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도가 높은 산에는 왜 식물들을 살수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고도가 높으면 온도가 낮아지고 산소량도 급격히 감소합니다. 식물이 잘 자랄만한 조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햇빛, 수분량, 따뜻한 온도, 충분한 산소량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고도가 높은 지역에는 산소량도 적고 온도도 낮기 때문에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죠.
학문 /
토목공학
22.08.29
0
0
화강암의 용융곡선에 대해서 질문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래프를 봐야 정확한 답변이 가능할거같습니다. 물을 포함한 용융곡선을 의미하신다면, 끊어진 이유는 그 아래론 물을 포함하고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9
0
0
비행기가 지나가고나서 하늘에 흰색 줄같은게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운은 하늘에 차가운 공기가 비행기 엔진을 통과하면서 만들어 집니다.일반 여객기에도 비행기 엔진이 있기 때문에 비행운이 만들어집니다.찬공기가 비행기 엔진을 통과하면서 비행기 엔진의 뜨거운 열기와 마주합니다. 그리고 엔진을 통과하며 찬공기의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이 배출되면서 구름과 같이 만들어 지는데 이를 비행운이라고합니다.또한 비행운은 습도가 높은 날에 잘 나타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9
0
0
형광등 정격전압 더 낮은걸로 갈아끼워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단자가 같으면 크게 상관없습니다. 오히려 44W보다 36W가 소비전력이 줄어들어 전기세를 아끼는데 도움을 줍니다. 밝기가 44W만큼은 되지 않지만 36W밝기로도 만족하신다면 계속 쓰시길 권장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29
0
0
명왕성이 행성이 아닌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계기는 에리스라는 소행성을 발견하고나서부터입니다. 발견 당시 에리스는 태양 주위를 멀리서 돌고있었고 명왕성과 크기가 유사하였습니다. 그래서 국제천문연맹은 에리스를 10번째 행성으로 넣어야 하는지 의논을 시작하였죠.그러면서 명왕성을 다시 잘 관측해보니 태양주위를 돌지만 공전궤도가 찌그러져 해왕성의 공전궤도를 침범할 때도 있었으며, 명왕성이 행성으로써의 크기와 질량을 갖지 못하여 행성보다 위성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행성이 되기위해선 위성을 둘만한 중력이 필요하다고 정의한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명왕성이 행성 자격을 박탈당하게되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9
0
0
무지개는 왜 일곱 색깔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물방울에 통과된 태양빛이 굴절하면서 파장별로 색깔이 분해되어 우리눈으로 들어오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때 물방울을 통과한 빛이 파장별로 색깔이 분해되는데, 빨주노초파남보 뿐만아니라 빨간색과 주황색 사이의 색도 포함 될뿐더러 문자로 표현할 수 없는 연속적인 가시광선 영역의 색상이 전부 포함되어있습니다. 우리가 빨주노초파남보라 7개로 나눈 이유는 편의상 나눈것입니다. 무지개에 딱 7개의 색만 있는것은 아닙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9
0
0
별은 실제로 보면 그 별모양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별을 실제로 본적은 없지만 태양, 다른 별 사진을 보면 기체 모양의 구형으로 생겼습니다. 왜 ★모양이 되었냐면, 별을 보게 될 때 지구에서 보기 때문입니다. 지구에는 대기가 있고 이 대기는 빛을 산란시키기도하고 굴절시키기도합니다. 대기가 별빛을 산란시켜 별이 반짝반짝 빛나 보이게 하며 대기의 흔들림에 의해 빛이 퍼져보이게도합니다. 그래서 별이 동그랗게 보이지 않고 뾰족하게 보이기도하죠. 그래서 별모양이 된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9
0
0
산성비는 무조건 좋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산성비가 내리면 토양의 양분에 악영향을 주며 식물 잎을 갈색으로 변하게 만듭니다. 또한 나무를 말라죽게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죠. 또한 산성비와 공기중 물질과 섞여 해로운 기체를 생성하며 산성 안개등을 만들어 잎의 기공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이러한 것들은 사람에게도 해가 됩니다.
학문 /
화학
22.08.29
0
0
인천을 기점으로 해류 흐름(답변 추가 질문)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해양 컨베이어 벨트란 개념을 고려하여 질문하신듯합니다. 해양에는 순환경로가 없는듯하지만 보이지 않는 순환 고리가 있고 그것이 컨베이어 벨트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인천으로부터 시작하여 다시 인천으로 돌아 오는 경로가 있는지에 대해 궁금해하신거같군요. 컨베이어 벨트가 놓여있는 위치라면 다시 돌아오겠지만 컨베이어 벨트 위에 있지 않은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꼭 돌아 온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9
0
0
깊은 바다 속에 열수분출공이 생성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열수분출공은 뜨거운 물, 가스가 지하에서부터 솟아나오는 현상입니다. 이렇게 열수분출공이 생기는 이유는 해저가 확장되거나 화산활동이 활발한 장소에서 발생합니다. 즉, 판과 판이 멀어지는 지점에서 틈이 생겨나고 지구 내부 열로 달궈진 물이나 가스가 이 틈으로 불출하며 생기는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9
0
0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