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사람이 하루에 마시는 공기의 양은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하루에 마시는 공기의 양은 10~15kg정도 됩니다. 물 기준 리터로 환산하며 10~15L정도 되죠.
학문 /
화학
22.09.01
0
0
심해에 사는 생물은 왜 바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물들과 다르게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심해에 사는 생물은 일반적으로 바다에 사는 생물과 달리 환경 자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심해는 높은 압력과 빛이 들지 않는 어두움 속에 있습니다. 따라서 눈보다 다른 감각 기관이 발달한 경우가 있으며 스스로 발광을 하여 먹이를 잡거나 포식자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죠. 심해에 적응하여 진화하다보니 눈이 없는 생물도 존재하며 발광을 하는 생물도 존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1
0
0
종이에 베이면 유독 더 아픈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예측할 수 있는 아픔과 예측할 수 없는 아픔 차이입니다. 칼에 베이면 아주 아플것이라는 두려움이 있는 상태입니다. 하지만 종이는 칼과 달리 베이지 않을것이다 아프지 않다라는 생각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상치 못하게 종이에 베이면 뜨겁고 기분 좋지 않은 베임과 함께 통증이 다가옵니다. 그래서 놀래기도하고 충격이 크게 와닿죠. 그래서 종이에 베이는것이 칼에 베이는것보다 더 아프게 느껴지는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칼이 더욱 아픈 고통이며 얇게 베일경우에는 둘다 비슷한 고통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1
0
0
원거리 통신은 언제 발명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통신의 1809년 독일의 von smmering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모스에 의해 모스 부호가 발명되며 군사적으로 이용하며 발전을 시작하였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1
0
0
올해는 왜이렇게 비가 많이 내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후 영향의 문제도 어느 정도 있지만 꼭 이상 기후 영향으로인해 비가 많이 내렸다는 보장도없습니다. 실제로 짧은 시간에 비가 많이 내리긴 하였지만, 매년 강수량을 비교한 결과 제작년에 비해 강수량이 적은 편이며 다른 년도와 강수량이 비슷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상 기후의 영향인지는 학자분들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중이 있습니다. 앞으로의 날씨 또한 예측이 어렵습니다. 날씨는 증발량, 수증기량, 바람 등 여러가지 변수를 사용하여 예측하기 때문에 간단히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당장의 내일 날씨를 정확하기도 힘들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태풍이 형성되어 올라오다 소멸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거울이 처음 만들어진 것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거울의 원리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거울은 빛이 정반사하기 때문입니다. 빛이 오른쪽 손에서 반사되어 거울로 들어가게되면 거울에서는 들어온 빛 그대로를 반사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오른쪽 손을 거울에서 보게되면 왼손으로 보이고 왼손은 오른손처럼 보입니다.거울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집니다. 일반 유리 뒷면에 아말감, 수은 등으로 코팅처리를 하면 빛을 반사하는 거울을 만들 수 있습니다. 거울은 빛을 정반사하기 때문에 사물들의 모습이 그대로 보입니다. 우리 눈은 빛이 들어오는데로 사물을 식별합니다. 빛이 사물에 반사되어 거울로 들어가고 다시 거울에서 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우리가 거울로 사물을 볼 수 있는 이유입니다.거울의 역사는 과거 구리에 얼굴이 반사되는것을 보는것부터 시작이 되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머리카락은 어떻게 잡아 당겨도 잘 안끊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머리카락을 이루고 있는 분자 간의 인력이 다른 신체 세포내 인력보다 강한 편이기 때문입니다. 머리카락은 얇지만 머리카락을 이루고 있는 분자간의 힘(전기력)이 다른 세포끼리 붙어 있는 힘보다 강한편입니다. 그래서 머리카락이 잘 끊어지지 않는 이유죠.
학문 /
생물·생명
22.09.01
0
0
소총사격시 탄도비행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탄도는 가늠자를 맞췄다고 일직선으로 날아가는것이 아닌 포물선으로 날아가기 때문입니다. 탄도 질량을 가진 물체고 지구내에서 쏘게되면 중력에의해 포물선운동을 합니다. 총알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일직선으로 날아가는거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포물선운동을 하죠. 그래서 거리에 따라 가늠자의 위나 아래를 조준하고 쏘는 이유입니다.
학문 /
물리
22.09.01
0
0
비행기를 타면 귀가 아프고 먹먹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이 올라가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희박해져 공기 압력이 감소합니다. 이 때 체내의 압력과 외부 환경의 압력을 맞춰주기 위해 귀가 먹먹해지는것입니다. 그런데, 그러한 변화로 귀가 아프시다면 병원을 찾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보통의 경우 귀가 아프진 않거든요.추가로 조금 더 설명드리면, 귀의 역할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소리를 감지하는 역할, 평형을 유지하는 역할, 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이 있습니다. 소리는 고막과 달팽이관을 거쳐 울리고 소리를 확성하여 우리가 받아들입니다. 평형은 반고리관을 통해 우리가 중심을 잡고 쓰러지지 않게 유지할 수 있죠. 압력은 높은 지대에 올라가거나 빨리 달리는 차에서 귀가 먹먹해진다는 느낌을 받으셨을 겁니다. 이는 유스타키오관에서 외부 압력과 내부압력이 평형을 이루게끔 조절을 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