고하죠. 회전운동도 같은 경우입니다. 회전운동을 하다가 쓰러지면 관성에 의해 계속 돌려고 합니다. 그리고 이 회전은 서서히 멈추죠. 또한, 회전하는 물체는 중력에 의해 축이 움직이면 힘을 받게 됩니다. 그 힘에 의해 바로 쓰러지지 않고 축이 회전하며 쓰러지죠. 팽이가 쓰러질때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팽이가 쌩쌩 잘 돌 때에는 중심을 잘 잡은채 돌아가는데, 힘이 약해져 멈추려고 할때는 뱅글 뱅글 축이 돌면서 쓰러집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02
0
0
텀블러의 보온 능력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텀블러를 퉁퉁 쳐보시면 느낌이 오시겠지만, 이중으로 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중으로 된 공간 사이에 공기가 들어있는데, 이렇게 공기층을 두면 열 차단에 효과적입니다. 공기층은 열전달율이 매우 낮아 텀블러에 담긴 차에 열을 거의 뺏기지 않습니다. 생각보다 단순한 원리로 제작되었습니다.
학문 /
화학
22.09.02
0
0
왜 비누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가 뻑뻑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수돗물 속에는 다양한 성분이 존재합니다. 그 중 칼슘이나 마그네슘도 함유되어있는데, 비누의 지방산이라는 성분과 반응해 앙금을 형성하기 때문에 뻣뻣해지는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09.02
0
0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